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삼지구엽초의 부위별 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2, 2016년, pp.188 - 193  

이성현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장미란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물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삼지구엽초의 뿌리, 줄기, 잎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부위를 70%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미오글로빈 보호 효과, FRAP를 추출 농도별(1, 2, 10, 20 mg/mL)로 측정하였다. 부위별 총페놀 함량의 경우 뿌리(2.468 mg), 잎(2.307 mg), 줄기(2.277 mg)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뿌리(2.071 mg), 잎(1.875 mg), 줄기(0.616 mg)로 순으로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미오글로빈 보호 효과 그리고 FRAP 실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플라보노이드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적은 줄기에 비하여 잎과 뿌리의 추출물의 활성이 좋았고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의 경우 뿌리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이는 총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삼지구엽초는 주로 잎 부분이 식용으로 쓰이고 있으며 최근 지상부만을 제한적으로 식품원료로 허용하고 있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지상부 외에 지하부에서도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root, stem, and leaf) of Epimedium koreanum Nakai. Ethanol extracts from the three part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were assessed for total phenolic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1,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2014년 삼지구엽초의 지상부는 침출차, 주류에 제한적으로 식품원료로 인정되면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지구엽초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관련이 있는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미오글로빈 보호 효과 및 FRAP 방법을 통해 항산화능을 평가하여 삼지구엽초의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하지만 DPPH 및 ABTS 라디칼의 경우 실제로 인체 내에 존재하지 않는 라디칼로 생리활성의 의미가 명확하다고 할 수 없다(38). 따라서 생체 라디칼의 반응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생체 내의 미오글로빈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확인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지구엽초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관련이 있는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미오글로빈 보호 효과 및 FRAP 방법을 통해 항산화능을 평가하여 삼지구엽초의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Values within each column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성 및 기능성이 보장된 천연 항산화제의 종류는? 따라서 산화 억제 효과가 뛰어나며 안전하면서 경제적인 항산화제를 천연물로부터 탐색하려는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 중이다(7,8). 안전성 및 기능성이 보장된 천연 항산화제로는 quercetin, kaempferol, naring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류, catechin과 같은 탄닌류, chlorogenic acid, gallic acid, caffeic acid 등의 페놀산, vanillin, curcumin 같은 향신료 및 비타민 C, 비타민 E 등의 비타민류 등이 보고되었다(9,10).
활성산소종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대사회는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더불어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있으나 복잡해지는 사회에 스트레스와 식생활 불균형으로 인하여 다양한 질병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건강기능식품을 통하여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 인간을 비롯한 생물체들은 대사과정 중에 superoxide radical, hydroxyl radical, pe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등과 같은 활성산소종(ROS)을 생성하게 되며 이들의 지속적인 생성 및 과발현은 DNA 손상, 암, 심장질환 등 심각한 질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노화의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ROS를 제거하는 데 관여하는 항산화 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2,3). 이로 인해 효과가 우수한 butylated hydroxytoluene(BHT), butylated hydroxyanisole(BHA)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가 사용되고 있으나(4) 이들 합성 항산화제의 지속적인 섭취로 인한 변이원성과 독성이 지적되고 있다(5,6).
삼지구엽초의 주요성분은 무엇인가? 삼지구엽초에는 141종의 flavonoid, 31종 lignin, 12종 ionones, 9종 phenol glycoside, 6종 phenylethanoid glycodies, 5종 sesquiterpenes 등 260여종의 생리활성 성분이 보고되고 있다(13). 주요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배당체로서 icariin, epimedin A, B, C 등이 있으며 알칼로이드로 magnoflor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14,15). 그중 icariin은 삼지구엽초의 주요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플라보노이드로 호르몬 조절(16), 면역(17), 항암(18), 항산화(19) 등과 같은 생리활성에 작용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e SJ. 2003.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waste food frac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25-828. 

  2. Han EK, Jung EJ, Lee JY, Jin YX, Chung CK. 2011.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6-62. 

  3. Lee JH, Jhoo JW.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parts of Lespedeza bicolor and isolation of antioxidant compound.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763-771. 

  4. Kim SJ, Shin JY, Park YM, Chung KM, Lee JH, Kweon DH. 2006.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41-248. 

  5. Woo NRY, Kim TS, Park HW, Park CG, Seong HJ, Ko SB, Jung JW, Kang MH. 2005.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rotalaria sessiflora L. extracts from leaves, seed, stem and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97-1301. 

  6. Yun JW, Yoo MY, Park BK, Lee MK, Oh DH.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Quercus spp. against food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63-468. 

  7. Kang HI, Kim JY, Kwon SJ, Park KW, Kang JS, Seo KI. 2010. Antioxidative effects of peanut sprou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941-946. 

  8. Joung YM, Park SJ, Lee KY, Lee JY, Suh JK, Hwang SY, Park KE, Kang MH. 2007.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lium species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52-457. 

  9. Hwang SJ, Park SJ, Kim JD. 2013.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enanthe javanica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227-234. 

  10. Kim GH, Choi MH.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in plant origin food.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121-135. 

  11. Ryu MJ, Lee SY, Chung HS. 2013. Effect of Epimedium koreanum Nakai o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J Korean Tea Soc 19: 63-67. 

