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에서 폐렴구균 집락률 측정을 위해 비인두 흡인 물의 총 RNA를 이용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법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Total RNA Extracted from Nasopharyngeal Aspirates for Detection of Pneumococcal Carriage in Children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3 no.3, 2016년, pp.194 - 201  

김영광 (중앙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경훈 (중앙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윤기욱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미경 (중앙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임인석 (중앙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폐렴구균은 주요 비인두 상재균으로, 주위 조직을 침범하여 침습성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보균율에 대한 감시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비인두 흡인물로부터 추출하고 남은 RNA를 이용하여 폐렴구균을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법을 구축하고, 보균율 측정에 있어서의 정확성과 이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4년 9월부터 10월까지 중앙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호흡기 바이러스 RT-PCR 검사를 시행받은 18세 이하의 소아들로부터 비인두 흡인물을 채취하였다. 먼저 배양법과 genomic DNA (gDNA)를 이용한 real-time PCR을 시행하여 폐렴구균 검출률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이 중 처음 20개의 검체를 이용하여, 고전적인 배양법과 gDNA를 이용한 real-time PCR, 그리고 RNA를 이용한 real-time RT-PCR법을 시행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157개의 검체에서 시행한 real-time PCR 검사는 기존의 배양검사와 일치율이 0.922 (P<0.01, Fisher exact test)로 매우 높았다. 배양검사에서 음성인 133개의 검체는 real-time PCR에서도 모두 음성을 보였다. 24개의 배양 양성 검체 중 21개의 검체는 real-time PCR에서도 양성이었지만, 나머지 검체는 음성 결과를 보였다. 20개의 검체에서 시행한 real-time RT-PCR 검사는 1개 검체를 제외하고 배양법 및 real-time PCR과 결과가 일치하였다. 한편, 배양법을 시행하고 결과를 확인하기까지는 총 26.5시간, real-time RT-PCR 검사에는 총 4.5시간이 소요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비인두 집락균 확인을 위한 real-time RT-PCR법의 확립과, 폐렴구균 보균율 측정에 있어서의 real-time RT-PCR 검사의 정확성 및 편의성을 보여주었다. Real-time RT-PCR 검사법은 주요 세균들의 보균율 연구에 있어서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며, 폐렴구균의 역학자료 수집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onitoring pneumococcal carriage rates is important. We developed and evaluated the accuracy of a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protocol for the detection of Streptococcus pneumoniae. Methods: In October 2014, 157 nasopharyngeal aspirates were coll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Korea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CTC) 미생물자원센터로부터 구매한 폐렴구균 표준 균주를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real-time PCR법을 구축한 후, 2014년 9월 말부터 10월까지 중앙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호흡기 바이러스 RT-PCR 검사를 시행 받은 157명의 18세 이하의 소아 환자들로부터 채취한 비인두 