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교양에서 토의식 수업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지도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scussion on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Capability,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Leadership in a General Education Course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8 no.1 = no.79, 2016년, pp.300 - 314  

문성채 (단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ll-group discussion and panel discussion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n college students' competencies of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leadership in a general education course. Participants were 52 college students, and they par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방법으로 토의식 수업을 적용하고, 대학생 주요 핵심역량인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지도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토의 방법 중 소집단토의와 패널토의가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효과적 의사소통을 위해 모둠 구성이 6∼8명인 소집단토의를 적용하고, 학습자가 토의에서 다양한 역할을 경험하고 토의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 Soo, 2012)3). 따라서 이 연구에서 패널토의 는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고 가치를 비교해 주어진 주제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목표로 했다.
  • 이 연구는 토의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의 핵심역량으로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지도력을 수업처치 전과 후 측정하여, 토의 위주 수업이 대학생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수업 처치 후 토의 수업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소집단토의와 패널토의를 평가했다.
  • 셋째, 토의 모둠별 학번의 수직적 구조가 토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조 조장과 서기를 순번제로 정해 모두가 평등한 관계에서 토의에 임하도록 규칙을 정했다. 이 같은 소집단토의는 패널토의를 위한 준비단계로, 소집단토의를 통해 가치에 따른 논쟁적 주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지식과 가치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했다.
  • 그러나 현재 대학에서 역량 중심교육에 대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각 교과에서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수업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대학교양에서 대학생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다양한 토의법 중 소집단토의와 패널토의를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대학교양에서 역량함양 실천방안을 제안한데 그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핵심역량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대학에서 핵심역량 연구는 우선, 고등교육단계에서 대학생이 육성해야할 핵심역량 고찰과 규명에 집중되었으며, 대학생 핵심역량으로 전공지식과 자기주도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 능력, 문제해결력과 사고력, 창의성과 리더십(이하 지도력) 등이 도출되었다(Kim, Dongil et al., 2009; Kim, Yeonhee et al.
역량이란 무엇인가? ‘역량’은 전통적인 지식평가인 지능검사나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가 직업수행과 성공적인 삶을 예견하지 못한다는 비판에서, 지능 대신 업무성과와 관련 있는 능력을 측정해야 한다는 주장에서 나오게 되었다(Barrett & Depinet, 1991). 역량은 연구자마다 다르게 정의하고 있으나, 주로 직업 분야에서 직무 수행 필요에 의해 등장한 개념으로 직업 분야 성과가 높은 직무 수행자에게서 관찰되는 지식・기술・정서・신념・태도・가치 등의 상호작용으로 성공적 결과를 이끌어내는 일관된 행동 특성이며, 실제 사회의 특정 측면을 통해 경험되고 획득되며 평생에 걸쳐 개발되고 고양되는 능력이다(McLagan, 1997).
토의 수업이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토의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자 요인, 학습 환경 요인, 교사 요인이 있으며, 이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학습자의 토의 능력으로 나타났다(Han, 1999). 학습자가 토의에 익숙하지 않고 토의를 꺼려하며 두려움을 느낄 때 토의장애 요인이 될 수 있으며, 학습자가 토의에서 열린 마음과 학습에 대한 열의를 가지고 공동 협력할 때 토의법은 효과적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 토의 수업을 위해, 학습자가 ‘토의 지식’과 ‘토의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사전교육을 해야 하며, 토의에서 무임승차・봉 효과2)・빈익빈 부익부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Lee, Jungmin, 2012; Joung, Sunyoung & Bae, Sung Ah,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aek, PyoungGu(2012). Perception on the satisfaction, educational experiences,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Mainly with 'A'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1), 431-466. 

  2. Baik, Kyung Sook(2011).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2(1), 77-95. 

  3. Barrett, G. V. & Depinet, R. L.(1991). A reconsideration of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46(10), 1012-1024. 

  4. Chae, Young-Hee(2015). Curriculum designed for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Ratio et Oratio, 8(1), 7-40. 

  5. Choi, Kyung-hee & Kim, Jang-Hoi(2012). Study on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Journal of Transactional Analysis & Counseling, 2(2), 23-42. 

  6. Chong, Hyon-Sook(2012). A Suggestion on How to Teach an Oral Communication Course as a Core General Course: A Case Study of Sungkyunkwan University's Public Speaking and Debate Cours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1), 33-70. 

  7. Cornelius, S. W. & Caspi, A.(1987). Everyday problem solving in adulthood and old age. Psychology and Aging, 2(2), 144-153. 

  8. Dai, LinMin(2013).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ore Competenc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9. Han, B. S.(1999). Communicational Problems Observed in the Discussion Class of Geography.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10, 97-101. 

  10. Han, Ju Lie & Namgung, Eun Jeong(2008). The Difference of College Students' perceived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Amount and Depth.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1), 325-337. 

  11. Hur, Gyeong-Ho(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6), 380-410. 

  12. Jeong, Eun I(2009). Effect of Problem Solving Discussion Activities on College Students' Creativity. Asian Journal of Education, 10(2), 27-49. 

  13. Jeong, Moon Seong(2004). Concept of Classroom Discussion and Debate and Model for Practice.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2(1), 147-168. 

