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간호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Head Nurses' Ethical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mong Staff Nurses: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5, 2016년, pp.553 - 561  

정민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216 nurses drawn from three general hospitals in C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본 연구는 한국형 다차원 측정도구인 K-ELW를 통해 일반 간호사가 인지하는 수간호사 윤리적 리더십 요소들이 간호사의 정서적 몰입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몰입은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윤리적 리더십 요소들과 직무만족 간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를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의 대상자는 C시 소재 종합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경력이 있는 일반간호사 216명이었다. 대상자가 근무하는 병원은 C시 소재 1개 대학병원과 5개 종합병원 총 6개 종합병원 중 1개 대학병원과 2개 종합병원을 선정하였다.

데이터처리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적 몰입과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로 구한 후 Scheffe 검증으로 사후 분석하였다. 대상자가 인지한 수간호사의 윤리적 리더십 하위요인들과 대상자의 정서적 몰입 및 직무만족도 간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확인하였고 윤리적 리더십 하위요인 들과 직무만족 간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Baron과 Kenny [27]의 매개효과검정을 실시하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대상자가 인지하는 수간호사의 윤리적 리더십, 대상자의 직무만족도, 정서적 몰입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적 몰입과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로 구한 후 Scheffe 검증으로 사후 분석하였다. 대상자가 인지한 수간호사의 윤리적 리더십 하위요인들과 대상자의 정서적 몰입 및 직무만족도 간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확인하였고 윤리적 리더십 하위요인 들과 직무만족 간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Baron과 Kenny [27]의 매개효과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 간호사가 인지하는 수간호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Kalshoven 등[22]이 최근 개발한 영어판 ELW를 Kim [23]이 우리나라 간호 조직에 적합하게 번안하고, 내적 구조와 외적 구조 검토라는 타당화 과정을 거쳐 수정된 7개 영역, 즉 ‘인간중심, 직무책임 공정성, 관계 공정성, 권력공유, 환경의 지속유지 가능성, 윤리 지침, 윤리적 진실성’ 총 31문항으로 개발한 K-ELW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매우 그렇다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까지 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윤리적 리더십이 강함을 의미 한다.
  • 정서적 몰입은 구성원이 소속부서에 대한 정서적 몰입에 대한 측정으로 Rhoades, Eisenverger와 Armeli [24]가 사용한 정서적 몰입척도 6문항을 Kim [25]이 번안한 내용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매우 그렇다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까지 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정서적 몰입정도가 높음을 의미 한다.
  • 직무만족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Han [26]이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총 10문항으로 매우 그렇다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까지 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 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윤리적 리더십의 특징은?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윤리적 리더십은 리더에 대한 만족, 지각된 리더 효과성, 조직구성원이 경영진에게 문제를 보고하려는 의지와 조직의 미래에 대한 낙관적 전망 및 조직에 소속되고자 하는 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4] 조직구성원의 신뢰, 직무만족,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 직무몰입을 향상시키고[5] 구성원의 정서적 안녕[6]에도 긍정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국내연구의 경우, 일반기업의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Yi와 Son의 연구[7]에서는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고, Ko [8]의 연구에서는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신뢰 및 조직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구성원의 정서적 안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윤리적 리더란? 2000년대 초반 이후 기업경영에 있어 윤리는 핵심적 개념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학계에서도 사회적 윤리 문제와 기업의 윤리성과 투명성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세계적 추세와 관련하여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며 구성개념이 체계적으로 밝혀지고 있다[2,3]. Brown 등[4]은 윤리적 리더십의 핵심은 높은 윤리적 가치로서 윤리적 리더를 정직성, 보살핌, 공평성, 균형적 의사결정의 특징을 갖는 원칙중심의 개인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그동안 중복되어 다루어진 변혁적 리더십, 리더의 정직성, 공정한 대우 등과 윤리적 리더십의 차이를 제시하였다.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 중 정서적 몰입에 더 초점을 둘 필요가 있는 이유는? 높은 수준의 정서적 몰입은 조직에 대한 소속감, 자부심, 충성심을 보여주며 조직에 감정적으로 몰입하면 종업원은 조직의 목표에 자신을 강하게 동일시하고 조직의 성공과 지속적인 개선에 기여하기를 원하며, 조직의 일원으로 계속 남아있기를 원한다[20].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 들은 본인이 가지고 있는 공정성, 동정심, 의타주의적인 성격, 신뢰성 등에 의해 부하직원이 가지는 정서적 몰입을 더 긍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정서적 몰입은 규범적 몰입이나 지속적 몰입보다 가치관의 공유와 리더와 부하 간의 사회적 교환관계를 더 많이 설명한다는 점 등[4]을 바탕으로 할 때 조직몰입의 유형중 정서적 몰입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Findler, Wind 와 Mor Barak [19]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한다면 정서적 몰입을 직무만족의 선행변수로 간주하고 정서적 몰입이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간 관계에 매개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uber DL. Leadership and nursing care management. 3rd ed. Philadelphia: Elsevier;2008. p. 1-2. 

