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a thorough investigation of aviation accidents involving Korean national carriers both inside and outside of Korea and also after reviewing catastrophic events involving foreign carriers in Korea, we found numerous accidents that caused fatalities and serious personal injuries. Although the 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FIT(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즉, 정상적인 운항 상태에서 지표면, 지상장애물 또는 수면에 추락한 사고 원인 중 하나인 비정밀접근절차 수행 중 발생한 사고와 관련하여 원인 및 유형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인적, 환경, 기술, 절차등과 관련된 문제점을 파악하여 안전성 향상을 위한 Check List를 도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비행 중에 효과적으로 사용가능한 Check List의 필요성이 부각되었고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정밀접근(선회·시계접근 포함) 사고사례 별 원인을 분석하여 사고의 유형과 기여요인을 도출하였다.
  • 완성된 Check List는 비정밀접근절차 수행 시 인적오류에서 오는  복합적인 운항환경에 적절한 대처, 사고율 감소 및 안전운항을 위한 목적으로 개발하였고 운항 안정성 및 신뢰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패접근절차 수행 시 발생되는 문제는? 실패접근절차 수행 시 접근로 선상에서는 장애물로부터 안전하지만 이외에 지역에서는 안전을 보장받을 수 없으며 실패접근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주변 장애물로의 충돌의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11].
선회접근절차란? 선회접근절차는 계기비행 기상상태에서 운용되는 시계비행절차의 형태로서 계기접근을 수행중인 항공기가 직진입 착륙단계에서 운항환경 및 기상조건으로 착륙이 불가능할 경우 시계비행으로 전환하여 공항지역을 선회한 후 진입활주로 반대방향으로 착륙하는 절차이다[6], [10].
ICAO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접근 방식은? 통상적으로 VOR(VHF-Omnidirectional Ran ge)접근 방식을 주로 사용하며 정보를 제공받는 항행안전시설에 따라 NDB(Non-Directional Beacon), LOC(Localizer), LDA(Localizer-type Directional Aid), LNAV(Lateral Navigation), SDF(Simplified Directional Facility), LNAV/V NAV(Lateral Navigation/Vertical Navigation)등의 접근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황과 필요 따라 선회접근절차(Circling approach) 및 시계접근절차(Visual Approach)를 수행할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aeng-Sun Kim . (2005). A Study on the Systemic Improvement of Civil Aviation Safety. Journal of Aviation Development of Korea, (2), 75-103. 

  2. ICAO, (2015). Safety Report, Appendix 1, 21-24 

  3. Ho-Seong Gil, Je-Hyung Jeon, Byung-Heum Song.(2015). Non Precision Approach Procedures Accident Case Studies.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257-260. 

  4. ICAO, Annex (10).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SARPS). 

  5. Ministry of Transportation, (2015). Flight procedures based on business, Chapter 1, Section 2.2 

  6. FAA, (2015). Instrument Procedures Handbook. 8083-16A. chapter 4, 57-75 

  7. Ministry of Transportation, (2015). Flight procedures based on business. 2, Section 5.1. 

  8. ICAO, Annex(6). International General Aviation 

  9. FAA(2016). FAR/AIM2016, p7 

  10. ICAO, (2006) Aircraft Operation, Doc 8168 ops/611 Volume1. 

  11. Ja-Young Kang, YM Kim. (2004). Application of GNSS Non-Precision and Precision Approaches to a Circle-to-Land Approach Air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12(3), 83 

  12. Han-Mo Yang, Hyon-Sam Shin. (2006). An Empirical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rveillance Systems in performing Circling Approach at the air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14(4), 111. 

  13. IATA, (2015). Safety Fact Sheet-Result as, of 31 December, 1-9, 25-26. 

  14. IATA, (2014). Annual-Reviewr, 20. 

  15. Soon-Cheol Byeon, Byung-Heum Song, Se-Hoon Lim, (2008). A Study on Prevention as result of Controlled-Flight-Into-Terrain Accident - Focusing on Guam accident, Mokpo accident, Gimhae accident. 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16(1), 24 

  16. ICAO, (1984). 9422-AN/923. Accident Prevention Manual. 

  17. ICAO, (2012). Doc 9859 Safety Management Manual. 

  18. Mateou, C. A., & Michaelides-Mateou, S. (2012). Flying in the Face of Criminalization: The Safety Implications of Prosecuting Aviation Professionals for Accidents, Ashgate Publishing, Ltd.. 

  19. Ministry of Transportation(1993). Report of Asiana Airlines B737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20. NTSB, (2000). Aircraft Accident Report, AAR-00/01 PB00-910401. 

  21. Seoul Administrative Court(2002). Guhab 530 

  22. Aviation Accident Investigation Board, (2005).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Final Report, KAIB/AAR F0201 

  23. JTSB, (2008). Aircraft Serious Investigation Report: korea Air Lines Co. Ltd, Tokyo, Japan, AI2008-1. 

  24. NTSB, (2013). Aircraft Accident Report, AAR-14/01 PB2014-105984. 

  25. Saaty, L. (1983). Priority setting in complex problems.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30(3), 140-1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