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관련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linical Practice-related Fatigue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2, 2016년, pp.456 - 466  

박수정 (서영대학교 간호학과) ,  최자윤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관련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임상실습이 끝난 직후 3학년과 4학년 간호 대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12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질문지법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실습 스트레스, 불안, 분노, 자기효능감, 수면의 질이 피로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관련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면의 질, 불안, 운동빈도, 임상실습 스트레스 이었으며, 이들 변인은 임상실습 관련 피로 총 변량의 33.6%를 설명하였다. 수면의 질이 임상실습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불안이 수면의 질과 관련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피로와 관련된 중재를 계획할 때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규칙적인 운동으로 자신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수면의 질 또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linical practice-related fatigu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distributed among 129 juniors and seniors (3rd and 4th year students) in nursing college at the G city, who were at the e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3학년과 4학년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 불안, 분노, 자기효능감, 수면의 질이 임상실습과 관련된 피로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관련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하는 간호 대학생의 피로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임상상황에 노출되는 실습교과에 참여하는 간호대학생의피로를 조기에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하는 간호 대학생의 피로를 파악하고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관련 피로의 감소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관련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면의 질, 불안, 운동 빈도, 임상실습 스트레스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3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로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피로란 인간의 삶에서 경험하는 보편적인 현상이며[1], 건강한 사람과 환자 모두 경험하는 주관적이고 불쾌한 증상으로[2] 지침, 부담, 억눌림, 고갈, 무력, 불균형의 속성을 가지고 일상생활 능력을 저하시키며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경고 증상으로도 간주된다[1]. 피로는 지속기간과 특성에 따라 만성과 급성 피로로 구분되는데, 만성 피로는 서서히 발생하여 장기간 지속되며 원인이 명확하지 않고 휴식, 식이,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로 완화되지 않으며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급성피로는 건강인에게 갑자기 발생하여 지속 기간이 짧고, 휴식, 식이,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 등으로 완화되므로 급성기 때 조기 발견하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3].
피로란 무엇으로 간주되는가? 피로란 인간의 삶에서 경험하는 보편적인 현상이며[1], 건강한 사람과 환자 모두 경험하는 주관적이고 불쾌한 증상으로[2] 지침, 부담, 억눌림, 고갈, 무력, 불균형의 속성을 가지고 일상생활 능력을 저하시키며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경고 증상으로도 간주된다[1]. 피로는 지속기간과 특성에 따라 만성과 급성 피로로 구분되는데, 만성 피로는 서서히 발생하여 장기간 지속되며 원인이 명확하지 않고 휴식, 식이,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로 완화되지 않으며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급성피로는 건강인에게 갑자기 발생하여 지속 기간이 짧고, 휴식, 식이,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 등으로 완화되므로 급성기 때 조기 발견하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3].
간호 대학생의 피로는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종단적 연구에서 재학 3년 동안 피로가 30%에서41%로 증가하였는데, 학년에 따라 소진(exhaustion)과 이탈(disengagement)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피로는 교실 내 참여 및 최종학년에서 직업적 준비를 감소시키고, 또한 졸업 1년 후 임상 수행 능력을 저하시키며 이직의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10]. 따라서 간호대학 재학생 때부터 피로에 대한 대처능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며 급성피로가 만성화되기 전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피로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최의순, 송민선, "피로의 개념분석,"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9권, 제1호, pp.61-69, 2003. 

  2. M. Fu, P. LeMone, R. W. McDaniel, and C. Bausler, "A multivariate validation of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fatigue," Nursing Diagnosis, Vol.12, No.1, pp.15-27, 2001. 

  3. 임경혜, 심은정,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만성피로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20권, 제1호, pp.139-159, 2015. 

  4. L. M. Barker, and M. A. Nussbaum, "Fatigue, performance and the work environment: a survey of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7, No.6, pp.1370-1382, 2011. 

  5. J. Fang, C. Qiu, H. Xu, and G. You, "A model for predicting acute and chronic fatigue in Chinese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9, No.3, pp.546-558, 2013. 

  6. S. Rella, P. C. Winwood, and K. Lushington, "When does nursing burnout begin? An investigation of the fatigue experience of Australi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7, No.7, pp.886-897, 2009. 

