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플러스 대상자의 만족도와 식생활 평가에 대한 연구 - 서울 서대문구 지역 대상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atisfaction and Healthy Eating Index in Subjects of Nutrition-Plus Program focusing Seodaemun-gu in Seoul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8 = no.83, 2016년, pp.172 - 181  

나영아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  박진영 (양주시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  김정연 (서정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satisfaction and healthy eating index of nutrition-plus program providing nutritional supplements to pregnancy, lactating women, infant and children.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at Public Healthcare Center, Seodaemun-gu in Seoul from February 2014 to June 2014. The subjec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 서대문구 보건소에서 시행한 영양플러스 사업에 참여한 영유아 보호자, 임산부, 수유부를 대상으로 보충식품 제공에 대한 만족도와 식생활 평가를 조사하여 이를 식품영양지원사업을 수행할 때 수혜대상자의 선별과 사업평가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 서대문구보건소에서 시행되고 있는 영양플러스 사업에 참여한 대상자들에게 영양보충식품을 제공하고,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만족도와 식생활 평가를 조사하였다. 식생활 평가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생활 평가지수와 식품안정성측정(Kim et al.
  • 영양플러스 대상자의 연령과 수혜기간에 따라 보충식품의 도움 정도, 식품 패키지 내 관리 영양소별 해당식품에 대한 만족도, 식품패키지별 식품 1개월 제공량에 대한 만족도, 배송 주기(식품은 1번/달, 생식품은 2번/달, 우유는 3번/주)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조사되었다.
  • 영양플러스 영양교육을 받기 위해 보건소를 방문한 대상자에게 영양교육 후에 연구자의 소개와 함께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고, 설문 작성에 동의한 대상자에게만 동의서를 획득하고 조사하였다.
  • 이 프로그램은 저소득층의 영양위험이 높은 특정 대상자들을 선정하여 그들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려는 목적 하에 실시되고 있다 (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플러스사업의 배경은? 한국형 WIC 사업인 영양플러스사업은 2004년‘취약계층을 위한 국가영양지원제도 도입연구’에서 사업안이 개발되었으며, ‘임산부 및 영유아 보충영양관리사업’이라는 이름으로 2005∼2007년까지 3년간 시범사업이 실시되었으며, 성공적인 시범사업 수행결과에 힘입어, 2008년에 본 사업으로 도입되면서 ‘영양플러스’라는 이름으로 전국 적으로 확대 되었다(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10). 그 중에서 영양적으로 취약한 집단인 임신부, 수유부, 그리고 영유아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건강관리가 각별히 요구되며, 이 시기의 영양불량은 개인의 평생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Kwon, 2005).
저소득층의 올바르지 못한 식생활은 어떤 문제가 있는가? 식재료의 선택에 있어서도 고소득층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식재료의 품질을 보는 것에 반해, 저소득층 지역의 사람 들은 식재료의 가격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저소득층의 올바르지 못한 식생활은 여러 가지 질병을 불러오며, 생활상태의 불안정, 경제적 빈곤 등으로 인한 여러 가지 보건 영양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Kang & Ryu, 2011; Kim, Hong, Kwon, & Oh, 2011).
WIC 프로그램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는 저소득층이 내포하고 있는 영양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영양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초석으로, 2005년도에 미 연방 정부 농무성(USDA)이 주관하는 영양프로그램 중가장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WIC(Special Supplemental Nutrition Program for Women, Infants and Children)을 벤치마킹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저소득층의 영양위험이 높은 특정 대상자들을 선정하여 그들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려는 목적 하에 실시되고 있다 (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10). 이는 생활이 어려운 사람에게 필요한 급여를 행하여 이들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복지 또는 구호 측면의 지원과는 구별되며, 건강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가진 국민에 대해 그 위험인자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공공보건 향상 차원의 사업으로서, 국민의 건강을 태아의 단계부터 관리하여 전 생애에 걸쳐 건강할 권리를 보장 하기 위한 평생건강관리형 영양지원제도라고 할수 있다(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H. S., & Lim, H. J. (1994).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awareness - 1. Assessment of the nutrition awareness and involvement in food-related activities -. Korean J Food Cult, 9(3), 311-321. 

  2. Cho, S. H., & Kim, Y. S. (2010). A study on the nutrition knowledge, attitude on dietary life and dietary habits by meal manager of high school students in Bucheon area.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2), 330-341. 

  3. Hammond, G. K., Barr, S. I., & McCargar, L. J. (1994). Teacher's perception and use of an innovative early childhoo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Nutr Educ, 26(5), 233-237. 

  4. Hong, J. I. & Joong, H. S. (2012). A study on the effective educational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8(5), 176-189. 

  5. Jung, K. A.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okbooks for children based on the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2), 351-366. 

  6. Kang, J. A., & Ryu, H. K. (2011). A study of the sustainability of Nutriplus program effect - in Pohang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6(2), 206-214. 

  7. Koo, J. O., Kim, J. H., Byeon, G. W., Son, J. M., Lee, J. W., Lee, J. H., & Choe, Y. S. (2011).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Powerbooks, Seoul, 101-108. 

  8. Ki, S. M. (2009). A survey on the actual state of weaning a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for weaning diet through the Nutriplus program in Daegu Region.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9. Kim, K. R., Hong, S. A., Kwon, S. O., & Oh, S. Y. (2011). Development of food security measures for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44(6), 551-561. 

  10. Kim, J. H.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al support programs of women, infants and children - Focusing on the WIC programs inplemented by metropolitan community health center.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11. Kim, K. A., & Shim, Y. H. (1995). Cognitive performance and hyperactivity in terms of eating behavior and physical growth among preschools-I. A survey on eating behavior of preschoolers-. J Korean Diet Assoc, 10(4), 255-268. 

  12. Kwon, K. U. (2005).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education and care policies for early childhood of poverty homes. J Educ Adm, 23(1), 281-306. 

  13. Lee, J. H., & Kim, H. S. (2013).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confidence in nutrition knowledge on health-related behavioral intentions :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Korean J Culinary Research, 19(4), 136-146. 

  14. 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10). The Guiduidence of Nutriplus+ Program for Woman, Infants and Children. 

  15. 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6. 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7. Moon, S. J., & Lee, M. H. (1987). An effect of children's food attitude on nutritional status and personality. Korean J Nutr, 20(4), 258-271. 

  18. Park, O. J., Lee, M. J., Kim, J. H., Min, S. H., & Lee, H. S. (2009). The effect of nutrition plus program among 0-5 year children in the Yeojoo area - The improvement in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after nutrition supplement of children and nutrition education in parents/guardian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6), 767-776. 

  19. Rha, Y. A., & Kim, Y. S. (2005). A study for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by gender. Korean J Culinary Research, 11(4):77-91. 

  20. Sin, E. K., & Lee, Y. K. (2005). Evaluati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1008-1017. 

  21. Wright, D. E., & Radiclife, J. (1992). Parents perceptions of influences on food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attending day care facilities. J Nutr Educ, 24(4), 198-201. 

  22. Yook, S. M., Park, S. H., Moon, H. K., Kim, K. R., Shim, J. E., & Hwang, J. Y. (2015). Development of Korean healthy eating index for adult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 Nutr Health, 48(5), 419-4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