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MR 상품의 선택속성이 1인 가구의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온라인 리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 of HMR Product on the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of an Single Household - Centered on the Regulation Effect of Consumer Online Reviews -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8 = no.83, 2016년, pp.109 - 121  

김희연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five sub-variables' attribute of HMR: features of information, diversity, promptness, price and convenience, on the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In addition, the regulation effect of positive reviews and negative reviews of consumers' online reviews between HMR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먼저 1인 가구 즉, 싱글족의 외식소비성향을 먼저 파악하고, 싱글족들이 선호하는 HMR 제품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들이 HMR 제품을 이용한 후기인 온라인 리뷰(OCR)에 HMR 선택속성과 구매결정 간의 조절 효과를 검정하여 소비자의 온라인 리뷰의 긍정적 정보와 부정적인 정보를 파악하여 설득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HMR의 선택속성은 소비자의 구매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소비자의 긍정적 온라인 리뷰는 HMR 의 선택속성과 구매의사결정간의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소비자의 부정적 온라인 리뷰는 HMR 의 선택속성과 구매의사결정간의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 가구의 통상적인 의미는 무엇인가? 1인 가구의 통상적인 의미는 독립된 공간에서 의식주 등 일상생활을 혼자 영위하는 사람들은 1인 가구라고 할 수 있다. 1인 가구는 연령대에 따라서 20∼30대의 청년 1인 가구, 40∼50대의 장년 1인 가구, 60대 이상의 노년 1인 가구로 구분할수 있으며, 결혼 여부에 따라서 결혼을 하지 않았 거나, 이혼 및 사별인 상태의 비혼 1인 가구가 있고, 혼인 상태이지만 주거지역, 자녀 교육지역, 경제활동지역 등이 분리되어 혼자 거주하는 1인 가구가 있다.
온라인 리뷰란 무엇인가? 인터넷과 정보 기술의 발달은 소비자에게 구매한 제품의 평가를 온라인상에서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온라인 리뷰는 소비자에 의해 창출되는 정보로 해당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가 자신의 사용 경험을 판매자의 쇼핑몰에 직접 작성한 것이다(Chen & Xie, 2008). 소비자 온라인 리뷰는 제품이나 기업에 대해서 잠재적, 실제적이거나 이전 소비자들에 의해서 진술되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의견으로, 이는 인터넷을 통해 형성이 가능하다고 하였다(Hennig-Thurau et al.
기업이 홈페이지 리뷰에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현재 우리나라의 1인 가구의 비중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간편하면서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HMR 제품을 편리하게 구매하길 원하다. 그리고 구매후 소비자들은 온라인상으로 제품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되는데,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를 하게 된다. 이런 평가를 한다면 다음에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타인들의 리뷰를 참고하게 되고, 부정적인 리뷰는 대체로 구매의도를 떨어뜨리는 경향이 생기게 된다. 이에 기업은 지속적인 홈페이지 리뷰에 신경을 써야 하며, 부정적인 리뷰가 올라온다면 빠르게 대체 상품을 개발한다거나 리뷰에 대한 응답을 진심어린 답변으로 소비자들의 리뷰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4). 서울의 1인 가구 증가와 도시정책 수요연구.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2008(49), 1-200. 

  2. Ahn, A. R., & Min, D. W. (2013). The effect of OCR (Online Consumer Reviews) on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and OCR type. A Study on The Consumer Science, 24(3), 23-50. 

  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e-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4. Bum, S. K., Jun, J. K.., Huo, Y. H., & Choi, Y. J. (2009). A study on the positioning of deluxe hotel in Busan based on consumer's choice attributes.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20(1), 269-281. 

  5. Chen, Y., & Xie, J. (2008). Online consumer review: Word-of-mouth as a new element of marketing communication mix. Management Science, 54(3), 477-491. 

  6. Cho, J. S. (2013). An empirical study of the influence of bakery attributes on customers satisfactions, recommendation intentions: Focused on a moderating effect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10(1), 261-290. 

  7. Choi, W. S., Seo, K. H., & Lee, S. B.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MR products of Korean foods using conjoint analysis.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1), 156-167. 

  8. Chung, J. K., & Park, D. H. (2013). The effect of online consumer review on product attitude based on regulatory focus. The E-business Studies, 14(3), 77-93. 

  9. Chung, L. N. (2005). Analysis of consumer inclination to convenience towards home meal replacement in Korea.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ssertation. 

  10. Gibson, M. (1999). Home meal replacement in Europe revolution or evolution the Hospitality review. 

  11. Hong, J. Y. (2002). Today and Tomorrow of Korea HMR Business. Seoul: Korea Chainstores Association. 

  12. Jin, G. S., & Lee, J. H. (2012). Service quality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social commer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3), 311-321. 

  13. Jo, J. H. (2012). A study on eating-out consumption behavio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unmarried people. WooSong University. 

  14. Kim, J. H., & Jeon, Y. J. (2015). The effect of HMR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Focused on social commerces. The E-business Studies, 16(6), 425-447. 

  15. Kim, J. Y., Kim, H. J., & Park, S. S. (2005). Segmentation of the home meal replacement(HMR) market by lifestyle: The case of S department store in Kang-nam, Seoul.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8(2), 137-154. 

  16. Kim, J. Y., & Park, S. S. (2004). Segmentation of the home meal replacement(HMR) market by lifestyle: The case of S department store in Kang-nam, Seoul.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8(2), 101-113. 

  17. Lee, C. S., & Kim, J. H. (2016). Differences of unplanned buying in store on grocery shopping between ordinary and single person households. Korean Journal of Logistics Research Association Inc, 26(1), 111-125. 

  18. Lee, H. G., & Guack, H. I. (2013). Investig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effects of online consumer reviews. Informatization Policy, 20(3), 3-17. 

  19. Lee, Y. J., & Ju, H. S. (2006) Effects of recommendation selling in family restaurants on customer attitudes,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purchase decision making.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2(2), 73-87. 

  20. Min, D. W., & Kang, H. M. (2013). From thinking to 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pective taking on embodied cognition. Asia Marketing Journal, 15(2), 117-132. 

  21. Oliver, R. L.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 460-469. 

  22. Park, M. S., Jung, H. G., Kim, H. Y., & Go, D. Y. (2015). Analysis of consumer spending, one person household items. Korean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2), 987-994. 

  23. Song, Y. J. (2007). Bereavement and nature of the single unit families, seniors who live alone, determinants of labor as the central, regional distribution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Korean Domestic Science Community Bulletin, 18(1), 147-160. 

  24. Thorsten, H.-T., Gwinner, K. P., Walsh, G., & Gremler, D. D. (2004). Electronic word-of mouth via consumer opinion platforms: What motivates consumers to articulate themselves on the internet?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18(2), 38-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