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Intensive Care Delirium Screening Tool (KICDS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1, 2016년, pp.149 - 158  

남애리나 (아주대학교의료원 간호부.아주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박지원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of the Korean intensive care delirium screening tool (KICDST). Methods: The KICDST was developed in 5 steps: Configuration of conceptual frame, development of preliminary tool, pilot study,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development of final KICDST. Reliabi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사는 환자와 주기적으로 접촉하면서 환자 변화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는, 섬망 발견에 가장 적합한 인력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를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KICDST)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는 4점 이상에서 중환자 섬망 선별이 가능하며, 도구의 민감도와 특이도 및 정분류률이 높게 나타나 임상에서 타당성 있는 섬망 선별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 측정도구의 절단점은 민감도와 특이도가 모두 높은 점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나, 목적에 따라 민감도나 특이도 중 하나를 좀 더 높게 하는 점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질환의 선별이 중요하다면 도구의 민감도를 높이도록 절단점을 산정할 수 있다[21].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 섬망을 빠르게 선별하기 위해, 특이도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민감도가 높은 수준을 절단점으로 결정하였다. 섬망 진단 유무를 정확히 예측한 정분류율은 94.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 섬망의 특성을 확인하여 중환자실 간호사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를 개발하고, 국내 중환자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가 중환자 섬망을 신속하게 선별하여 섬망의 조기 진단을 돕고, 섬망 간호중재 및 프로토콜 개발에 기초 선별도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 섬망의 특성을 확인하여 중환자실 간호사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중환자 섬망 선별도구를 개발하고, 국내 중환자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가 중환자 섬망을 신속하게 선별하여 섬망의 조기 진단을 돕고, 섬망 간호중재 및 프로토콜 개발에 기초 선별도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이란 무엇인가 섬망은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광범위한 정신학적 증후군으로, 의식장애와 주의·집중력장애를 포함한 전반적인 인지기능장애 및 행동장애와 증상의 변동이 심한 것이 특징이다[1].
중환자 섬망 발생이 쉬운 이유는 무엇인가 섬망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병리학적 상황에서 발생하고, 원인이 제거되는 경우 섬망의 징후가 사라지며, 증상의 변동이 있기 때문에 진단이 쉽지 않다. 중환자실 환자의 경우, 많은 모니터 라인과 도관들의 부착, 빈번한 처치와 응급상황 등으로 섬망이 발생되기 쉬우며, 중환자실에서 환자들은 수면장애와 불안을 경험하고, 소음에 노출됨으로써 섬망 발생 위험성이 커질 수 있다[1,2].
섬망의 특징은 무엇인가 섬망은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광범위한 정신학적 증후군으로, 의식장애와 주의·집중력장애를 포함한 전반적인 인지기능장애 및 행동장애와 증상의 변동이 심한 것이 특징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own TM, Boyle MF. Delirium. BMJ: British Medical Journal. 2002;325(7365):644-647. http://dx.doi.org/10.1136/bmj.325.7365.644 

  2. Devlin JW, Fong JJ, Fraser GL, Riker RR. Delirium assessment in the critically ill. Intensive Care Mdicine. 2007;33(6):929-940. http://dx.doi.org/10.1007/s00134-007-0603-5 

  3. Ely EW, Inouye SK, Bernard GR, Gordon S, Francis J, May L, et al. Delirium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CAM-ICU).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1;286(21):2703-2710. http://dx.doi.org/10.1001/jama.286.21.2703 

  4. Heo EY, Lee BJ, Hahm BJ, Song EH, Lee HA, Yoo CG, et al.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BMC Psychiatry. 2011;11:94. http://dx.doi.org/10.1186/1471-244x-11-94 

  5. van Eijk MM, van Marum RJ, Klijn IA, de Wit N, Kesecioglu J, Slooter AJ. Comparison of delirium assessment tools in a mixed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Medicine. 2009;37(6):1881-1885. http://dx.doi.org/10.1097/CCM.0b013e3181a00118 

  6. Ely EW, Shintani A, Truman B, Speroff T, Gordon SM, Harrell FE, Jr., et al. Delirium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4;291(14):1753-1762. http://dx.doi.org/10.1001/jama.291.14.1753 

  7. Dubois MJ, Bergeron N, Dumont M, Dial S, Skrobik Y. Delirium in an intensive care unit: A study of risk factors. Intensive Care Medicine. 2001;27(8):1297-1304. http://dx.doi.org/10.1007/s001340101017 

  8. Suh HJ, Yoo YS.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and stress about deliri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7;19(1):55-65. 

