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국균(Monascus ruber) 균사체-커피생두 발효물로부터 조제된 원두커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Roasted Coffee prepared from Fermented Green Coffee Bean with Monascus ruber Myceliu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9 no.1, 2016년, pp.1 - 11  

김훈 (고려대학교 의생명융합과학과) ,  서형주 (고려대학교 의생명융합과학과) ,  신지영 ((주)코시스바이오) ,  황종현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광원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nhanc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oasted coffee (RC), 30 kinds of green coffee beans (GCB) with different cultivating areas and varieties were fermented with Monascus ruber mycelium (MR) by solid-state culture. After the dried MR-fermented GCB was subjected medium roasting, each RC was ex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R-커피생두 발효물로부터 조제된 원두커피 열수추출물 30종의 대표적인 염증매개인자로 알려진 TNF-α 및 NO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purpureus 균사체를 다양한 산지별 및 품종별 커피생두에 각각 고체 배양한 발표커피를 조제하여 항산화, 항염증 및 지방생성 억제활성을 평가하였으며, 30종의 커피품종 중에서 Vietnam Robusta 발효커피가 기능성 커피음료 및 기능성소재로의 활용에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제시한 바 있다(Kim 등 2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효특성이 다른 홍국균 균사체인 M. ruber를 30종의 산지별 및 품종에 따른 커피생두에 고체 발효하여 얻은 발효물을 배전하여 원두커피를 조제하고, 이들의 생리활성을 비교함으로써 홍국균-커피생두 발효물로부터 생리활성이 증강된 원두커피를 산업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미 다양한 생리활성의 증가가 확인된 홍국균 (M. ruber) 균사체-커피생두 발효물의 원두커피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산지별 및 품종별 커피로 확대하여 최적의 생리 활성 증진을 갖는 커피품종을 선정함으로써 향후 산업적으로 이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MR-Indonesia Mandheling 커피생두 발효물의 원두커피는 수율과 NO 생성을 억제하는 항염증 활성을, MR-Ethiopia Sidamo G2 커피생두 발효물의 원두커피는 항산화활성을, 그리고 MR-Vietnam Robusta 커피 생두 발효물로부터 조제된 원두커피는 항산화활성과 함께 항지질대사 활성이 각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4) Control is only saline without extrac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피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은? 실제로 많은 연구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한 커피의 생리활성 효과와 그 작용기작을 증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Cano-Marquina 등(2013)은 1990년부터 2012년까지 보고된 커피에 대한 연구를 종합한 바 있으며, 커피 속에 존재하는 카페인(caffeine),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및 디터르펜(diterpene) 등의 생리활성 물질들이 알츠하이머(Eskelinen 등 2009), 파킨슨 병(Hu 등 2007), 제2형 당뇨병(Chu 등 2011), 콜레스테롤(Choi 등 2010) 및 심장 질환 및간경변(Whayne TF 2014; Lopez-Garcia 등 2006; Saab 등 2014) 등에 우수한 보호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호식품을 넘어서 커피의 약리적인 효과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이외 에도 커피의 과다 섭취로 야기되는 카페인 중독증(caffeinism) 을 비롯한 정서불안, 신경과민, 수면장애 및 위장장애 등의 부정적인 연구도 함께 보고되어 있다(Mackay & Rollins 1989; McMullen 등 2011).
커피 섭취의 부작용은? Cano-Marquina 등(2013)은 1990년부터 2012년까지 보고된 커피에 대한 연구를 종합한 바 있으며, 커피 속에 존재하는 카페인(caffeine),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및 디터르펜(diterpene) 등의 생리활성 물질들이 알츠하이머(Eskelinen 등 2009), 파킨슨 병(Hu 등 2007), 제2형 당뇨병(Chu 등 2011), 콜레스테롤(Choi 등 2010) 및 심장 질환 및간경변(Whayne TF 2014; Lopez-Garcia 등 2006; Saab 등 2014) 등에 우수한 보호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호식품을 넘어서 커피의 약리적인 효과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이외 에도 커피의 과다 섭취로 야기되는 카페인 중독증(caffeinism) 을 비롯한 정서불안, 신경과민, 수면장애 및 위장장애 등의 부정적인 연구도 함께 보고되어 있다(Mackay & Rollins 1989; McMullen 등 2011). 따라서 커피의 유용성분 증진과 함께 유해성분을 감소시키기 위해 생물학적 전환(발효) 등을 이용한 다양한 공정 개발과 이에 따른 기능성커피의 개발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기호식품을 통한 새로운 커피시장의 개척 및다양한 대사성 질환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홍국균을 이용하여 상품화된 가공식품은? 최근 들어 Monascus 속의 홍국균이 생산하는 홍국색소는 식품첨가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monacolin K, mevinolin, lovastatin, γ-aminobutyric acid(GABA), acethylcholine 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은 콜레스테롤 생합성 효소(HMG-CoA reductase) 활성억제, 혈압상승 억제 및 항산화 활성과 같은 유효성 검증에 관한 연구결과를 통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Huang 등 2007; Mazoni & Rollini 2002; Tsukahara 등 2009). 이러한 홍국의 우수한 생리활성 효능을 새로운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활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홍국을 가공공정에 활용한 커피, 된장, 고추장, 발효 콩, 쿠키, 죽 등이 상품화 되고 있다(Kim 등 2014; Kim 등 2015; Kim & Rhyu 2000; Pyo & Lee 2007; Jeong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Cano-Maquina A, Tariin JJ, Cano A. 2013. The impact of coffee on health. Maturitas 72:7-21 