흡인물과 그로부터 추출한 RNA 및 genomic DNA (gDNA)를 통해, 각각 고전 적인 배양법과 real-time PCR법을 이용, 폐렴구균의 집락률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 같은 문제를 Carvalho Mda 등15)의 연구에서 lytA 표지자를 사용해서 검사의 특이도를 향상시켰다는 보고가 있으나, 최근 Simoes 등16)의 연구에서는 lytA 표지자기반의 real-time PCR 검사에서 폐렴구균의 식별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cpsA를 표적 유전자로 한 primer와 TaqMan probe를 이용하여 폐렴구균 검출을 위한 real-time PCR 검사를 시행하였는데, cpsA primer는 폐렴구균에 매우 특이적이어서 특히 다른 유사 연쇄구균들과의 구별에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17) .
  • 본 연구에서는 통상적인 호흡기 입원 환자 진료 시 비인두 흡인물로부터 추출되는 RNA를 이용하여 폐렴구균을 확인할 수 있는 real-time RT-PCR법을 구축하고, 이것을 기존의 배양법과 gDNA를 이용한 real-time PCR과 비교하여 보균율 측정에 있어서의 정확성 및 편의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 157개 검체의 gDNA를 이용한 real-time PCR 검사는 기존의 배양법과 검사 간 일치율이 0.
  • 이 과정에서 추출된 RNA 중 일부만이 RT-PCR의 직접 검체로 사용되므로, 대부분의 호흡기 질환 입원 환자들에서 비인두 흡인물의 RNA가 남게 되는데, 여기에는 바이러스 및 인체 세포는 물론, 집락균의 RNA도 포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를 위해 추출된 RNA로부터 폐렴구균을 확인할 수 있는 real-time RT-PCR법을 구축하고, 보균율 측정의 정확성 및 이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양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또한, 보균율 분석은 해당 세균의 역학을 감시할 수 있는 기능 외에도 감염 질환의 발병 기전을 유추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5). 그런데, 현재 보균율 측정에 있어 표준 방법으로 쓰이는 배양법은 민감도가 낮을 뿐 아니라 균을 검출하기까지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상대적으로 배양이 어려운 세균들이 과소 평가되는 측면이 있다. 또한 최근의 항생제 사용 여부에 따라 결과에 큰 영향을 받으며, 중복된 집락균을 효과적으로 검출해내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6).
보균율 분석이 주는 정보는 무엇인가? 감염성 질환들의 역학 변화를 감시하고 예측하는데 있어서 주요 세균들에 대한 보균율 연구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폐렴구균의 경우 지역 사회의 주요 보균 혈청형들이 침습성 및 비침습성 감염에서도 비슷하게 발견된다4) .또한, 보균율 분석은 해당 세균의 역학을 감시할 수 있는 기능 외에도 감염 질환의 발병 기전을 유추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5). 그런데, 현재 보균율 측정에 있어 표준 방법으로 쓰이는 배양법은 민감도가 낮을 뿐 아니라 균을 검출하기까지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상대적으로 배양이 어려운 세균들이 과소 평가되는 측면이 있다.
면역력이 저하된 소아에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여러 세균들이 야기하는 문제점은?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여러 세균들은 대부분 증상을 일으키지 않고 비인두(nasopharynx)에서 상주(colonization)할 수 있으며, 간혹 주위 조직을 침범하여 중이염이나 폐렴을 유발할 수 있고, 드물게는 패혈증 및 수막염과 같은 침습성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저하된 소아에서는 피부와 점막의 방어벽이 약해서 상재균이 병원균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더 높아지며, 폐렴 및 패혈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1-3)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Dahlblom V, Soderstrom M. Bacterial interactions in the nasopharynx: effects of host factors in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J Infect Public Health 2012;5:133-9. 

