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배방법에 따른 팥의 항산화 특성 및 앙금의 품질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Adzuki Bean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ccording to Cultivated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9 no.1, 2016년, pp.134 - 143  

우관식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송석보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  고지연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  김영복 (천안시농업기술센터) ,  김욱한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배방법에 따라 팥의 항산화 성분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조사하고, 생산된 팥에 대해 앙금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총 polyphenolflavonoid 함량은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또한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품종에 비해 홍언이 높았다. 충주팥, 홍언 및 아라리의 습물중 앙금 수율은 각각 296.64~339.01, 271.36~282.24 및 268.21~292.32%, 건물중앙금 수율은 각각 71.68~85.41, 77.90~85.19 및 74.15~78.65%로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냈다(p<0.05). 습물 및 건물 앙금의 명도는 충주팥과 아라리는 약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p<0.05), 홍언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평균입자 직경은 충주팥, 홍언 및 아라리가 각각 66.21~98.80, 61.62~97.07 및 $82.96{\sim}106.71{\mu}m$로 재배방법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앙금의 미세구조는 타원형 모양의 입자로 세포막과 단백질이 둘러싸서 표면이 거친 것을 볼 수 있다. 수분결합력, 용해도 및 팽윤력 또한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adzuki beans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diment using various cultivation metho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beans grown using different methods of cultivation (p<0.05). Also, DPPH and ABTS r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배방법에 따라 팥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조사하고 생산된 팥에 대해 앙금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재배방법에 따라 팥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조사하고, 생산된 팥에 대해 앙금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총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은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팥이 사용되는 식품은 무엇인가? 팥(Adzuki bean,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은 우리나라에서 콩 다음으로 중요한 두류작물로 단백질과 지방질 함량이 낮고, 탄수화물이 높은 두류로 구성성분의 대부분은 전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Koh 등 1997), 팥죽이나 떡, 빵, 과자 등의 속재료, 앙금과 양갱, 빙과제조용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Kim 등 2003). 팥은 비타민 B1이 풍부하여 쌀에 혼반 할 경우, 쌀밥에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을 공급하여 주며, 각기병 뿐만 아니라, 피로회복에도 효과가 있다(Woo 등 2010).
팥에 함유된 단백질의 대부분은 어떤 성분인가? 팥은 비타민 B1이 풍부하여 쌀에 혼반 할 경우, 쌀밥에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을 공급하여 주며, 각기병 뿐만 아니라, 피로회복에도 효과가 있다(Woo 등 2010). 단백질의 대부분은 글리시닌(glycinin)이고, 발린(valine)을 제외한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며, 특히 쌀의 제한아미노산인 라이신 (lysine) 함량이 높아 혼식하면 아미노산 보족효과로 단백질의 질을 향상시켜준다(Song 등 2013). 팥에 함유된 사포닌은 섬유질과 함께 변통을 돕는 효과가 있고, 독을 풀고 배변을 촉진하여 장을 깨끗이 해주며, 신장병, 각기병, 숙취 등에도 이용된다(Song 등 2011).
팥에 함유된 사포닌은 어떤 효과가 있고 어디에 이용되는가? 단백질의 대부분은 글리시닌(glycinin)이고, 발린(valine)을 제외한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며, 특히 쌀의 제한아미노산인 라이신 (lysine) 함량이 높아 혼식하면 아미노산 보족효과로 단백질의 질을 향상시켜준다(Song 등 2013). 팥에 함유된 사포닌은 섬유질과 함께 변통을 돕는 효과가 있고, 독을 풀고 배변을 촉진하여 장을 깨끗이 해주며, 신장병, 각기병, 숙취 등에도 이용된다(Song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e SK, Lee YC, Kim HW. 2001. The browning reaction and inhibition on apple concentrated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6-13 

  2. Cho EJ, Park SH. 1997. Comparis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kidney bean sedimant according to classification. Korean J Soc Food Sci 13:585-591 

  3.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381-387 

  4.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 Food Chem 50:4959-4964 

  5. Joo YH, Park JH, Kim YH, Choung MG, Chung KW. 2004. Change in anthocyanin contents by cultivation and harvest time in black-seeded soybean. Korean J Crop Sci 49:512-515 

  6. Jung CS, Park YJ, Kwon YC, Suh HS. 1996. Variation of anthocyanin content in color-soybean collections. Korean J Crop Sci 41:302-307 

  7.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624-630 

  8. Kim CG, Oh BH, Na JM, Sin DH. 2003a.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and Chinese red bean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551-555 