  2. Brown ME, Trevino LK. Ethical leadership: A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Leadership Quarterly. 2006;17:595-616. http://dx.doi.org/10.1016/j.leaqua.2006.10.004 

  3. Stouten J, Van DM, De Cremer D. Ethical leadership. Journal of Personnel Psychology. 2012;11(1):1-6. http://dx.doi.org/10.1027/1866-5888/a000059 

  4. Brown ME, Trevino LK, Harrison DA. Ethical leadership: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for construct development and testing.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2005;97:117-34. http://dx.doi.org/10.1016/j.obhdp.2005.03.002 

  5. De Hough AHB, Den Hartog DN. Ethical and despotic leadership, relationships with leader's social responsibility, top management team effectiveness and subordinates' optimism: A multi-method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2008;19(3):297-311. https://doi.org/10.1016/j.leaqua.2008.03.002 

  6. Kalshoven K, Boon CT. Ethical leadership, employee well-being, and helping. Journal of Personnel Psychology. 2012;11(1):60-68. http://dx.doi.org/10.1027/1866-5888/a000056 

  7. Yi MS, Son SW, Chan YC. Determinants and outcomes of ethical leadership.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09;22(6):3169-3193. 

  8. Ko MJ. Ethical leadership and employees' quality of life: With the mediating and the moderating effects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3. 

  9. Lee JS. Nurse managers' ethical leadership,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9. 

  10. Yang YJ. Nurse managers' ethical leadership and staff nurses'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master's thesis].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2015. 

  11. Lee KH.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in a hospital: Medi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 (4):419-427.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4.419 

  12. Jang KS, Kim BN, Kim YM, Kim JS, Jeong SH. Analysis of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for 3 years (2010-2012).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5):679-688.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5.679 

  13. Choi JY, Kim EK, Kim SY. Effects of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n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14; 20(4):426-436.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4.426 

  14. Han SS, Sohn IS, Kim NE. New nurse turnover intention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9;39(6):878-887.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78 

  15. Yang YS, Kang YH. ICU new nurse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Nursing Science. 2013;25(2):47-58. 

  16. Rayton BR. Examining the interconnection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 application of the bivariate probit model.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2006;17(1):139-154. http://dx.doi.org/10.1080/09585190500366649 

  17. Seo KS, Kim MY, Park JW. Effects of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Korean-American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1):48-58.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1.48 

  18. Huang TC, Hsiao WJ.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2007;35(9):1265-1276. https://doi.org/10.2224/sbp.2007.35.9.1265 

  19. Findler L, Wind LH, Mor Barak ME. The challenge of workforce management in a global society: Mode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inclus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loyee well-be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2007;31(3):63-94. http://dx.doi.org/10.1300/J147v31n03_05 

  20. Allen NJ, Meyer JP.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An examination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96;49(3):143-152. http://dx.doi.org/10.1006/jvbe.1996.0043 

  21. Poon JML.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ffectiv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 mediation-moderation framework.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012;42(6):1505-1532. http://dx.doi.org/10.1111/j.1559-1816.2012.00910.x 

  22. Kalshoven K, Den Hartog DN, De Hoogh AHB. Ethical leadership at work questionnaire (ELW):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The Leadership Quarterly. 2011;22(1):51-69. http://dx.doi.org/10.1016/j.leaqua.2010.12.007 

  23. Kim JE, Park EJ. A validation study of the modified Korean version of ethical leadership at work questionnaire (K-ELW).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5;45(2):240-250. http://dx.doi.org/10.4040/jkan.2015.45.2.240 

  24. Rhoades L, Eisenberger R, Armeli S. Affec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e contribution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1;86(5):825-836. http://dx.doi.org/10.1037/0021-9010.86.5.825 

  25. Kim, YJ. A Study on Antecedents and Performance of Ethical Leadership [master's thesis]. Jeju: Jeju National University;2015. 

  26. Han S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1. 

  27.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1173-1182. http://dx.doi.org/10.1037/0022-3514.51.6.1173 

  28. Kim WK, Chung KH.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3):287-296. 

  29. Yoo SJ, Choi YH.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Daegu 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1):16-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