  7. K. Suzuki, T. Ohida, Y. Kaneita, E. Yokoyama, and M. Uchiyama, "Daytime sleepiness, sleep habits and occupational accidents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52, No.4, pp.445-453, 2005. 

  8. J. P. Cimiotti, L. H. Aiken, D. M. Sloane, and E. S. Wu, "Nurse staffing, burnout, and health care -associated infection,"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Vol.40, No.6, pp.486-490, 2012. 

  9. H. K. S. Laschinger, J. Finegan, and P. Wilk, "New graduate burnout: the impact of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 workplace civility, and empowerment," Nursing Economic. Vol.27, No.6, pp.377-383, 2009. 

  10. A. Rudman and J. P. Gustavsson, "Burnout during nursing education predicts lower occupational preparedness and future clinical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9, No.8, pp.988-1001, 2012. 

  11. 한상영, 이영미,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시 스트레스에 따른 불안, 분노 및 피로경험,"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554-561, 2012. 

  12. 박미영, "간호학생의 임상실습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분노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7권, 제1호, pp.7-21, 2001. 

  13. 김은희, 서순림,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피로와 자기효능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328-336, 2014. 

  14. 최현영,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스트레스 요인과의 관계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15. 김순례, 이종은,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1권, 제1호, pp.98-106, 2005. 

  16. 김정택, 신동균, "STAI 의 한국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제21권, 제10호, pp.1223-1229, 1978. 

  17. C. D. Spielberger,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Research edition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88. 

  18. 한덕웅, 이장호, 전겸구, "건강: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STAXI-K): 대학생 집단,"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3권, 제1호, pp.18-32, 1998. 

  19.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and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51, No.2, pp.663-671, 1982. 

  20. 홍혜영,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21. D. J. Buysse, C. F. Reynolds, T. H. Monk, S. R. Berman, and D. J. Kupfer,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Vol.28, No.2, pp.193-213, 1989. 

  22. 김경덕, 노인의 수면의 질과 정서적 건강상태,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3. 이경미,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피로 및 직무 만족도 관계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4. 박인순, 김창숙, 김란, 김영재, 박명희, "일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불안 및 피로조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51-160, 2005. 

  25. 김은희,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피로, 임상실습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40권, 제1호, pp.24-36, 2015. 

  26. 박영남,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교대근무와 수면문제 및 피로자각증상과의 관련성,"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37-47, 2007. 

  27. 소희영, 윤현숙, 조영채,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수면의 질과 관련요인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13-525, 2008. 

  28. L. Ching-Yi, C. Hsi-Chung, T. Mei-Chih Meg, L. Hsin-Chien, and H. Lian-Hua, "The Relationships Among Sleep Quality and Chronotype, Emotional Disturbance, and Insomnia Vulnerability in Shift Nurses," The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23, No.3, pp.225-235, 2015. 

  29. 강지연, 김금순, "아로마테라피가 첫 임상실습을 경험하는 간호학생의 불안과 피로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제9권, 제2호, pp.226-236, 2002. 

  30. V. Bitsika, C. F. Sharpley, and R. Bell, "The contribution of anxiety and depression to fatigue among a sample of Australian university students: suggestions for university counsellors," Counselling Psychology Quarterly, Vol.22, No.2, pp.243-255, 2009. 

  31. 박안숙, 권인선, 조영채,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피로수준 및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8호, pp.2164-2172, 2009. 

  32. J. Chen, K. G. Davis, N. M. Daraiseh, W. Pan, and L. S. Davis, "Fatigue and recovery in 12-hour dayshift hospital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22, No.5, pp.593-603, 2014. 

  33. 신은주, 김남초, "빠르게 걷기 운동이 과체중 태음인 대학생의 피로, 혈중지질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61-572, 2008. 

  34. T. Henwood, A. Tuckett, and C. Turner, "What makes a healthier nurse, workplace or leisure physical activity? Informed by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e-Cohort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1, No.11, pp.1746-1754, 2012. 

  35. 김영경, 이지원, "간호학생이 경험한 피로에 대한 의미," 질적연구, 제6권, 제2호, pp.15-33,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