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명품에 대한 소비자의 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기 감시와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nsumer's Brand Identification about Luxury Fashion Brand on Brand Attach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Monitoring and Social Self-Esteem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4 no.1, 2016년, pp.97 - 106  

김수진 (전남대학교 가정교육과) ,  위은하 (전남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consumers brand identification of a luxury fashion brand on brand attachment an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influences of self-monitoring and social self-esteem on this effect.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패션명품에 대한 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애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함과 동시에, 브랜드 동일시가 자기 감시와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상호작용하여 브랜드 애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명품에 대한 브랜드 동일시와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상호작용하여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명품에 대한 브랜드 동일시와 자기감시가 상호작용하여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패션명품소비를 유발하는 여러 소비자 특성변인들 중 특히 사회적 관계 안에서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변인들과 더 밀접하게 관련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는 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 특성변인인 자기 감시와 사회적 자아존중감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특히 상징적 소비로 대표시되는 패션명품 소비를 사회와 관련된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 변인인 자기 감시와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변인을 조절변인으로 사용하여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 감시와 사회적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를 파악하여 패션명품브랜드 마케팅에서의 전략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세계 명품 브랜드 시장규모는? 브랜드 시장 중 고가의 패션명품 브랜드 시장은 해가 갈수록 급성장을 이루고 있다. Bain & Company에 의하면 전 세계 명품 브랜드 시장규모는 2014년 기준으로 2,676억 달러로 전년보다 5% 성장하였고, 2019년 세계 명품 시장 규모가 4,0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다[25]. 또한 향후 5년간 세계명품 시장은 19%의 성장이 기대되며, 2014년 기준으로 미국은 733억 달러, 일본 204억 달러, 중국 169억 달러의 규모이다. 특히, 한국의 명품시장은 2006년부터 매해 10% 이상 급성장하여 2014년 기준으로 103억 달러로 성장하였다. 한국의 시장경기가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이렇듯 성장할 수 있는 이유로 부터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브랜드 애착의 정의는? 브랜드 애착은 개인과 특별한 브랜드와의 사이에서 개인이 인지하는 연결의 정도라 정의된다[16]. Ball과 Tasaki [2]는 또 다른 애착의 정의를 말했다.
Snyder가 말한 자기감시가 낮은 사람들의 특징은? Snyder [20]는 자기감시가 높은 사람들은 특히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상황에서 적절한 사람이 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어서, 그들은 사회적 상황에서 그들이 보이는 자기 이미지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이다. 반대로 낮은 자기 감시자들은 사회적 상황에 내보이는 자기 이미지에 관심이 덜하다. 따라서 낮은 자기 감시자들은 상품 이미지보다 제품 특징과 기능성을 장려하는 상품 중심의 광고에 더 호의적인 평가를 한다[20]. 또한 높은 자기 감시자들은 낮은 자기 감시자들에 비해 사회적 상황에 내보이는 자기 이미지에 더 많은 관심이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uvia, A. C. (2005). Beyond the extended self: Loved objects and consumers' identity narrativ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2(1), 171-184. http://dx.doi.org/10.1086/429607 

  2. Ball, A. D., & Tasaki, L. H. (1992). The role and measurement of attachment i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2), 155-172. http://dx.doi.org/10.1207/s15327663jcp0102_04 

  3. Belk, R. W. (1988). Possessions and the extended self.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2), 139-168. http://dx.doi.org/10.1086/209154 

  4.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New York, NY: Basic Books. 