  9. Kim DK, Lee JY, Yoon CY, Lee YS, Kuk YI, Chon SU, Park IJ. 2003b. Growth and green pod yield by sowing and acclimation dates in autumn green pea. Korean J Crop Sci 48:447-451 

  10. Kim HJ, Sohn KH, Park HK. 1990. Emulsion properties of small red bean protein isolates. Korean J Food Cookery Sci 6:9-14 

  11. Kim HS, Kim HS, Kim KH, Oh YJ, Suh SK, Park HK. 2005. Water absorption and germination ratio of sprout-soybean varieties affected by different planting date. Korean J Crop Sci 50:132-135 

  12. Kim HS, Kim HS, Kim KH. 2006. Effects of sowing date for seed quality of sprout-soybean. Korean J Crop Sci 51:152-159 

  13. Kim HS, Park KG, Baek SB, Son YK, Lee CW, Kim JG, Kim JC, Nam JH. 2003c. Genotype and environment effects on barley grain ${\beta}$ -glucan content. Abstract page 240-241 presented at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Seoul, Korea 

  14. Kim JE, Joo SI, Seo JH, Lee SP. 2009.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989-995 

  15. Kim JK, Watanabe T, Lee CH. 1987. Microstructure and textural properties of cell mass from cooked kidney bean and soybean. Korean J Soc Food Sci 19:164-170 

  16. Kim KJ, Lim KH. 1987.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grains harvested from different regions. Korean J Crop Sci 32:234-242 

  17.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626-632 

  18. Koh KJ, Shin DB, Lee YC. 1997. Phsicochemical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s in small red bean, mung 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854-859 

  19. Koide T, Hashimoto Y, Kamei H, Kojima T, Hasegawa M, Terabe K. 1997. Antitumor effect of anthocyanin fractions extracted from red soybeans and red beans in vitro and in vivo. Cancer Biother Radio 12:277-280 

  20. Leach HW, McCowen LD, Schoch TJ. 1959. Structure of starch granule. I. Swelling and solubility patterns of various starches. Cereal Chem 36:534-544 

  21. Lee AR, Kim SK. 1992. Gelatinization and gelling properties of legume starches. J Korean Soc Food Nutr 21:738-747 

  22. Lee HH, Chu SH, Ryu SN, Shin MC, Koh HJ. 2006. Grain characteristics of green-kerneled rices under different planting time and N-fertilizer levels. Korean J Breed 38:358-365 

  23. Medcalf F, Gilles KA. 1965. Wheat starches. I.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Cereal Chem 42:558-568 

  24. Meng GT, Ma CY. 2001a. Flow property of globulin from red bean (Phaseolus angularis). Food Res Int 34:401-407 

  25. Meng GT, Ma CY. 2001b. Thermal properties of Phaseolus angularis (red bean) globulin. Food Chem 73:453-460 

  26. Middleton E,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115-119 

  27. Na HS, Oh GS, Park JH, Kim K, Kim SK. 2000. Granular properties of acorn flour at various soaking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766-769 

  28. Nieva MM,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109-114 

  29. Park SH, Cho EJ. 1995. Instrument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mixed with kidney bean sediment. Korean J Dietary Cul 10:247-253. 

  30. Rockland LB, Jones FT. 1974.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tudies on dry beans. Effects of cooking on the cellular structure of cotyledons in rehydrated large lima beans. J Food Sci 39:342-346 

  31. Schoch TJ. 1964. Swelling power and solubility of granular starches. In Method in Carbohydrate Chemistry. Whistler RL, ed.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Vol 4, p 106-108 

  32. Shin SO, Shin SH, Ha TJ, Lim SG, Choi KJ, Baek IY, Lee SC, Park KY. 2009. Soybean ecological response and seed quality according to altitude and seeding dates. Korean J Crop Sci 54:143-158 

  33. Song SB, Ko JY, Kim JI, Lee JS, Jung TW, Kim KY, Kwak DY, Oh IS, Woo KS. 2013.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zuki bean and adzuki bean tea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roasting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317-324 

  34. Song SB, Seo HI, Ko JY, Lee JS, Kang JR, Oh BG, Seo MC, Yoon YN, Kwak DY, Nam MH, Woo K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adzuki beans sediment according to variety. J Korean Soc Food Nutr 40:1121-1127 

  35. Yi MA, Kwon TW, Kim JS. 1997. Changes in isoflavone contents during maturation of soybean seed. J Food Sci 2:255-2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