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인을 위한 과학대중화 콘텐츠 개발의 효율성 제고 방안
A Study for Enhancing Efficiency in PUS Contents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2, 2016년, pp.117 - 128  

손향구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기술로 인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점차 증가하며 정책결정과정에 대중의 참여가 요구되고 이로 인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과학대중화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과학 대중화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지만 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정부지원기관인 과학관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만이 주로 제공되고 있으며 과학전문 채널의 시청률은 매우 저조한 상태이다. 한편, 최근 들어 민간분야에서 저예산으로 제작된 일부 콘텐츠가 대중들로부터 상당한 호응을 얻고 있는데, 이는 흥미 있는 주제 선별, 대중의 눈높이, 외부전문가활용, 양방향 소통방식 등의 요소를 적절히 고려하며, 대중의 요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한 것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모형에 근거한 PUS(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과학대중화이론)이론에 기초하여 팟캐스트 기반 프로그램, 현장강연 사례, 민간기업 전시행사와 팹랩 등의 민간분야 콘텐츠를 분석하고 이의 성공요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나아가 향후 우리 정부가 과학대중화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민간분야 콘텐츠 제작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양자 간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시너지효과를 창출해야한다는 사실을 환기시킨 후 이에 필요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wing socio-economic effect caused by science and technology requires public to participate in policy-making process, which makes government to boost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PUS). Government has also exerted to construct infra for PUS. However results are not so meaningful. The govern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인간과 자연에 대한 존재론과 인식론, 건강과 수명에 대한 관련성에 대해 대중들이 갖는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을 들 수 있다. 과거에는 종교나 인문학에서만 다루던 이러한 문제들이 최근에는 진화론, 뇌 과학, 입자물리, 우주론 등의 연구를 통해 좀 더 명확한 답을 구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대중의 관심이 점차 과학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 결과적으로, PUS 관점은 과학지식의 수용과정에서 대중의 인식적 지위, 지식의 존재론적 성격, 대중과의 소통방식 등을 기존의 주장과 다른 관점에서 정의함으로써, 성공적인 과학대중화의 기준과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새롭게 제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 또한 상호작용모형에 기초하여 정부지원을 받는 과학관, YTN사이언스 콘텐츠와 민간분야에서 제작된 온라인 기반 콘텐츠, 현장강연 등을 비교 분석하여 이들이 PUS관점에서 요구되는 기준과 방안을 만족시켰는지 여부에 따라 성패 요인을 정리하였다.
  • 본 연구는 과거 우리정부가 추진해온 과학대중화정책의 역사와 현황을 간단히 정리하고 이의 실효성과 문제점을 진단한 후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상호작용 모형에 근거한 PUS(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과학대중화이론)이론을 분석틀로 사용하여 그동안 정부주도로 이루어진 사업과 앞서 제시된 민간분야 성공 사례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다양한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성장해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는 민간 분야 콘텐츠가 기존의 콘텐츠에 비해 갖는 차별성과 이들이 갖는 효과의 근거를 이론적인 틀 속에서 정리하고, 민간 분야에서 성장해 온 인적·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활용하여 과학대중화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을 제안하였으며, 무엇보다 제한된 비용 내에서 시너지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현실성 있는 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한 점에서 적지 않은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 첫째, 과학기술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관리 통제하는 과정에 대중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을 들 수 있다. 현대인의 삶은 많은 부분 과학기술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경제적 이익이나 위험이 매우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때로는 담당 전문가라 하더라도 정확한 해답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중과 과학 간에 존재하는 괴리는 과학지식의 특별함에 원인이 있는데, 이러한 과학지식의 특별함은 무엇인가? 대중과 과학 간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이러한 괴리는 과학지식의 특별함에 일차적인 원인이 있다. 과학지식에는 난이도 높은 내용이 수학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을 통해 서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연구결과 또한 까다로운 재현과 엄격한 심사 기준을 만족해야 공식적인 인정이 이루어진다. 과학이 갖는 이러한 특성은 일상을 통해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것이므로 대중들은 결국 과학지식을 자신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전문가들만의 특수한 영역으로 간주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과학 대중화를 선도하고 있는 매체는? 한편, 과학대중화에 대한 정부지원이 이렇다 할 실효를 거두고 있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과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점차 확산되는 분위기인데 이는 최근 민간에서 시도되고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부분적으로나마 성과를 거두고 있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주로 TV, 신문, 잡지, 도서, 영화 등의 매체를 이용하여 과학 대중화를 선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온라인 공개강연 플랫폼, 팟캐스트,3) 기타 동영상서비스같은 IT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그 효과를 증진시키고 있다. 이밖에도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흥미 있는 강연을 현장에서 제공하는 몇몇 프로그램도 상당한 호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과학기술대중화사업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우리나라의 과학기술대중화사업은 1967년 과학기술처가 발족되며 추진되기 시작했다.4) 당시 사업은 주로 단순한 계몽이나 영농과학화를 통해 농어민 수입을 증대하는데 일차적 목표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학수, "과학문화 활성화를 위한 매스미디어의 역할과 과제," 과학문화연구센터 이해증진사업 정책토론회 발표문, 2003. 

  2. 박진희, 과학문화 법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3. 강윤재, "국가 종합위험관리시스템 구축과 위험 관리의 패러다임 전환," 과학기술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65-171, 2010. 

  4. 김동광, 과학대중화의 새로운 가능성 모색 : 기존의 일방향적 과학대중화론 비판과 '대중의 과학이 해(PUS)'의 상호작용 모형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5. 이영희, "과학기술 대중호의 새로운 모델: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제6권, 제1호, pp.204-229, 1997. 

  6. 김희경, "과학전문 채널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160-169, 2012. 

  7. 미래창조과학부, 제3차 과학관육성기본계획: 세계가 주목하는 과학콘텐츠 강국(2014-2018), 2014. 

  8. 신영준, 신명경, 전영석, 정광훈, 임두원, 문만용, 임지은, 이봉우, "국내 중소 과학관 현황 분석: 과학관의 조직, 운영,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3권, 제2호, pp.359-372, 2013. 

  9. 이유정, 과학관의 사회적 역할과 발전방향에 대한 소고, 서강대학교 대학원: 과학커뮤니케이션 협동과정, 석사학위논문, pp.21-51, 2011. 

  10. 권호영, 과학콘텐츠 프로덕션 설립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4. 

  11. 송해룡, 김원제, 조항민, "국내 과학전문 채널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 및 홍보전략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103-112, 2012. 

  12. 고홍숙, "과학대중화를 위한 방송프로그램 제작의 활성화 방안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4호, pp.5-47, 2012. 

  13. http://www.podbbang.com. 

  14. 김명자, 영상매체를 이용한 과학 대중화 연구,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보고서, 1998. 

  15. http://cafe.naver.com/namusd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