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f quality variation of Sibujeondaebotang according to storage period and temperature (5 and $25^{\circ}C$) Identificaion test, pH, specific gravity, heavy metal, microbial limit test and glycyrrhizic acid, paeoniflorin content of Sibjeondaebota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은 한방의료기관에서 처방하는 다빈도 처방 중 하나인 십전대보탕에 대하여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7) 중 “십전대보탕액”의 성상, pH, 비중, 순도시험(중금속), 미생물한도 및 함량에 대해 물리·화학적 시험을 실시하여 이 결과를 근거로 보관온도 및 보관기간에 따른 품질변화를 평가하여 십전대보탕의 복약지도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십전대보탕은 어떨 때 사용되는가? 전통적으로는 옹기 약탕기에 약한 불로 오랜시간 달여서 복용하는 방법을 사용했으나, 현대에 이르러 사용상의 편리성이나 인력수요 감소 등의 이유로 인해 전기식 가열추출기를 이용하여 한약을 전탕하는 방법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3) 십전대보탕은 예부터 음양기혈을 함께 보하면서 속을 덥혀주는 효능이 있어 기혈부족으로 허약하고 기운이 없고 소화가 잘 안되며 식은 땀이 나고 기침이 잦을 때, 해산 후, 수술전 후, 빈혈증, 출혈성 질병, 심장쇠약, 만성소화 기병, 월경부조, 폐결핵 등에 쓰였다.4) 십전대보탕이 처음 등장한 이후로 시대별, 문헌별로 구성약물의 용량에는 변동이 있었지만, 조선시대에 들어와 대부분 이들 10 종류의 약재가 동일 용량으로 구성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약 제조 방법 중 전탕법이란 무엇인가? 1) 십전대보탕은 우리나라에서 한의원 처방 순위에서 3위에 처방될 정도로 매우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처방이다.2) 전탕법은 한약을 복용하는 방법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한약 추출 방법으로 이는 한약재에 물을 넣고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추출된 열수추출물을 복용하는 방법이다. 전통적으로는 옹기 약탕기에 약한 불로 오랜시간 달여서 복용하는 방법을 사용했으나, 현대에 이르러 사용상의 편리성이나 인력수요 감소 등의 이유로 인해 전기식 가열추출기를 이용하여 한약을 전탕하는 방법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보관 기간에 따라 십전대보탕 속 글리시리진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글리시리진산, 페오니플로린 함량 − 보관온도(5oC, 25oC)및 보관기간에 따른 글리시리진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조제시 0.24±0.007 mg/mL이였다. 5oC에서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0.24±0.007 mg/mL에서 12개월 후 0.19±0.006mg/mL로, 25oC에서는 0.18±0.003 mg/mL로 나타나 보관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Fig. 1), 보관온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eo, C. S., Shin, H. K. and Shin, K. S. (2011) Monitoring on microbial flora of herbal powder in long term preservation. Kor. J.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19: 83-92. 

  2. 이종태 (2006) 한국인의 한약재 복용실태 조사 연구, 91. 서울식품의약품안전청, 서울. 

  3. Kim, J. H., Seo C. S., Jeon, W. Y and Shin, H. K. (2012) The compositional differences of sipjeondaebo-tang(siquandabetang) decoctions extracted by diffenent extraction method and extraction time. J.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5: 108-119. 

  4. 신재용 (1989) 방약합편 해설, 39. 성보사, 경기도. 

  5. Lee, K.G., Huang, D. S., Yu, Y. B., Ma, J. Y., Ha, H. K. and Shin, H. K. (2006) A study on compositions, dosages and usages of sagunjatang, samultang, salmultang, sipjeondaebotang in literature. J. Kor. Medical Classic 19: 219-225. 

  6. Seo, C. S., Kim, J. H., Lim, S. H. and Shin., H. K. (2012) Establishment of shelf-life ssanghwa-tang by long-term storage test. Kor. J. Pharmacogn 43: 257-264. 

  7. 식품의약품안전처 (2014)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389. 오송. 

  8.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 대한민국약전 제 11개정, 2112-2121. 신일서적(주), 서울 

  9. Kim, J. S., Hwang, S. W., Kim, J. M. and Ma, J. Y. (2001) Monitoring research for heavy metals as endocrine disruptors in sibjeondaebotang and its ingredients herbal medicines(II). Kor. J. Yakhak Hoeji 45: 448-454 

  10. Seo, C. S., Kim, J. H., Lim, S. H. and Shin, H. K. (2012) Evaluation of shelf-life bojungikgi-tang by long-term storage test. Kor. J. Pharmacogn 44: 200-208. 

  11. Seo, C. S., Kim, J. H., Lim, S. H. and Shin, H. K. (2011) Estimation of shelf-life by long-term storage test of pyungwi-san. J.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19: 183-1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