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구성에 따른 HMR 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MR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to Family Composi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5, 2019년, pp.602 - 611  

김도영 (가톨릭관동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조용현 (가톨릭관동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김동수 (가톨릭관동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구성에 따른 HMR 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HMR 제품의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효과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 조사대상자는 전국 홈플러스 140개 매장 중 100개 매장에 파견된 직원들을 통하여, 2018년 07월 01일부터 2018년 08월 30일 약 60여일간 매장을 이용한 고객 중 HMR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for windows을 이용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분석하였으며, 처리된 결과를 토대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HMR 선택속성의 하위요인인 품질, 가격, 편의성, 다양성 등 4가지 요인은 가족구성에 따라 차이가 없음으로 분석되었고, HMR 선택속성의 하위요인 중 품질, 가격, 다양성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편의성 요인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구성에 따른 HMR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조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HMR 신제품 개발 단계부터 전반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basic data necessary for marketing strategy of HMR products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HMR selection attributes on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family Composi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subjects conducted a survey with employees dispatch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라는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부부와 미혼 자녀 형태의 일반적인 가구[1] 및 독거노인가구 등을 포함한 가족구성이 HMR을 선택하는데 있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자료 및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 구성에 따른 HMR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HMR의 판매활동에 있어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 문헌과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가족 구성에 따른 HMR 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이것과 연관된 기초 연구를 기반으로 변수들 간의 어떤 영향 관계인지 규명하 고자 [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을 형성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 구성에 따른 HMR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HMR의 판매활동에 있어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구성에 따른 HMR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조사 대상자 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HMR 신제품 개발 단계부터 전반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H1-1 품질은 가족구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1-3 편의성은 가족구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H2-1 품질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는 HMR 선택속성과 고객만족의 관계에 대한 가설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고객만족을 결과변수로 하고, 모형1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수(연령, 학력수준, 직업)를 통제변수로 투입하였으며, 모형2에서는 HMR 선택속성인 품질, 가격, 편의성, 다양성을 선행변수로 추가 투입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다.
  • 가설 H1 : HMR 선택속성은 가족구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H2 : HMR 선택속성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속성이란? 선택(選擇)하는 것은 자신이 일상 공간에서 경험 할수 없는 것을 다른 곳에서 경험할 수 있다는 욕구와 기대를 갖는 심리이며[22], 속성이란(Attribute) 일반적 으로 상품이 가진 유형 및 무형의 특징을 의미하는 것으로 소비자의 선택속성이란 이용고객이 선호하는 것과 실제로 구매하는 것의 차이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다른 속성들과 어떻게 구별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23].
가구형태 변화가 발생한 이유는? 이러한 가구형태 변화의 이유로는 과거와 달리 노부 모와 동거하며 살기보다는 근거리에서 독립하여 모시는 행태가 부부가구의 증가율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며, 또한 미혼자녀의 독립가구 분가와 고령화에 따른 배우자 사망으로 인한 1인 가구가 지속적으로 증가 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가구형태 변화로 발생한 사회적 변화는? 또한, 소비패턴의 다양화, 편리성 추구경향,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 증가, 핵가족화와 독신화 등의 사회의식 및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인해 식생활 문화에 대한 의식변화 및 간편식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 등에도 변화를 가져왔고, 전통적인 식단구성까지 편의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나게 만들었다[2]. 즉 식품의 구입 및 음식의 조리과정, 그리고 음식의 소비단계에서 편의성을 추구하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통계청, 2017인구주택총조사, 2018. 

  2. 이계임, 황윤재, 반현정, 임승주, 진현정, 이행신,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식품시장 영향과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pp.1-241, 2015. 

  3. 김주연, 송학준, 박성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중식(HMR) 시장의 세분화," 외식경영연구, 제8권, pp.137-154, 2005. 

  4. 김동수, "대형유통업체 가정간편식 PB상품에 대한 1인가구의 주관적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309-318, 2018. 

  5. 권태성, 이용남, 최웅,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HMR 선택동기 및 이용 행태," 한국호텔리조트카지노연구, 제4권, 제2호, pp.395-408, 2005. 

  6. 강하연, 조미나, "대학생의 가정식 대용식(HMR) 이용 특성에 따른 구매의사 결정요인 및 개선점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8호, pp.335-356, 2015. 

  7. 정라나, 양일선, 이해영, "가정식사대용식 (HMR) 선택속성 분석,"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제22권, 제3호, pp.315-322, 2007. 

  8. 배준호, 이준재, 신현규, "HMR 이용객의 식음료 정보인식수준의 세분화에 관한 연구-HMR 영양정보를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제43권, pp.67-82, 2010. 

