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플러스 사업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연구 -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Sustainability of NutriPlus Program Effect - in Pohang Area -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6 no.2, 2011년, pp.206 - 214  

강지혜 (포항시 남구보건소) ,  류호경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NutriPlus+ Program and to observe how the improved statuses were maintained after the program's termination. The subjects were infants and their par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NutriPlus+ Program conducted by South Healthcare Center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사업 종료 후 추후 관리에 대한 프로그램은 전무한 상태이며, 사업 참여시 이루어졌던 영양 및 체위 개선상태가 사업 종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은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포항시 남구보건소에서 영양플러스 사업에 참여한 유아대상자를 중심으로 영양플러스 사업 종료 후 추후관리 없이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영양플러스 사업에 의해 개선된 유아의 영양 상태나 유아 보호자의 영양 지식 및 태도 등이 잘 유지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 임산부 및 영유아는 생리적 특수성으로 인해 영양위험에 처하기 쉬운 영양취약 계층에 속하며, 이 시기의 영양관리는 평생의 건강을 좌우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영양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영양플러스사업을 통해 대상자가 영양개선이 되었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고, 영양플러스 사업 종료 시 개선된 영양상태가 시간이 경과한 후에 계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2007년에서 2010년 1월까지 포항시 남구보건소에서 수행한 영양플러스 사업에 6개월 이상 참여하고 사업이 종료된 후 일정기간이 경과한 유아와 유아보호자 123명을 대상으로 사업 전, 사업 종료 시, 시간 경과 후의 영양 상태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플러스 사업은 어떤 효과가 매우 좋게 나타났는가? 영양플러스 사업은 참여 대상자의 빈혈 유병률 감소와 영양섭취상태 개선에 대한 효과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09). 그러나 사업 종료 후 추후 관리에 대한 프로그램은 전무한 상태이며, 사업 참여시 이루어졌던 영양 및 체위 개선상태가 사업 종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잘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은 보고된 바가 없다.
유아기는 어떤 시기이기에 충분한 영양공급이 필수적인가? 그 중에서 영양적으로 취약한 집단인 임신부, 수유부 그리고 영유아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건강관리가 각별히 요구되며 이 시기의 영양불량은 개인의 평생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Kwon 2005). 특히 유아기는 성장 발육이 가장 왕성하고 두뇌발달이 거의 완성되는 시기이며, 신체의 모든 조절기능 및 사회인지 능력이 급격히 발달하는 시기로(Moon & Lee 1987; Ahn & Lim 1994; Kim & Shim 1995), 이 시기에 충분한 영양공급은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Wright & Radiclife 1992; Hammond 등 1994; Sin& Lee 2005). 따라서 유아기에 적절한 영양관리를 통해 영양불량이 다음 생애주기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막아야 한다.
영양 플러스 사업은 어떤 사업인가?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WIC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여 영양 플러스 사업을 도입하였다. 영양플러스 사업은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과 및 한국 건강 증진 재단 영양사업팀에서 주관하며 영양적으로 취약한 계층인 임산부, 수유부 및 영유아의 영양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필수 영양소가 함유된 보충식품을 생애주기별로 공급하여 스스로 식생활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업이다(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11). 이는 2004년 사업안이 개발되어 2005-2007년의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2008년부터 본 사업이 도입되어 2010년에는 250개 보건소에서 실시되었다(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hn HS, Lim HJ (1994): Articles /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awareness - 1. assessment of the nutrition awareness and involvement in food-related activities -. Korean J Food Cult 9(3): 311-321 

  2. An JB (2010): Public policy measures in the era of population aging. International Trade Business Institute Review, pp. 1-110 

  3. Brush KH, Woolcott DM, Kawash GF (1986): Evaluation of an affective-based adul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Nutr Educ 18(6): 258-264 

  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1978): Nutrition section CDC analysis of nutritional indices for selected WIC participants.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5. Choi MJ, Yoon JS (2003): The effect of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 on the physical growth indices i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8(1): 3-14 

  6. Choi MS (2009):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health and diet quality of middle-aged women. Korean J Nutr 42(1): 48-58 

  7. Collins T, Leeper J, Northrup RS, Demeillier S (1981): Integration of WIC program with other infant mortality programs. Final Report Appalachian Region Commission Report. Tuscaloosa, AL: University of Alabama 

  8. Edozian JC, Switzer BR, Bryan RB (1979): Medical evaluation of the special supplemental food program for women, infants, and children. Am J Clin Nutr 32(3): 677-692 

  9. Hammond GK, Barr SI, McCargar LJ (1994): Teacher's perception and use of an innovative early childhoo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Nutr Educ 26(5): 233-237 

  10. Han HK, Lee YR (2009): A study on factors impacting on the mental health level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J Korean Gerontol Soc 29(3): 805-822 

  11. Heaney RP, Abrams S, Dawson-Hughes B, Looker A, Marcus R, Matkovic V, Weaver C (2000): Peak bone mass. Osteoporos Int 11(4): 985-1009 

  12. Kang MH, Song EJ, Park OJ (1992):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behavior of housewives in a low-lncome urban area. Korean J Nutr 25(2): 162-178 

  13. Kennedy ET, Gershoff S (1982): Effect of WIC supplemental feeding on hemoglobin and hematocrit of prenatal patients. J Am Diet Assoc 80(3): 227-230 

  14. Kennedy ET, Gershoff S, Reed R, Austin JE (1982): Evaluation of the effect of WIC supplemental feeding on birth weight. J Am Diet Assoc 80(3): 220-227 

