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적 연결성을 강조한 과제 개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ask with Emphasis on Mathematical Connectivity in Pre-Teacher Edu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3 no.2, 2019년, pp.85 - 104  

강향임 (고려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연결성이 강조된 과제개발 활동을 통해 개발된 과제를 분석하여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연결성이 강조된 과제 개발 활동을 적용하고 이를 통해 개발된 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과제는 타 교과, 수학사, 현상, 공학, 실생활과의 외적 연결이 있었다. 또한 다른 표현, 부분-전체의 관련성, 암시, 절차, 설명-지향적 연결의 다양한 내적 연결 사례가 있었다. '논리'와 '표현'의 관점에서 예비교사들의 CCK와 SCK는 긍정적이었으며, '전략'으로서 KCT는 다양성에서 아쉬웠지만 의미가 있었다. 다만 '수준'의 측면에서 KCS는 학생의 수준에 부합하지 못한 과제가 있었다는 점에서 제한적임을 알 수 있었다. '논리', '표현', '전략'의 유연함과 다르게 '수준'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교사교육에서 '학생에 대한 이해'가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asks developed through task development activities with emphasis on mathematical connectivit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to enhance teacher's competence.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task developed by 52 pre-teachers through th...

주제어

표/그림 (1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융합 역량이란? 교육부(2015) 또한 학생들의 창의·융합 역량의 증진을 위해 실생활과의 연계를 강조한 바 있다. 창의·융합 역량은 ‘수학의 지식과 기능을 토대로 새롭고 의미 있는 아이디어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산출하고 정교화하며, 여러 수학적 지식, 기능, 경험을 연결하거나 타 교과나 실생활의 지식, 기능, 경험을 수학과 연결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 기능, 경험을 생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p. 4).
수학적 연결성은 어떻게 구현되는가? 수학적 연결성은 수학의 개념적 이해와 절차적 이해 사이의 연결, 수학 내 다양한 영역 사이의 연결, 타 교과 또는 실생활과 수학 사이의 연결 등 다양한 측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수학적 연결의 구현은 수학적 작업 (mathematical work)의 중요한 부분(Boaler & Humphreys, 2005)으로, 교사들은 학교 수학의 일관성과 연결성을 반영하기 위해 자신의 수업에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NCTM, 2007).
수학수업의 효과적인 구현을 위해 문장제를 만드는 교사에게 무엇이 필요한가? . 교수법적으로 유력한 문장제를 만들어내려면 먼저 교사가 해당 주제를 폭넓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p. 169-17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Education (2015a).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report 2015-74. 

  2. Kwon, S. Y. (2016).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al Tasks for Mathematical Connectivity. In H. W. Jang., et al.(ed). School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Connectivity(pp. 84-115). Seoul: Kyong Moon Sa. 

  3. Kim, Y. K. (2016). Teaching Methods Focused on Mathematical Connec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 Kim, Y. K. & Pang, J. S. (2016). Practical Practice of Primary Mathematics Teaching for Implementing Mathematical Connectivity. In H. W. Jang., et al.(ed). School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Connectivity(pp. 160-183). Seoul: Kyong Moon Sa. 

  5. Kim, T. E., Woo, Y. K. & Lee. J. J. (2017). A Study on the Innovation Support of Classes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onverged Talent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6.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07). Data book for essay examples of integrated subject type. The Author. 

  7. Lee, D. G., Choi, S. H. & Kim, D. J. (2014).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assessment items and standards in a mathematical essay course.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7(4), 541-563. 

  8. Lee, D. G., Choi, S. H. & Kim, D. J. (2017). Teacher-friendly Education for Process-focused Assessment and Teacher Cognit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3(2), 1-23. 

  9. Jang, K. Y. (2016). Preliminary Mathematicians Training for Connectivity: Program-based Geometry Activity. In H. W. Jang., et al.(ed). School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Connectivity(pp. 21-31) . Seoul: Kyong Moon Sa. 

  10. Hwang H. J., Na, G. S., Choi S. H., Park K. M., Rhin J. H., & Seo D. Y. (2016). The New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Seoul: Moon Eum Sa. 

  11. Ainley, J., Pratt, D., & Hansen, A. (2006). Connecting engagement and focus in pedagogic task design.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2(1), 23-38. 

  12. Anthony, G., & Walshaw, M. (2009). Effective pedagogy in mathematics. In J. Brophy (Ed.), Educational Practices Series -. 19 (pp. 147-164) . Belgium: International Academy of Education (IAE). 

  13. Ball, D. L., Thames, M. H.,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14. Blum, W., Galbraith, P. L., Henn, H. W., & Niss, M. (2007). Modelling and applic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New York: Springer. 

  15. Boaler, J., & Humphreys, C. (2005). Connecting Mathematical Ideas: Middle School Video Cases to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Portsmouth, NH: Heinemann. 

  16. Businskas, A. M. (2008). Conversations about connections: How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conceptualize and contend with mathematical connections. Unpublished dissertation. 

  17. Chapman, O. (2013). Mathematical-task knowledge for teaching.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6, 1-6. 

  18. Courant, R., Robbins, H., & Stewart, I. (1996). What is Mathematics?: an elementary approach to ideas and method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 Creswell, J. W. (2005). 연구설계: 정성연구, 정량연구 및 혼합연구에 대한 실제적인 접근.(강윤수, 고상수, 권오남, 류희찬, 박만구, 방정숙, 이중권, 정인철, 황우형, 공역). 서울: 교우사. (원저는 2003년 출판). 

  20. Healy, L., & Hoyles, C. (1999). Visual and symbolic reasoning in mathematics: making connections with computer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1), 59-84. 

  21. Hiebert, J., & Carpenter, T. P. (1992). Learning and teaching with understanding.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 project of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65-97. 

  22. Hill, H. C., Rowan, B., & Ball, D. L. (2005). Effects of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on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2(2), 371-406. 

  23. Kaiser, G., & Sriraman, B. (2006). A global survey of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modelling in mathematics education. ZDM, 38(3), 302-310. 

  24. Ma, L., (2002). 초등학교 수학 이렇게 가르쳐라.(신현용, 승영조, 공역). 서울: 승산. (원저는 1999년 출판). 

  25. Mhlolo, M.K., Venkat, H., & Schaafer, M. (2012). The nature and quality of the mathematical connections teachers make. Pythagoras, 33(1), Art. #22, 9 pages. http://dx.doi.org/10.4102/pythagoras.v33i1.22 

  2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7). 학교 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0년 출판). 

  2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11). 수학 수업의 현재와 미래.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1991년 출판). 

  28.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29. Singletary, L. M. (2012). Mathematical Connections Made in Practice: An Examination of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https://getd.libs.uga.edu/pdfs/singletary_laura_m_201208_phd.pdf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