  12. Kim SJ, Park MS, Ding T, Wang J, Oh DH. 2011. Biological activities of isolated icariin from Epimedium koreanum Naka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397-1403. 

  13. Kang HK, Choi YH, Kwon H, Lee SB, Kim DH, Sung CK, Park YI, Dong MS. 2012. Estrogenic/antiestrogenic activities of a Epimedium koreanum extract and its major components: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Food Chem Toxicol 50: 2751-2759. 

  14. Islam MN, Kim U, Kim DH, Dong MS, Yoo HH. 2012.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based multivariate analysis to predict the estrogenic activity of an Epimedium koreanum extract. Biosci Biotechnol Biochem 76: 923-927. 

  15. Lee TS, Cho JH, Hwang BH. 2005. Extractives from Epimedium koreanum Nakai. J Kor For En 24: 16-23. 

  16. Zhang ZB, Yang QT. 2006. The testosterone mimetic properties of icariin. Asian J Androl 8: 601-605. 

  17. Guo J, Li F, Wu Q, Gong Q, Lu Y, Shi J. 2010. Protective effects of icariin on brain dysfunction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in rats. Phytomedicine 17: 950-955. 

  18. Makarova MN, Pozharitskaya ON, Shikov AN, Tesakova SV, Makarov VG, Tikhonov VP. 2007. Effect of lipid-based suspension of Epimedium koreanum Nakai extract on sexual behavior in rats. J Ethnopharmacol 114: 412-416. 

  19. Li S, Dong P, Wang J, Zhang J, Gu J, Wu X, Wu W, Fei X, Zhang Z, Wang Y, Quan Z, Liu Y. 2010. Icariin, a natural flavonol glycoside, induces apoptosis in human hepatoma SMMC-7721 cells via a ROS/JNK-dependent mitochondrial pathway. Cancer Lett 298: 222-230. 

  20. Park MS, Kim SJ, Wang J, Kim GH, Oh DH. 2012. Immunologic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from Epimedium koreanum Nakai. Korean J Food Preserv 19: 110-115. 

  21. Ramos A, Visozo A, Piloto J, Garcia A, Rodriguez CA, Rivero R. 2003. Screening of antimutagenicity via antioxidant activity in Cuban medicinal plants. J Ethnopharmacol 87: 241-246. 

  22.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3. Terashima M, Watanabe R, Ueki M, Matsumura S. 2010.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for various substances with 5-axe cobweb chart. Food Chem 120: 150-155. 

  24.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5. Kim EJ, Choi JY, Yu M, Kim MY, Lee S, Lee B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26. Hwang JS, Lee BH, An X, Jeong HR, Kim YE, Lee I, Lee H, Kim DO. 2015.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the leaves, bulbs, and roots of Allium hookeri.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261-266. 

  27. Cushnie TP, Lamb AJ.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flavonoids. Int J Antimicrob Agents 26: 343-356. 

  28. Zhao HY, Sun JH, Fan MX, Fan L, Zhou L, Li Z, Han J, Wang BR, Guo DA. 2008.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Epimedium plant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A 1190: 157-181. 

  29. Choi JM, Ahn JB. 2012. Functional properties of 50%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73-377. 

  30. Park BJ. 2008. Isolation of main compon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n the stem and root of Rosa rugosa. Korean J Plant Res 21: 402-407. 

  31. Yang YR, Park YK. 2011.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onion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 954-960. 

  32. Noh JE, Yoon SR, Lim AK, Kim HJ, Huh D, Kim DI. 2012. A study on the yield of functional components of citrus peel extracts using optimized hot water extraction and enzymatic hydrolysi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51-55. 

  33. Chung HJ. 2010.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part extracts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winter cherry). Korean J Food Preserv 17: 867-873. 

  34. Seo SJ, Shim KB, Kim NW. 2011.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Nandina domestica fru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371-1377. 

  35. Woo JH, Shin SL, Chang YD, Lee CH. 2009. Screening for antioxidant effects of aerial part extracts obtained from sixteen compositae species. Flower Res J 17: 271-278. 

  36. Prior RL, Wu X, Schaich K. 2005. Standardiz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 Food Chem 53: 4290-4302. 

  37. Kwak JH, Choi GN, Park JH, Kim JH, Jeong HR, Jeong CH, Heo HJ. 2010.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purple sweet potato extract. J Agric Life Sci 44: 57-66. 

  38. Terashima M, Nakatani I, Harima A, Nakamura S, Shiiba M. 2007. New method to evaluate water-soluble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protein structural change. J Agric Food Chem 55: 165-169. 

  39. Terashima M, Kakuno Y, Kitano N, Matsuoka C, Murase M, Togo N, Watanabe R, Matsumura S.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evaluated with myoglobin method. Plant Cell Rep 31: 291-298. 

  40. An S, Park HS, Kim GH. 2014.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oked gomchwi (Ligularia fischeri) using the myoglobin methods. Prev Nutr Food Sci 19: 34-39. 

  41. Mok JY, Kang HJ, Cho JK, Jeon IH, Kim HS, Park JM, Jeong SI, Shim JS, Jang SI. 2011.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or J Herbology 26: 39-47. 

  42.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 Biol Med 20: 933-9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