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방법에 따른 돼지감자 잎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Jerusalem Artichoke Leaves with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 2013년, pp.68 - 75  

김재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김종규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송인성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권은성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윤광섭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돼지감자 잎의 활용 및 생리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정 추출방법을 알아보고자 환류냉각, 상온교반, 가압가열 및 저온고압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돼지감자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수율은 가압가열추출, 환류냉각추출, 상온교반추출, 저온고압추출 순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폴리페놀 함량은 상온교반추출 및 환류냉각추출의 경우 대등한 함량을 나타낸 반면 가압가열추출 및 저온고압추출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가압가열추출 및 저온고압추출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roanthocyanidin 함량에서는 저온고압추출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 검출된 반면 가압가열추출에서는 상온교반 및 환류냉각추출에 비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가압가열추출 및 저온고압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lpha}$-glucosidase, xanthine oxidase 및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에서는 저온고압추출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압가열 및 저온고압추출물이 소재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증진을 위한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water extracts from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JAL) with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stirrer extraction, SE; reflux extraction, RE; autoclave extraction, AE; low temperature high pressure extraction, LTPE) were investigated. The freez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돼지감자 잎의 이용가치를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추출방법을 구명하고자 추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을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추출방법을 제시하고,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5)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돼지감자의 주성분인 이눌린의 효능은? 돼지감자의 주된 성분은 fructose 중합체인 이눌린으로 이는 괴경 건물중량의 약 75%를 차지한다(3). 이눌린의 효능으로 변비개선, 장 질환예방,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혈중 지질저하 및 혈당강하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4)되었다. 현재까지 돼지감자의 연구로는 괴경에 그 주제가 한정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돼지감자 잎의 간세포 보호효과(5), 돼지감자 잎 분획물의 유용성분과 항산화 활성(6) 등이 보고되면서 돼지감자 잎의 우수성이 밝혀진바 있다.
돼지감자란 무엇인가?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 L.)는 국화과 해바라기 속의 쌍떡잎 다년생 식물로 일명 돼지감자 혹은 뚱딴지로 불리며 다이어트에 좋고, 특히 성인병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 작물로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의 기후조건에 맞아 전국 각지에 자생하고 있다(2). 돼지감자는 환경적응성이 강하며 생산량이 30 t/ha 이상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대량 수확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고소득을 올리는 경제작물로 인정되고 있다.
돼지감자의 주성분은 무엇인가? 돼지감자의 주된 성분은 fructose 중합체인 이눌린으로 이는 괴경 건물중량의 약 75%를 차지한다(3). 이눌린의 효능으로 변비개선, 장 질환예방,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혈중 지질저하 및 혈당강하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4)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Hwang IT, Hwang JS, Lim HK, Park NJ. 2010. Biorefinery based on weeds and agricultural residues. Kor J Weed Sci 30: 340-360. 

  2. Go GS, Jeon US. 2003. Ferns, fern-allies and seed-bearing plants of Korea. Iljinsa, Seoul, Korea. p 659. 

  3. Kim CG, Kim SI, Shin HK. 1993. Effect of fructooligosaccharide-inulin of Jerusalem artichoke on the growth of intestinal microorganisms of pig.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395-399. 

  4. Carabin IG, Flamm WG. 1999. Evaluation of safety of inulin and oligofructose as dietary fiber. Regul Toxicol Pharmacol 30: 268-282. 

  5. Kim YS, Lee SJ, Hwang JW, Kim EH, Park PJ, Jeon BT.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on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in Chang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25-1531. 

  6. Yuan X, Gao M, Xiao H, Tan C, Du Y. 2012.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bioactive substances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Food Chem 133: 10-14. 

  7.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3010-3014. 

  8. Abdel-Hameed ESS. 2008. Total phenolic cont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ertain Egyptian Ficus species leaf samples. Food Chem 114: 1271-1277. 