  15. KHIDI (2005): Woman, Infants and children supplemental nutrition program 

  16. Kim JS, Park MS, Jo YS, Lee JW (2005): Effects of school-based nutrition education for Korean food guide on food intake frequency of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0(5): 582-591 

  17. Kim KA, Shim YH (1995): Cognitive performance and hyperactivity in terms of eating behavior and physical growth among preschools-I. A survey on eating behavior of preschoolers-. J Korean Diet Assoc 10(4): 255-268 

  18. Kim MY, Han SY, Jeong JH, Kim SH, Lee JK, Park ES, Zhang XH, Seo JS (2009): Effectiveness of nutrition-exercise education program on weight control of adult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4(2): 168-174 

  19. Kim SH, Kim SH, Shim CS (2007): The effect and retention of CPR training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Soc Emerg Med 18(6): 496-502 

  20. Kwon KU (2005):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education and care policies for early childhood of poverty homes. J Educ Adm 23(1): 281-306 

  21. Ritchie LD, Whaley SE, Spector Phil, Gomez Judy, Crawford PB (2010): Favorable impact of nutrition education on California WIC families. J Nutr Educ Behav 42(3): S2-S10 

  22. 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09): 2009 The guiduidence of $nutriplus^{+}$ program for women, infants and children 

  23. 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10): 2010 The guiduidence of $nutriplus^{+}$ program for woman, infants and children 

  24. Ministry for Health & Welfare (2011): 2011 The guiduidence of $nutriplus^{+}$ program for woman, infants and children 

  25. Moon SJ, Lee MH (1987): An effect of children's food attitude on nutritional status and personality. Korean J Nutr 20(4): 258-271 

  26. Newell GK, Fox HM, Brewer WD, Jonson NE (1985): Straetegies to improve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behavior of mothers. J Nutr Educ 17(1): 10-14 

  27. Park OJ, Lee MJ, Kim JH, Min SH, Lee HS (2009): The effect of nutrition plus program among 0-5 year children in the Yeojoo area -the improvement in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after nutrition supplement of children and nutrition education in parents/guardians-. Korean J Community Nutr 14(6): 767-776 

  28. Park YH, Kim HH, Shin KH, Shin EK,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Nutr 39(4): 403-416 

  29. Paige D (1983): Evaluation of the WIC program in infants on the Eastern Shore of Maryland. Baltimore, MD: Report to the Maryland State Health Department 

  30. Pelto JM (1982): Results of a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the WIC program in Alaska. Alaska Med 24(2): 14-17 

  31. Ritchie LD, Whaley SE, Spector Phil, Gomez Judy, Crawford PB (2010): Favorable impact of nutrition education on California WIC families. J Nutr Educ Behav 42(3): S2-S10 

  32. Rosander K, Sims LS (1981): Measuring effects of an affective-based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 J Nutr Educ 13(3): 102-105 

  33. Rush D, Sloan NL, Leighton J, Alvir JM, Horvitz DG, Seaver WB, Garbowski GC, Johnson SS, Kulka RA, Holt M (1988): The national WIC evaluation: evaluation of the special supplemental food program for women, infants, and children. V. Longitudinal study of pregnant women. Am J Clin Nutr 48(4): 39S-83S 

  34. Rye J, White M, Majchrzak M (1978) Intervention outcomes in Arizona's W1C program, July 1976 through March 1977. Unpublished report. Pima County, Tucson, AR 

  35. Schelzel O, Britton MA (1978): An assessment of the WIC program in Pennsylvania. Unpublished report. Pennsylvania Health Department 

  36. Sekhobo JP, Edmunds LS, Reynolds DK, Dalenius K, Sharma A (2010): Trends in prevalence of obesity and overweight among children enrolled in the New York State WIC program, 2002-2007. Public Health Rep 125(2): 218-224 

  37. Sin EK, Lee YK (2005): Evaluati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 1008-1017 

  38. Smith EL, Gilligan C, Smith PE, Sempos CT (1989): Calcium supplementation and bone loss in middle-aged woman. Am J Clin Nutr 50(4): 833-842 

  39. Son JY, Park YH, Park MH, Son ES, Park JY, Kim SH (2008): The effects of multimedia educational program on knowledge and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in preventing respiratory disorders. J Korean Clin Nurs Res 14(1): 173-185 

  40. Valinaki MJ, Karkkainen M, Kamberg-Allardt C, Kaitinen L, Alhava E, Heikkinen J, Impivaara O, Makela P, Palmgren J, Seppanen R (1994): Exercise, smoking and calcium intake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as determinants of peak bone mass. BMJ 309(6949): 230-235 

  41. Vazquez-Seoane P, Windom R, Pearson HA (1985): Disappearance of iron-deficiency anemia in a high-risk infant population given supplemental iron. N Engl J Med 313(19): 1239-1240 

  42. Welten DC, Kemper HC, Post GB, Van Mechelen W, Twisk J, Lips P, Teule GJ (1994): Weight-bearing activity during youth is a more important factor for peak bonr mass than calcium intake. J Bone Miner Res 9(7): 1089-1096 

  43. Wright DE, Radiclife J (1992): Parents perceptions of influences on food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attending day care facilities. J Nutr Educ 24(4): 198-201 

  44. Weiler PG, Stalker HP, Jennings SW, Fister WT (1979): Anemia as a criterion for evaluation of a special supplemental food program for women, infants, and children. Pediatrics 63(4): 584-590 

  45. Yim KS (2008):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female elderly at the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13(5): 640-6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