  9. 이해영, 정라나, 양일선,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한국에서의 Home Meal Replacement (HMR) 개념 정립 및 국내 HMR 산업 전망 예측," 한국영양학회지, 제38권, 제3호, pp.251-258, 2005. 

  10. 전혜미, 이수범, "컨조인트 분석을 통한 HMR 상품개발에 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8권, 제3호, pp.301-315, 2009. 

  11. 서경화, 최원식, 이수범, "HMR (Home Meal Replacement) 선택속성이 지각된 효용적 가치,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제21권, 제6호, pp.934-947, 2011. 

  12. 조정환, 이보순, 박기홍, "HMR 상품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제17권, 제2호, pp.85-97, 2011. 

  13. 장윤정, "가정식사 대용식 (Home Meal Replacement)관련 고령소비자의 소비행태 및 선택속성 분석," 외식경영연구, 제12권, pp.97-119, 2009. 

  14. 노병국, "HMR 의 선택속성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9권, 제6호, pp.119-132, 2017. 

  15. 김희연, "HMR 상품의 선택속성이 1 인 가구의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제22권, 제8호, pp.109-121, 2016. 

  16. 최민경, 나건, "나홀로족의 가정식사대용식 (HMR)구매 유발 요인 및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 분석-푸드테크 스타트업 (Food-tech Startups) 사례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3권, 제4호, pp.781-791, 2017. 

  17. 홍승아, "젠더.세대.계층별 가족변화와 정책수요를 기반으로 한 가족정책," ISSUE PAPER, pp.1-16, 2015. 

  18. 김성천, "한국 가족복지정책의 재조명: 개혁방향의 모색," 한국가족복지학, 제5권, pp.71-102, 2000. 

  19. M. Gibson, "Home meal replacement in Europe revolution or evolution," The hospitality review, Vol.4, pp.234-243, 1999. 

  20. 김진희, 전유성, "HMR 선택속성이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16권, 제6호, pp.425-447, 2015. 

  21. 나정기, 김근아, "HMR 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6권, 제1호, pp.233-248, 2015. 

  22. 엄은경, 박경곤, "레스토랑 메뉴선택 속성과 고객만족-서울지역 이태리레스토랑을 중심으로," 문화관광연구, 제9권, 제1호, pp.127-139, 2007. 

  23. 최정은, 김영국, "대학생들의 영양 지식 식이 자기효능감 및 식습관과 메뉴선택행동과의 관계," 외식경영연구, 제15권, pp.249-275, 2012. 

  24. 조수현, 정규엽, "외식소비자의 선택속성과 만족도에 관한연구: 대전 와인 소비자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회, 제 31 차 춘계 정기학술논문 발표대회, pp.20-35, 2006. 

  25. 김홍범, 조성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이 맥주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19권, 제3호, pp.187-204, 2007. 

  26. J. Cassano, "Home Meal Replacement: A home run with consumers," Consumer Insight Magazine, Vol.6, pp.9-12, 1999. 

  27. 김성혁, 권상미, 심보섭, "HMR 이용고객의 선택속성이 지출과 구매빈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푸드코트 소비자를 대상으로," 외식경영연구, 제10권, pp.91-110, 2007. 

  28. R. A. Westbrook and R. L. Oliver, "The dimensionality of consumption emotion patterns and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pp.84-91, 1991. 

  29. J. A. Howard and J. N. Sheth, "The theory of buyer behavior," New York, 63, 1969. 

  30. R. A. Westbrook and M. D. Reilly, "Value-percept disparity: an alternative to the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s theory of consumer satisfaction," ACR North American Advances, 1983. 

  31. R. L. Oliver,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es in retail settings," Journal of retailing, 1981. 

  32. H. K. Hunt, "CS/K-Overview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H. Keith Hunt. ed. Cambrige. MA: Marketing Science Institute, 1984. 

  33. J. F. Engel and D. Roger, "Consumer behavior," Blackwell, Vol.4, 1982. 

  34. D. K. Tse and P. C. Wilton,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formation: An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pp.204-212, 1988. 

  35. 곽철우, "여행사의 인터넷마케팅이 고객만족과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국제관광산업연구, 제2권, pp.47-72, 2009. 

  36. R. L. Oliver,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es in retail settings," Journal of retailing, 1981. 

  37. 남소영, 이수경, "성.연령별 1 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식생활 및 영양상태 차이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pp.87-87, 2018. 

  38. 김충환, 도시 생활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HMR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9. 김진희, 전유성, "HMR 선택속성이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16권, 제6호, pp.425-447,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