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관리학 교과에서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학습활동의 효과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on Application of Learning Portfolio in Nursing Management Cours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1, 2016년, pp.90 - 99  

최소은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아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a learning portfolio by identifying the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taking a learning portfolio-utilized nursing management clas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83 senior student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학습몰입은 비교적 최근에 소개된 개념으로 학습자의 과정과 결과를 직간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학습자 변인으로 학습효과 측정에 유용한 변수라 할 수 있으나[16,17], 학습몰입을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학습의 효과로서 검증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선행 연구와 결과를 비교 분석하는 대신 본 연구 결과의 의의를 기술하고자 한다. 몰입이론이 학습상황에서 주목을 끄는 것은 몰입경험 자체가 만족감이 되어 내재적 동기를 증진시키고 높은 성취로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70[11,15]이었고, 이를 토대로 효과의 크기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최종 대상자에 대한 표본크기의 적정성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후검정력을 확인하였다. 중재 전·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 값은 실험군 0.
  •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습포트폴리오의 평가과정과 기준에 대해 타당성과 투명성을 학생들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대화소통이 중요하다는 판단 하에 주관적 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평가표 수정에 학생들을 참여하게 하였고, 평가항목과 기준에 대해 풍부한 사례를 예시하여 학생들의 불안을 제거하도록 노력하였다. 포트폴리오 평가 기준이 정확하지 않거나 학생들이 기대한 만큼 성적을 받지 못하면 제작에 노력을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27], 평가방법에 대해 학생으로부터 신뢰를 확보한 점이 학습활동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간호관리학 수업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간호관리학 교과 운영이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간호 관리학 교육방법론 개발과 학습포트폴리오의 도입 및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간호관리학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심층적 학습접근방식 및 학습몰입을 향상시키는데 효과 적임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간호관리학 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새로 개발된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교육적 중재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고자 유사실험설계를 선택하였다. 이 설계의 약점은 주로 명확한 인과성 진술이 어렵다는 점이 있지만, 외생 변수를 통제할 수 있는 통계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할 수 있어[28], 가설 검증 시에는 각 종속변수의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처리하는 ANCOVA 분석 방법을 사용하고, 사후검정력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 따라서, 학습자들의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심층적 학습접근방식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작업부하를 줄일 수 있는 적절한 구성항목과 효율적인 작성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에 관련된 항목만을 포함한 학습포트폴리오를 작성하도록 안내하고, 필수적 항목에 대한 양식과 사례 제시, 구조화된 성찰일지 제시 등, 학습자들이 느낄 수 있는 과도한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로 인해 표면적 학습접근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심층적 학습접근이 유도된 것으로 생각된다.
  • 사전 조사는 2014년 9월 2일 간호관리학 수업 시작 전에 미리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접근방식, 학습몰입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후 조사는 수업 종료 후 2014년 12월 16일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일반적 특성을 제외한 종속 변수를 측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관리학 교과를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개발하고 운영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학습포트폴리오 적용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접근방식과 학습자의 과정과 결과를 직간접적으로 예측할 것으로 사료되는 학습몰입 변수를 선정하여 간호대학생에게도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관리학 교과를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개발하고 운영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학습포트폴리오 적용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접근방식과 학습자의 과정과 결과를 직간접적으로 예측할 것으로 사료되는 학습몰입 변수를 선정하여 간호대학생에게도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2.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간호관리학 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심층적 학습접근방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1.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간호관리학 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4. 학습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간호관리학 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학습몰입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들에게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학습활동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이에 학습자의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역량 강화가 중요해지면서 대학생의 실천적 지식 구성, 반성적 사고 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포트폴리오(portfolio) 를 활용한 학습활동이 활용되고 있다[3,4].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학습활동은 학생들의 학습 최종결과물을 평가하는 체계적인 과정인 동시에 역동적인 수업전략으로, 많은 국가에서 간호사의 전문직 개발과정에 대한 기록과 간호학생들의 학습 성장과정 평가(formative assessment) 및 성과평가(summative assessment)를 위한 효과적인 접근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5,6].
학습포트폴리오 작성 활동을 통해 결과적으로 어떤 의의를 갖는가? 학습포트폴리오 작성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자기주도학습 능력, 이론과 실제를 통합하는 능력이 향상되고, 교수자로 하여금 학생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5,6,10,11], 학습자 중심의 학습 유도 및 학습자의 자기성찰 촉진[7,12], 학습과정과 학습성과의 연결[13], 학습자의 적극성 지지와 학습역량 개발 [14,15] 등이 촉진되게 된다. 즉, 학습포트폴리오는 학습과정과 결과에 대한 종합적 관리 및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지원시스템으로, 자신의 학습활동에 대한 성찰을 통해 반성과 책임의 식을 갖고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주도해 나간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학습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되면, 학습자는 학습 과정 전체에 대한 긍정적 심리상태라는 내적 보상을 경험 하면서 학습과정에 몰입하게 된다.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역량 강화로 인해 어떤 학습활동이 생기는가? 이에 학습자의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역량 강화가 중요해지면서 대학생의 실천적 지식 구성, 반성적 사고 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포트폴리오(portfolio) 를 활용한 학습활동이 활용되고 있다[3,4].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학습활동은 학생들의 학습 최종결과물을 평가하는 체계적인 과정인 동시에 역동적인 수업전략으로, 많은 국가에서 간호사의 전문직 개발과정에 대한 기록과 간호학생들의 학습 성장과정 평가(formative assessment) 및 성과평가(summative assessment)를 위한 효과적인 접근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Nurses' core competencies and nursing education learning outcomes [Internet]. Seoul: Author; 2012 [cited 2012 December 10]. Available from: http://kabon.or.kr/HyAdmin/upload/goodFile/120121127132143.pdf. 