  2. Cho AS, Jeon SM, Kim MJ, Yeo JY, Seo KI, Choi MS, Lee MK. 2010. Chlorogenic acid exhibits anti-obesity property and improves lipid metabolism in high-fat diet-induced-obese mice. Food Chem Toxicol 48:937-943 

  3. Cho W, Nam JW, Kang HJ, Windono T, Seo EK, Lee KT. 2009. Zedoarondiol isolated from the rhizoma of Curcuma heyneana is involved in the inhibition of iNOS, COX-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via the down regulation of $NF-{\kappa}B$ pathway in LPS-stimulated murine macrophages. Int Immunopharmacol 9:1049-1057 

  4. Choi EY, Jang JY, Cho YO. 2010. Coffee intake can promot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with increasing MDA level and decreasing HDL-cholesterol in physically trained rats. Nutr Res Pract 4:283-289 

  5.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381-387 

  6. Chu YF, Chen Y, Black RM, Brown PH, Lyle BJ, Liu RH, Ou B. 2011. Type 2 diabetes-related bioactivities of coffee:Assessment of antioxidant activity, $NF-{\kappa}B$ inhibition, and stimulation of glucose uptake. Food Chem 124:914-920 

  7. Claria J. 2003. Cyclooxygenase-2 biology. Curr Pharm Des 9:2177-2190 

  8. Clifford MN. Jarvis T. 1988. The chlorogenic acids content of green robusta coffee beans as a possible index of geographic origin. Food Chem 29:291-298 

  9. Endo A, Hasumi K, Negishi S. 1985. Monacolin J and L. New inhibitors of cholesterol biosynthesis produced by Monascus ruber. J Antibiot 38:420-422 

  10. Endo A. 1980. Monacolin K, a new hypocholesterolemic agent that specifically inhibits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reductase. J Antibiot 33:334-336 

  11. Eskelinen MH, Ngandu T, Tuomilehto J, Soininen H, Kivipelto M. 2009. Midlife coffee and tea drinking and the risk of late-life dementia: a population-based CAIDE study. J Alzheimers Dis 16:85-91 

  12. Fox JB. 1979. Kinetics and mechanisms of the Griess reaction. Anal Chem 51:1493-1502 

  13. Hecimovic I, Belscak-Cvitanovic A, Horzic D, Komes D. 2011. Comparative study of polyphenols and caffeine in different coffee varieties affected by the degree of roasting. Food Chem 129:991-1000 

  14. Hsu CL, Hung SL, Yen GC. 2006. Inhibitory effect of phenolic acids on the proliferation of 3T3-L1 preadipocytes in relation to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4:4191-4197 

  15. Hu G, Bidel S, Jousilahti P, Antikainen R, Tuomilehto J. 2007. Coffee and tea consumption and the risk of Parkinson's disease. Mov Disord 22:2242-2248 

  16. Huang CF, Li TC, Lin CC, Liu CS, Shih HC, Lai MM. 2007. Efficacy of Monascus purpureus Went rice on lowering lipid ratios in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Eur J Cardiovasc Prev Rehabil 4:438-440 