  5. del Rio, A. B., Vazquez, R., & Iglesias, V. (2001). The effects of brand associations on consumer respons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8(5), 410-425. http://dx.doi.org/10.1108/07363760110398808 

  6. Escalas, J. E., & Bettman, J. R. (2005). Self-construal, reference groups, and brand mean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2(3), 378-389. http://dx.doi.org/10.1086/497549 

  7. Euromonitor International. (2015). Luxury goods in South Korea. Retrieved January 4, 2016, from http://www.euromonitor.com/luxury-goods-in-south-korea/report 

  8. Graeff, T. R. (1996). Using promotional messages to manage the effects of brand and self image on brand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13(3), 4-18. http://dx.doi.org/10.1108/07363769610118921 

  9. Grubb, E. L., & Grathwohl, H. L. (1967). Consumer self-concept, symbolism and market behavior: A theoretical approach. Journal of Marketing, 31(4), 22-27. http://dx.doi.org/10.2307/1249461 

  10. Grubb, E. L., & Stern, B. L. (1971). Self-concept and significant other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8(3), 382-385. http://dx.doi.org/10.2307/3149582 

  11. Kim, S. J., & Kim, G. S. (2009). The effect of consumer's brand attachment of fashion luxury product on brand loyalt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1), 1-14. 

  12. Kleine, S. S., Kleine, R. E., 3rd., & Allen, C. T. (1995). How is a possession "me" or "not me"? Characterizing types and an antecedent of material possession attach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3), 327-343. http://dx.doi.org/10.1086/209454 

  13. Lee, M. S. (2009). The relationships among body image, social self concept and clothing behaviors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3), 433-443. http://dx.doi.org/10.5850/jksct.2009.33.3.433 

  14. Lee, S. H., & Chang, Y. K. (2007). Fashion brand attachment and attitudes toward brand exten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1), 151-161. http://dx.doi.org/10.5850/jksct.2007.31.1.151 

  15. Levy, S. J. (1959). Symbols for sales. Harvard Business Review, 37(4), 117-124. 

  16. Schultz, S. E., Kleine, R. E., & Kernan, J. B. (1989). These are a few of my favorite things: Toward an explication of attachment as a consumer behavior construct. In T. K. Skrull &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Ed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16. (pp. 359-366). Prove, UT: The Association for Comsumer Research. 

  17. Shavitt, S., Lowrey, T. M., & Han, S. P. (1992). Attitude functions in advertising: The interactive role of products and self-monitoring.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4), 337-364. http://dx.doi.org/10.1016/s1057-7408(08)80059-9 

  18. Sirgy, M. J. (1982). Self-concept i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3), 287-300. http://dx.doi.org/10.1086/208924 

  19. Snyder, M. (1974). Self-monitoring of expressive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0(4), 526-537. http://dx.doi.org/10.1037/h0037039 

  20. Snyder, M. (1987). Public appearances private realities: The psychology of self-monitoring. New York, NY: W. H. Freeman. 

  21. Snyder, M., & DeBono, K. G. (1985). Appeals to image and claims about quality: Understanding the psychology of advertis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3), 586-597. http://dx.doi.org/10.1037//0022-3514.49.3.586 

  22. Sullivan, L. A., & Harnish, R. J. (1990). Body image: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self-monitoring males and femal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4(3), 291-302. http://dx.doi.org/10.1016/0092-6566(90)90022-x 

  23. Sung, Y. S., Han, M. K., & Park, E. A. (2004). The influence of brand personality on brand attachment: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brand community commitment.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5(3), 15-34. 

  24. Swann, W. B., Jr., De La Ronde, C., & Hixon, J. G. (1994). Authenticity and positivity strivings in marriage and court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5), 857-869. http://dx.doi.org/10.1037/0022-3514.66.5.857 

  25. The International Textile News. (2015, January 5). Global luxury markets. The International Textile News. Retrieved January 4, 2016, from http://www.it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606 

  26. Thomson, M., MacInnis, D. J., & Park, C. W. (2005). The ties that bind: Measuring the strength of consumers' emotional attachments to brand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5(1), 77-91. http://dx.doi.org/10.1207/s15327663jcp1501_10 

  27. Yang, Y., & Seo, Y. J. (2004). The effect of self-congruency and selfmonitoring on brand preferenc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5(1), 53-67. 

  28. Yi, Y., & La, S. (2002). Brand personality-brand identification-brand equity model: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users vs. non-users. Korean Marketing Review, 17(3), 1-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