  2. Jang KS, Park SJ. Effects of action learning approaches on learning outcomes in nursing management co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4):442-451.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442 

  3. Kuisma R. Portfolio assessment of an undergraduate group project.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007;32(5):557-569. http://dx.doi.org/10.1080/02602930601116904 

  4. Timmins F. Take time to facilitate self-directed learning.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08;8(5):302-305. http://dx.doi.org/10.1016/j.nepr.2008.02.004 

  5. Timmins F, Dunne PJ. An exploration of the current use and benefit of nursing student portfolios. Nurse Education Today. 2009;29(3):330-341. http://dx.doi.org/10.1016/j.nedt.2008.12.010 

  6. Buckley S, Coleman J, Davison I, Khan KS, Zamora J, Malick S, et al. The educational effects of portfolios on undergraduate student learning: A best evidence medical education (BEME) systematic review. BEME Guide No. 11. Medical Teacher. 2009;31(4):282-298. http://dx.doi.org/10.1080/01421590902889897 

  7. Zubizarreta J, Millis BJ. The learning portfolio: Reflective practice for improving student learning. 2n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9. 

  8. Van Tartwijk J, Driessen EW. Portfolios for assessment and learning: AMEE Guide no. 45. Medical Teacher. 2009;31(9):790-801. http://dx.doi.org/10.1080/01421590903139201 

  9. Baeten M, Dochy F, Struyven K.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and assessment preferences in a portfolio-based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al Science. 2008;36(5):359-374. http://dx.doi.org/10.1007/s11251-008-9060-y 

  10. Kicken W, Brand-Gruwel S, van Merrie nboer J, Slot W. Design and evaluation of a development portfolio: How to improv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Instructional Science. 2009;37(5):453-473. http://dx.doi.org/10.1007/s11251-008-9058-5 

  11. Mofrad MN, Karami M. The effects of portfolio method on self-directed learning (SDL) of nursing students. Biosciences Biotechnology Research Asia. 2013;10(2):817-821. http://dx.doi.org/10.13005/bbra/1201 

  12. Jones E. A professional practice portfolio for quality learning. Higher Education Quarterly. 2010;64(3):292-312. http://dx.doi.org/10.1111/j.1468-2273.2010.00458.x 

  13. Kear ME, Bear M. Using portfolio evaluation for program outcome assessment.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7;46(3):109-114. 

  14. Park SH, Bae SH. A case study about the learning competency for students through learning portfolio.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08;8(2):159-179. 

  15. Bahreini M, Moattari M, Shahamat S, Dobaradaran S, Ravanipour M. Improvement of Iranian nurses' competence through professional portfolio: A quasi-experimental study. Nursing & Health Sciences. 2013;15(1):51-57. http://dx.doi.org/10.1111/j.1442-2018.2012.00733.x 

  16. Park HG.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 motivation factors and self-directed learning [dissertation]. Seoul: Hong-Ik University; 2010. 

  17. Lee JH.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metacogn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school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10;48(2):67-92. 

  18. Kim A, Tack H, Lee CH.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earning flow scale for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10;24(1):39-59. 

  19. Kim EK, Kim SY, Jung MS, Jang KS, Kim J, Kim JK, et al. Current status and considerations for education in nursing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238-246.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238 

  20. Rossetti J, Oldenburg N, Fisher-Robertson J, Coyer SM, Koren ME, Peters B, et al. Creating a culture of evidence in nursing education using student portfolio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2012. Forthcoming. 

  21. Lee SJ, Chang YK, Lee HN, Park K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03. Report No.: RR 2003-15-3. 

  22. Biggs J, Kember D, Leung DY. The revised two-factor study process questionnaire: R-SPQ-2F. Th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1;71(Pt 1):133-149. 

  23. Hwang SJ. The effect of utilization of learning portfolios on approaches to learning and learners' perception [master's thesis]. Ando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2011. 

  24. Tompkins M, Paquette-Frenette D. Learning portfolio models in health regulatory colleges of Ontario, Canada.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2010;30(1):57-64. http://dx.doi.org/10.1002/chp.20057 

  25. Zubizarreta J. The learning portfolio: Reflective practice for improving student learning. Bolton, MA: Anker; 2004. 

  26. Yang JH, Yang B.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with facilitator in problem-based learning class. Asian Nursing Research. 2013;7(4):198-204. http://dx.doi.org/10.1016/j.anr.2013.10.002 

  27. Struyven K, Dochy F, Janssens S. Students' perceptions about evaluation and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A review.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2005;30(4):325-341. http://dx.doi.org/10.1080/02602930500099102 

  28. LoBiondo-Wood G, Haber J. Nursing research: Methods and critical appraisal for evidence-based practice. 8th ed. St. Louis, MO: Mosby; 2014. 

  29. Park HJ, Byun HS. Experiences on application of learning portfolio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4):534-547.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4.534 

  30. McMullan M. Using portfolios for clinical practice learning and assessment: The pre-registration nursing student's perspective. Nurse Education Today. 2008;28(7):873-879. http://dx.doi.org/10.1016/j.nedt.2007.11.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