  17. Ishiyama M, Tominaga H, Shiga M, Sasamoto K, Ohkura Y, Ueno K. 1996. A combined assay of cell viability and in vitro cytotoxicity with a highly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neutral red and crystal violet. Biol Pharm Bull 19:1518-1520 

  18. Jeong EJ, Kim KP, Bang B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Hongkuk powder. Korean J Food Nutr 26:177-183 

  19. Kim EY, Rhyu MR. 2000. The chemical properties of Doenjang prepared by Monascus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114-1121 

  20. Kim H, Yu KW, Lee JS, Baek GH, Shin JY. 2014.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coffee fermented using Monascus purpureus mycelium solid-state culture depends on the cultivation area and green coffees varie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6:79-86 

  21. Kim SH, Park BW, Kim JH.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rakjuk (milk porridge) prepared with red yeat-rice. Korean J Food Nutr 28:313-319 

  22. Lopez-Garcia E, van Dam RM, Willett WC, Rimm EB, Manson JE, Stampfer MJ, Rexrode KM, Hu FB. 2006. Coffee consumpt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men and women: a prospective cohort study. Circulation 113:2045-2053 

  23. Lowenstein CJ, Snyder SH. 1992. Nitric oxide, a novel biologic messenger. Cell 70:705-707 

  24. Ma J, Li Y, Ye Q, Li J, Hua Y, Ju D, Zhang D, Cooper R, Chang M. 2000. Constituents of red yeast rice, a traditional Chinese food and medicine. J Agric Food Chem 48:5220-5225 

  25. Mackay DC, Rollins JW. 1989. Caffeine and caffeinism. J R Nav Med Serv 75:65-67 

  26. McMullen MK, Whitehouse JM, Shine G, Whitton PA, Towell A. 2011. The immediate and short-term chemosensory impacts of coffee and caffeine on cardiovascular activity. Food Funct 2:547-554 

  27. Moncada S, Higgs EA. 1991. Endogenous nitric oxide: physiology, pathology and clinical relevance. Eur J Clin Invest 21:361-374 

  28. Potakova P. 2013. Monascus secondary metabolites: production and biological activity. J Ind Microbial Biotechnol 40:169-181 

  29. Pyo YH, Lee TC. 2007. The potential antioxidant capacity and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Monascusfermented soybean extracts: evaluation of Monascus-fermented soybean extracts as multifunctional food additives. J Food Sci 72:S218-223 

  30. Saab S, Mallam D, Cox GA 2nd, Tong MJ. 2014. Impact of coffee on live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Liver Int 34:495-504 

  31. Sato Y, Itagaki S, Kurokawa T, Ogura J, Kobayashi M, Hirano T, Sugawara M, Iseki K. 2011.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properties of chlorogenic acid and caffeic acid. Int J Pharm 403:136-138 

  32. Seymour RM, Henderson B. 2001. Pro-inflammatory-anti-inflammatory cytokine dynamics mediated by cytokine-receptor dynamics in monocytes. IMA J Math Appl Med Biol 18:159-192 

  33. Shin JY, Kim H, Kim DG, Baek GH, Jeong HS, Yu KW. 2013.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offee roasted from fermented green coffee beans with fungal mycelia in solid-state culture. J Food Sci Nutr 42:487-496 

  34. Trugo LC, Macrae R. 1984a. A study of the effect of roasting on the chlorogenic acid composition of coffee using HPLC. Food Chem 15:219-229 

  35. Trugo LC, Macrae R. 1984b. Chlorogenic acid composition of instant coffee. Analyst 109:263-266 

  36. Tsukahara M, Shinzato N, Tamaki Y, Namihira T, Matsui T. 2009. Red yeast rice fermentation by selected Monascus sp. with deep-red color, lovastatin production but no citrinin, and effect of temperature-shift cultivation on lovastatin production. Appl Biochem Biotechnol 158:476-482 

  37.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4113-4117 

  38. Whayne TF Jr. 2014. Coffee: A selected overview of beneficial or harmful effects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Curr Vasc Pharmacol 13:637-648 

  39. Yen WJ, Wang BS, Chang LW, Duh PD. 2005. Antioxidant properties of roasted coffee residues. J Agric Food Chem 53:2658-2663 

  40. Yun HJ, Hoe SK. 2008. Anti-inflammatory effect of Injinho-tang in RAW 264.7 cells. Kor J Herbol 23:169-1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