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오픈스페이스 영역성 사례연구 - 광주광역시 아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rritoriality in Open Space for Community Activation - Focused on the Case of Apartment in Gwang-ju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7 no.6, 2016년, pp.1 - 8  

이하연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문정민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focusing on Territoriality which is suppose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to activate open spaces in apartment communities. Case analysis with onsite visit is selected a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targeting 6 apartment complexes in Bukgu and Gwangsangu, Gwangju c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북구, 광산구 내 2006년 이후 준공된 500세대 이상 800세대 미만의 아파트 사례를 대상으로 오픈스페이스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영역성 형성방법을 알아보고자 현장방문을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커뮤니티 활성화 요소에 따른 영역성 형성방법의 빈도는 수평적 변화, 수직적 경계조절, 장치요소, 개성화 순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영역성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를 형성하는 방법을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영역성은 공간 형성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기본적으로 벽, 바닥, 천장을 통해 영역을 형성하며 공간 속 사람은 개인의 소유물을 둠으로써 자신만의 영역을 형성하여 공간에 대한 친밀감, 안정감을 느끼게 되어 다양한 활동이 발생하게 되며 공간의 이용이 지속될 수 있다.
  • 이상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내 아파트 사례를 중심으로 오픈스페이스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영역성 형성 방법을 분석하였다. 한계점으로는 오픈스페이스 이용자들의 영역성 형성방법, 인식 정도 등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필요하며 지역적 한계가 있기 때문에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되어질 필요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아파트 오픈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영역성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향후 아파트 외부 커뮤니티 공간의 영역성 계획에 있어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 둘째, 수평적 변화이다. 제한 없이 연장되어 있는 수평면에서 인간은 불안정해지면서 자신의 위치를 명확한 영역에서 확인하고자 한다. 재료, 색, 패턴의 변화를 통해 영역을 구분하고 방향 전환으로 자연스럽게 다른 공간이 등장함을 인지하게 되며 조망에 영향을 미친다.
  • 사례 분석을 위해 이상 커뮤니티 활성화와 영역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면 [Figure 1]과 같다. 커뮤니티 활성화 요소로써 영역성이 어떠한 방법으로 형성되는지 사례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아파트 오픈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영역성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향후 아파트 외부 커뮤니티 공간의 영역성 계획에 있어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역성이란 무엇인가? 영역성(territoriality)은 1920년 영국의 조류학자 엘리옷하워드가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다양한 요소를 통해 일정 범위의 공간을 구획하고 이를 이용하는 개인 또는 그룹이 물리적·심리적으로 소유 또는 방어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를 통해 인간은 소속감, 안정감을 느끼게 되며 프라이버시와 커뮤니티를 조절한다.
공동주택계획에 있어 커뮤니티 계획의 목표는 무엇인가? 공동주택은 공동체적 생활양식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색이 있으며, 공동주택계획에 있어 커뮤니티 계획은 단지계획의 궁극적 목표 중 하나로 인간의 생활환경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우선시 되는 계획 목표이다(Seo, 2008). 양적 공급이나 기능성에만 치우쳤던 공동주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주자들 간 ‘이웃’이라는 개념상실이라는 사회적 문제가 나타나게 되었고, 지속적인 거주지로서의 기능을 점차 상실하게 되었다.
오픈스페이스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기 위해 물리적 측면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아파트 오픈스페이스에서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기 위해 서는 먼저 커뮤니티 형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측면에서 볼 수 있다. 물리적 측면에서는 우선적으로 커뮤니티의 주체인 구성원이 있어야 하며 커뮤니티가 발생되기 위해서는 영역이 한정되어야 하는데, 넓은 의미로 지역적으로 한정되어야 하고 좁은 의미로는 주거 공간 내 거주자 간 공통된 생활문화와 환경을 바탕으로 한정된 영역을 확보하고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물리적 요소를 바탕으로 사회적 측면 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및 활동, 사적 교류, 거주자 중심의 관리·운영, 경제적 활동 등을 통해 구성원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심리적으로 집단적 정체 성과 애착심, 상호 간의 연대감 형성, 거주 만족감 증가 등이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M. O. (1999). A study on the boundaries of architectural spa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 Jeon, S. M. (2009). An analysi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planning in the existing apartment complex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3. Jeong, S. H. (2011). Territorial design expression and behavior response in urban open spa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 Kang, J. M. (1998). A study on design methods and process to process in dwelling affordance for the common territory of high-rise collective hou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 Kim, D. S. (2013.07.27.). Put the open space in the apartment, lafent. Retrieved from 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09823 

  6. Kim, H. K. (2001). Community design for urban housing complex.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7. Kim, Y. K. (2015). A study on the outdoor space planning in the apartment complex for activating the local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8. Kong, M. N. (2012). A study on design methods of territoriality and privacy domestic townhou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9.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2001). A study on the promotion of the community in multi-family housing complex. Korea: housing & urban research Institute. 

  10. Kwak, Y. J. (2012). A study on the usage enhancement of outdoor spaces in high-rise apartment housing esta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11. Lee, H. J. (2004).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by cognition of bounda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nam University, Gwangju, Korea. 

  12. Lee, S. Y. (1997). Study on the open space of the action used coarse placement of the co-residential complex.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3. Lee, Y. S. (1995). Future housing and community facilities. Seoul: Geongchunsa. 

  14. Miller, S., & Schlitt, J. K. (2000). Interior space: Design concepts for personal needs. In Ru, H. C. (Trans.), Interior design & environmental psychology. california: praeger. (Original work published 1985) 

  1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04.15.). 2014 Korea housing survey. Retrieved from http://hnuri.go.kr/stat/stat_byYearSearchViewPage.do?bbsIdBBSMSTR_000000000011&nttId311 

  16. No, D. G. (2012). A study on the planning method of common facilities in co-residential complexes to activate the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7. Seo, H. Y. (2007).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erritoriality and improvements for the outdoor space in high-rise apartment hou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18. Yang, S. A., Lee, J. H., & Ha, M. K. (2011). Study on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lanning factors for community activation of housing complex. Proceedings of th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31, No. 2 (pp. 151-152), Seoul, Korea. 

  19. Yook, H. I. (2000). A study on the apartment housing planning in the environmental psycholog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won University, Hwasung, Korea. 

  20. Yoon, Y. H. (2012). Planning study of service facilities in apartment for activating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gwan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