  9. Sun B, Ricardo-da-Silva JM, Spranger I. 1998. Critical factors of vanillin assay for catechins and proanthocyanidins. J Agric Food Chem 46: 4267-4274. 

  1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1. Arabshahi-Delouee S, Urooj A.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mulberry (Morus indica L.) leaves. Food Chem 102: 1233-1240. 

  12.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3.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14. Kim KY, Nam KA, Kurihara H, Kim SM. 2008. Potent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purified from the red alga Grateloupia elliptica. Phytochemistry 69: 2820-2825. 

  15. Stirpe F, Della Corte 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to oxidase (type O). J Biol Chem 244: 3855-3863. 

  16.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17. Cha JY, Jeong JJ, Kim YT, Seo WS, Yang HJ, Kim JS, Lee YS. 2006. Detec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Hamcho (Salicornia herbacea)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J Life Sci 16: 683-690. 

  18. Hwang JK, Kim CT, Hong SI, Kim CJ. 1994. Solubilization of plant cell walls by extrusion. J Korean Soc Food Nutr 23: 358-370. 

  19. Jin L, Ha JH, Jeong MH, Chung EK, Chung AR, Kim JC, Ahn JH, Lee HY. 2009. Enhancement of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Berberis koreana bark by using a low temperature and high-pressure extract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284-291. 

  20. Han JG, Ha JH, Choi YB, Go JL, Kang DH, Lee HY. 2009. The comparison of extraction process for enhancement of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Ulva pertusa kjellm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380-385. 

  21. Nicoli MC, Anese M, Parpinel M. 1999. Influence of processing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fruit and vegetables. Trends Food Sci Technol 10: 94-100. 

  22. Manzocco L, Calligaris S, Mastrocola D, Nicoli MC, Lerici CR. 2000. Review of non-enzymatic browning and antioxidant capacity in processed food. Trends Food Sci Technol 11: 340-346. 

  23.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4. Jiratanan T, Liu RH.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processed table beets (Beta vulgaris var, conditiva) and green beans (Phaseolus vulgaris L.). J Agric Food Chem 52: 2659-2670. 

  25. Osawa T. 1994. Novel natural antioxidant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 In Postharvest Biochemistry of Plant Food Material in the Tropics. Uritani I, Garcia VV, Mendoza EM, eds.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Tokyo, Japan. p 241-251. 

  26.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2006. Physio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31-336. 

  27. Yamada T, Yamamoto M, Tanimara A. 1978. Studies on the formation of nitrosamines, 7: The effects of some polyphenols on nitrosation of diethylamine. J Food Hyg Soc Japan 19: 224-227. 

  28. Xu ML, Wang L, Hu JH, Wang MH. 2009.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ome wild vegetable extracts. J Agric Food Chem 47: 4121-4125. 

  29. Hanefeld M. 1998. The role of acarbose in the treatment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J Diabetes Complications 12: 228-237. 

  30. Nishioka T, Kawabata J, Aoyama Y. 1998. Baicalein, an $\alpha$ -glucosidase inhibitor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J Nat Prod 61: 1413-1415. 

  31. Kim JE, Joo SI, Seo JH, Lee SP. 2009.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89-995. 

  32. Hwang JY, Han JS. 2007. Inhibitory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s on carbohydrate digestive enzymes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89-994. 

  33. Kwon JW, Lee HK, Park HJ, Song JY. 2012.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 extract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1-8. 

  34. Kim KM, Suh HJ, Chung SH, Cho WD, Ma SJ. 1999. Chemical structure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isolated from onion flesh. Food Sci Biotechnol 8: 329-332. 

  35. Kameda K, Takaku T, Okyada H, Kimyra Y, Okuda T, Hatano T, Agata I, Arichi S. 1987. Inhibitory effects of various flavonoids isolated from leaves of persimmon o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tivity. J Nat Prod 50: 680-683. 

  36. Shouqin Z, Junjie Z, Changzhen W. 2004. Novel high pressure extraction technology. Int J Pharm 278: 471-4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