  14. Ji, Eun Joo.Bang, Mi Ran & Jeon, Hye Jin(2013). Ego Resilience,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19(4), 571-579. 

  15. Joung, Sunyoung & Bae, Sung Ah(2014). The practice and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iscussion ability, and constraints and satisfaction of discussion clas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6(1), 41-64. 

  16. Jung, Chan Woo(2014).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Everyday creativity,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5(1), 147-167. 

  17. Jung, Ju-Young(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to Reinforce th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Instructive Competencies. Jour. Fish. Mar. Sci. Edu., 24(2), 210-223. 

  18. Kang, Myunghee.Kim, Eunhee.Yoo, Young Ran & Kim, Bokyung(2014). Comparison the Life Core Competency of Korean Undergraduates by Learners Characteristic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0(4), 61-84. 

  19. Kim, Dongil.Oh, Hunseok.Song, Youngsook.Koh, Eunyoung.Park, Sangmin & Jung, Eunhae(2009). Explor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from professors' perspectives: A case stud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NU). Asian Journal of Education, 10(2), 195-214. 

  20. Kim, Hye Jin & Yeom, Myung Sook(2014). The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and Debate Class on Undergraduates' Self-leadership and Self-regulated Learning.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8(4), 513-540. 

  21. Kim, Hye Sook(2009). Effects of Creative Dispositional Characteristics, Creative Environments and Self-Efficacy on Individuals' Creative Performanc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3(1), 15-34. 

  22. Kim, Hyun-Sook & Kang, Sun Mo(2013).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 157-176. 

  23. Kim, Yeonhee.Chung, Jaesam.Lee, Chong-Kyung & Yi, Yoojin(2010). An Analysis on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2(4), 1-20. 

  24. Kong, J.(1998). A Case Study of Discussion and Debate. Journal. of Education Culture, 4, 141-173. 

  25. KRIVET(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2013). KRIVET Issue 29. http://www.krivet.re.kr 

  26. Kwon, Nak Won & Park, Il Soo(2012). Theory and teaching of discussion class for teachers. Moonumsa: Seoul. 

  27. Kwon, Soonchul.Kim, Sungbong & Lee, Inhoi(2015). The Collegiate Self-Management Competencies Improvement Program and an Analysis of Its Effec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1), 143-166. 

  28. Lee, Jeon-Yi.Jang, Hyungshim & Cho, Ewn Jung(2015).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College Students'Communication Competency.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1), 1-20. 

  29. Lee, Jungmin(2012). A qualitative analysis of multiple cases on the applications of discussion methods to college class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4(2), 447-465. 

  30. Lee, Kyunghwa & Park, Chunsung(2012). Characteristics of creative 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and effect of instruction upon type of course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1(3), 45-65. 

  31. Lee, Kyunghwa.Shin, Ohsoon.Kim, Dae Kweon & Tae, Jinmi(2015). The comparison of university students' core competency and creative personality to promote the confluence education base on the core competency.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2), 1-24. 

  32. Lee, Kyung Hwa.Kim, Eunkyung & Lew, Kyoung-Hoon(2013). The Relationships of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otivation in College Students.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13(1), 125-139. 

  33. Lee, Sun Young(2012). A Study on the Direction of Debate Evaluation Based on Analysis of Debate Judging Paradigm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44, 453-481. 

  34. McLagan, P. A.(1997). Competence: The next generation. Training & Development, 51(5), 40-47. 

  35. Min, Jiyeon.Seo, Eunjin.Shin, Jongho.Jin, Seongjo & Choi, Youjung(2009). A Study on Thinking Development Programs for Enhancing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and Learning Consultation, 6(1), 35-54. 

  36. OECD(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http://www.oecd.org/pisa/35070367.pdf 

  37. Rhee, June Woong.Lee, Sang Cheol.Lee, Gwi Hyee.Yoo, Jung Ah..Jang, Yoon Jae & Kim, Hyun Suk(2007). Learning 'Public Speaking and Debate' and Its Impact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Efficacy and Civility: A Filed Experiment.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1(1), 144-172. 

  38. Seo, Min-Gyu(2012).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3), 221-247. 

  39. Shin, Hee-sun(2005).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Reading and Writ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development of leadership. Journal of Reading Research, 14, 287-314. 

  40. So, Kyung-Hee.Kang, Ji-Young & Han, Ji-Hee (2013). Review on Competency-model for Subject Curriculum: Focusing on Curriculum of England, Germany, and Canada.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3(3), 153-175. 

  41. Sung, Bung-Chang.Boo, Jae-Yool.Han, Kyung-Im & Lee, Kyeong-Hwa(2009). Perception of Education Community about Teacher's Competency. Jour. Fish. Mar. Sci. Edu., 21(1), 78-95. 

  42. Sung, Minkyung(2015). Identifying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petencies and Suggesting Strategies to Develop a Learning Program to Enhance Competencie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1(1), 171-188. 

  43. Yu, Huyn-sook.Kim, Tae-Jun.Lee, Suk-Jae & Song, Sun-Young(2004). Research on the National Standards of Life Competencies and Quality Management of the Learning System III.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2004-12. 

  44. Zaleznik, A.(1977). Managers and leaders: Are they different? Harvard Business Review, 55, 67-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