$\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Raw 264.7 세포에서 섬바디나물 추출물의 iNOS, COX-2 단백질 및 mRNA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icacy of Dystaenia takeshimana Extract on iNOS, COX-2 Protein and mRNA Expression in Raw 264.7 Cell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4 no.4, 2016년, pp.571 - 576  

이진영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유단희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주다혜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채정우 ((재)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섬바디 나물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대한 섬바디나물 80%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섬바디 나물 추출물을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전염증성인자(iNOS, COX-2)들을 생성하여 측정하였다. 섬바디 나물 추출물의 대식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측정을 MTT를 수행하였다. 섬바디 나물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1,000{\mu}g/ml$의 농도에서 10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섬바디 나물 추출물의 50, 100, $500{\mu}g/ml$ 농도에서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통해 측정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beta}-ac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섬바디 나물 추출물을 western blot을 통해 측정한 iNOS, COX-2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는 $500{\mu}g/ml$ 농도에서 각각 56%, 61.6%로 감소하였다. 섬바디 나물 추출물의 50, 100, $500{\mu}g/ml$ 농도에서 iNOS, COX-2의 mRNA의 발현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RT-PCR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GAPDH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섬바디 나물 추출물을 RT-PCR을 통해 iNOS, COX-2의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500{\mu}g/ml$에서 각각 77.9%, 83.3%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섬바디 나물 추출물은 염증을 억제시켜 주는 가능성이 있는 항염증 물질로써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80% ethanol extract of Dystaenia takeshimana (DT) were investigated using Raw 264.7 cells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The effect of DT extract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iNOS, COX-2)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섬바디는 청열, 해독, 산풍, 소담 등에 효능이 있으며, 뿌리를 약초로써 풍열두통, 담열천, 구역, 홍경만민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다[9, 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섬바디나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LPS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염증매개물질들의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갖는 천연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활성산소 중 하나이며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O 생성에 대한 섬바디나물 추출물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Fig.
  • 본 연구에서는 섬바디 나물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대한 섬바디나물 80%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섬바디 나물추출물을 LPS로 유도된 Raw 2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증 반응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염증은 체내의 세포가 물리적 충격이나 세균 감염 등의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반응하는 생체 방어기전이다[12]. 염증 반응은 면역계의 활성화를 통한 초기 단계로서 단기간 치료가 가능한 급성 염증(acute inflammation)과 지속적인 독성 요인에 부적절하게 반응하여 과도한 방어 반응으로 염증 반응이 지속되는 만성 염증(chronic inflammation)으로 나눌 수 있다[20]. 최근 현대 사회의 산업 발달로 인해 환경 변화 및 그에 따른 스트레스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면역 조절 이상으로 유발된 염증이 지속됨에 따라 아토피, 천식, 등의 만성 염증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4,21].
섬바디의 외형적 모습은 어떠한가? 섬바디(Dystaenia takeshimana)는 쌍떡잎식물 층층나무목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남(무등산), 충남(안면도), 경기(용문산)을 비롯하여 주로 울릉도에 자생하고 있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의 하나로, 일본인 나카이(Nakai)가 처음 발견하여 일본 학회에 보고된 후 계속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로 밝혀졌으며 울릉도에서는 돼지가 잘 먹는다고 돼지풀이라 하고 민간에서는 울릉강활이라 하여 강활과 같은 용도로 쓰이는 일도 있다[6, 14]. 높이가 2 m에 달하며 4−5개의 마디가 있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3개씩 2회 갈라지며 잎자루가 길고 밑부분이 넓어져 원줄기를 감싼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3−4 mm로 꽃잎은 5장이고 산형화서를 형성하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2, 11, 13]. 울릉도에서는 어린 나물을 먹었으며, 지금까지도 즐겨먹는 산나물 중 하나이다.
염증이란? 염증은 체내의 세포가 물리적 충격이나 세균 감염 등의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반응하는 생체 방어기전이다[12]. 염증 반응은 면역계의 활성화를 통한 초기 단계로서 단기간 치료가 가능한 급성 염증(acute inflammation)과 지속적인 독성 요인에 부적절하게 반응하여 과도한 방어 반응으로 염증 반응이 지속되는 만성 염증(chronic inflammation)으로 나눌 수 있다[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2. Editor of Ulleunggun. 2002. Wild plants of Ulleung Island, Ulleunggun. 

  3. Green LC, Wagner DA, Glogowski J, Skipper PL, Wishnok JS, Tannenbaum SR. 1982.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15N]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26: 131-138. 

  4. Heinzemann A, Daser A. 2002. Mouse models for the genetic dissection of atopy. Int. Arch. Allergy Immunnol. 127: 170-180. 

  5. Higuchi MN, Hisgahi J, Taki H, Osawa T. 1990. Cytolytic mechanism of activeta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tor and Larginine- dependent mechanism act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s. J. Immunol. 144: 1425-1431. 

  6. Jung TH. 1965. Hanguksikmuldogam, pp.897-898. 

  7. Kim HJ, Lee DJ, Ku JJ, Choi K, Park KW, Kang SH, et al. 2013.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olk plants in Ulleung island. Korean J. Plant Res. 26: 169-177. 

  8. Kim JS, Kim JC, Shim SH, Lee EJ, Jin WY, Bae KH, et al. 2006.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root of Dystaenia takeshimana and thier anti-inflammatory activity. Arch. Pharm. Res. 26: 671-623. 

  9. Kim MY. 2004. Endemic plants of Korea, Solgwahak. 

  10. Kim Y, Min HY, Park HJ, Lee EJ, Park EJ, Hwang HJ, et al. 2004. Suppressive effects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gene expression by Calystegia soldanella methaxl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 264.7 cells. Eur. J. Cancer Prev. 13: 419-424. 

  11. Ko KS, Jeon ES. 2003. Wild plants of Korea. Iljinsa. 

  12. Lebert DC, Huttenlocher A. 2014. Inflammation and wound repair. Semin Immunol. 26: 315-320. 

  13. Lee CB. 1980. Daehansikmuldogam 2, Hyangmunsa. 

  14. Lee CN, An HS. 1963. Hanguksikmulmyunggam, pp.144. Bumhaksa. 

  15. Lee TH, Kwak HB, Kim HH, Lee ZH, Chung DK, Baek NI, et al. 2007. Methanol extracts of Stewartia koreana inhibit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gene expression by blocking $NF-{\kappa}B$ transactivation in LPS-activated raw264.7 cells. Mol. Cells 23: 398-404. 

  16. Lee YM. 2003. Wild flowers of Korea, Darumsaesang. 

  17. Namkoong S, Jang SA, Sohn EH, Bak JP, Sohn ES, Koo HJ, et al. 2015. Comparative study of Litsea japonica leaf and fruit extract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Korean J. Plant Res. 28: 145-152. 

  18. Nathan C. 1997.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J. Clin. Invest. 100: 2417-2423. 

  19. Rainsford KD. 2007. Anti-inflammatory drugs in the 21st century. Sub-cell Biochem. 42: 3-27. 

  20. Reuter S, Gupta SC, Chaturvedi MM, Aggarwal, BB. 2010.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cancer: How are they linked?. Free Radic. Biol. Med. 49: 1603-1616. 

  21. Sung YY, Kim DS, Yang WK, Nho KJ, Seo HS, Kim YS, et al. 2012. Inhibitory effects of Drynaria fortunci extracts on house dist mite antigen-induced atopic dermatitis in NC/Nca mice. J. Ethnopharmacol. 144: 94-10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