  9. Plaschke K, von Haken R, Scholz M, Engelhardt R, Brobeil A, Martin E, et al. Comparison of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CAM-ICU) with the intensive care delirium screening checklist (ICDSC) for delirium in critical care patients gives high agreement rate(s). Intensive Care Medicine. 2008;34(3):431-436. http://dx.doi.org/10.1007/s00134-007-0920-8 

  10. Gaudreau JD, Gagnon P, Harel F, Tremblay A, Roy MA. Fast, systematic, and continuous delirium assessment in hospitalized patients: The 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5;29(4):368-375.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04.07.009 

  11. Fagundes JA, Tomasi CD, Giombelli VR, Alves SC, de Macedo RC, Topanotti MF, et al. CAM-ICU and ICDSC agreement in medical and surgical ICU patients is influenced by disease severity. PLoS One. 2012;7(11):e51010.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51010 

  12. Roberts B, Rickard CM, Rajbhandari D, Turner G, Clarke J, Hill D, et al. Multicentre study of delirium in ICU patients using a simple screening tool. Australian Critical Care. 2005;18(1):6-16. http://dx.doi.org/10.1016/S1036-7314(05)80019-0 

  13. Kim KN, Kim CH, Kim KI, Yoo HJ, Park SY, Park Y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nursing delirium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3):414-423. http://dx.doi.org/10.4040/jkan.2012.42.3.414 

  14. Justic M. Does "ICU psychosis" really exist? Critical Care Nurse. 2000;20(3):28-37. 

  15. Sessler CN, Gosnell MS, Grap MJ, Brophy GM, O'Neal PV, Keane KA, et al. The Richmond agitation-sedation scal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adult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02;166(10):1338-1344. http://dx.doi.org/10.1164/rccm.2107138 

  16. Peterson JF, Pun BT, Dittus RS, Thomason JW, Jackson JC, Shintani AK, et al. Delirium and its motoric subtypes: A study of 614 critically ill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6;54(3):479-484.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5.00621.x 

  1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DSM-4). Washington, DC: Author; 1994.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tenth revision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ICD-10). Geneva, CH: Author; 1992. 

  19.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5.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17 

  20. Devlin JW, Marquis F, Riker RR, Robbins T, Garpestad E, Fong JJ, et al. Combined didactic and scenario-based education improves the ability of intensive care unit staff to recognize delirium at the bedside. Critical Care. 2008;12(1):R19. http://dx.doi.org/10.1186/cc6793 

  21. Kwak JH, Kim JB, Choi JS, Kim HC, Jung SW, Lee EJ, et al. Study on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psychiatric diagnostic screening questionnaire: The optimal cutoff score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12;51(2):77-84. http://dx.doi.org/10.4306/jknpa.2012.51.2.77 

  22. Jain G, Chakrabarti S, Kulhara P. Symptoms of delirium: An exploratory factor analytic study among referred patient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11;33(4):377-385. http://dx.doi.org/10.1016/j.genhosppsych.2011.05.001 

  23. Franco JG, Trzepacz PT, Meagher DJ, Kean J, Lee Y, Kim JL, et al. Three core domains of delirium validated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Psychosomatics. 2013;54(3):227-238. http://dx.doi.org/10.1016/j.psym.2012.06.010 

  24. George C, Nair JS, Ebenezer JA, Gangadharan A, Christudas A, Gnanaseelan LK, et al. Validation of the intensive care delirium screening checklist in nonintubated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in a resource-poor medical intensive care setting in South India. Journal of Critical Care. 2011;26(2):138-143. http://dx.doi.org/10.1016/j.jcrc.2010.11.002 

  25. Trzepacz PT. The neuropathogenesis of delirium. A need to focus our research. Psychosomatics. 1994;35(4):374-391. http://dx.doi.org/10.1016/s0033-3182(94)71759-x 

  26. Ross CA, Peyser CE, Shapiro I, Folstein MF. Delirium: Phenomenologic and etiologic subtype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1991;3(2):135-147. http://dx.doi.org/10.1017/s1041610291000613 

  27. Fann JR, Alfano CM, Burington BE, Roth-Roemer S, Katon WJ, Syrjala KL. Clinical presentation of delirium in patients undergo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ancer. 2005;103(4):810-820. http://dx.doi.org/10.1002/cncr.20845 

  28. Morency CR, Levkoff SE, Dick KL. Research considerations. Delirium in hospitalized elder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994;20(8):24-30. http://dx.doi.org/10.3928/0098-9134-19940801-06 

  29. Yang YH. Comprehension and knowledge about delirium in nurses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or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0;16(2):312-320. http://dx.doi.org/10.5977/JKASNE.2010.16.2.312 

  30. Stransky M, Schmidt C, Ganslmeier P, Grossmann E, Haneya A, Moritz S, et al. Hypoactive delirium after cardiac surgery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Journal of Cardiothoracic and Vascular Anesthesia. 2011;25(6):968-974. http://dx.doi.org/10.1053/j.jvca.2011.05.00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