  2. Gray BM, Converse GM 3rd, Dillon HC Jr. Epidemiologic studies of Streptococcus pneumoniae in infants: acquisition, carriage, and infection during the first 24 months of life. J Infect Dis 1980;142:923-33. 

  3. Syrjanen RK, Kilpi TM, Kaijalainen TH, Herva EE, Takala AK. Nasopharyngeal carriage of Streptococcus pneumoniae in Finnish children younger than 2 years old. J Infect Dis 2001;184:451-9. 

  4. Levy PY, Ollivier M, Drancourt M, Raoult D, Argenson JN. Relation between nasal carriage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urgical site infection in orthopedic surgery: the role of nasal contamina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rthop Traumatol Surg Res 2013;99:645-51. 

  5. Kim SM, Hur JK, Lee KY, Shin YK, Park SE, Ma SH, et al. Epidemiological study of pneumococcal nasal carriage and serotypes among Korean children. Korean J Pediatr 2004;47:611-6. 

  6. Paule SM, Pasquariello AC, Hacek DM, Fisher AG, Thomson RB Jr, Kaul KL, et al. Direct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adult and neonate nasal swab specimens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J Mol Diagn 2004;6:191-6. 

  7. Chan YR, Morris A. Molecular diagnostic methods in pneumonia. Curr Opin Infect Dis 2007;20:157-64. 

  8. Wood JB, Peters TR. Streptococcus pneumoniae (Pneumococcus). In: Kliegman R, Behrman RE, Nelson WE, editors.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0th ed. Philadelphia: Elsevier Saunders, 2016:1322-7. 

  9. Feigin RD, Cherry JD. Pneumococcal infections. In: Feigin RD, Cherry JD, Demmler-Harrison GJ, Kaplan SL, Steinbach WJ, Hotez PJ, editors. Feigin & Cherry's textbook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7th ed. Philadelphia: Saunders, 2013:1198-246. 

  10. Shin JH, Han HY, Kim SY. Detection of nasopharyngeal carriages in children by 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Korean J Pediatr 2009;52:1358-63. 

  11. Jung CL, Lee MA, Chung WS. Clinical evaluation of the multiplex PCR assay for the detection of bacterial pathogens in respiratory specimens from patients with pneumonia. Korean J Clin Microbiol 2010;13:40-6. 

  12. Al-Marzooq F, Imad MA, How SH, Kuan YC. Development of multiplex real-time PCR for the rapid detection of five bacterial causes of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Trop Biomed 2011;28:545-56. 

  13. Caliendo AM. Multiplex PCR and emerging technologies for the detection of respiratory pathogens. Clin Infect Dis 2011;52 Suppl 4:S326-30. 

  14. Brugger SD, Hathaway LJ, Muhlemann K. Detection of Streptococcus pneumoniae strain cocolonization in the nasopharynx. J Clin Microbiol 2009;47:1750-6. 

  15. Carvalho Mda G, Tondella ML, McCaustland K, Weidlich L, McGee L, Mayer LW, et al.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real-time PCR assays targeting lytA, ply, and psaA genes for detection of pneumococcal DNA. J Clin Microbiol 2007;45:2460-6. 

  16. Simoes AS, Tavares DA, Rolo D, Ardanuy C, Goossens H, Henriques-Normark B, et al. lytA-based identification methods can misidentify Streptococcus pneumoniae. Diagn Microbiol Infect Dis 2016;85:141-8. 

  17. Park HK, Lee SJ, Yoon JW, Shin JW, Shin HS, Kook JK, et al. Identification of the cpsA gene as a specific marker for the discrimination of Streptococcus pneumoniae from viridans group streptococci. J Med Microbiol 2010;59(Pt 10):1146-52. 

  18. Keith ER, Podmore RG, Anderson TP, Murdoch DR. Characteristics of Streptococcus pseudopneumoniae isolated from purulent sputum samples. J Clin Microbiol 2006;44:923-7. 

  19. Kurola P, Erkkila L, Kaijalainen T, Palmu AA, Hausdorff WP, Poolman J, et al. Presence of capsular locus genes in immunochemically identified encapsulated and unencapsulated Streptococcus pneumoniae sputum isolates obtained from elderly patients with acut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J Med Microbiol 2010;59(Pt 10):1140-5. 

  20. Stensballe LG, Trautner S, Kofoed PE, Nante E, Hedegaard K, Jensen IP, et al. Comparison of nasopharyngeal aspirate and nasal swab specimens for detection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 different settings in a developing country. Trop Med Int Health 2002;7:317-21. 

  21. Ohrmalm L, Wong M, Rotzen-Ostlund M, Norbeck O, Broliden K, Tolfvenstam T. Flocked nasal swab versus nasopharyngeal aspirate for detection of respiratory tract viruses in immunocompromised adults: a matched comparative study. BMC Infect Dis 2010;10:340. 

  22. Satzke C, Turner P, Virolainen-Julkunen A, Adrian PV, Antonio M, Hare KM, et al. Standard method for detecting upper respiratory carriage of Streptococcus pneumoniae: updated recommendations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neumococcal Carriage Working Group. Vaccine 2013;32:165-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