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수면 적응 경험
Adaptation Experience of Sleep in New Nurs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3 no.1, 2016년, pp.21 - 31  

박형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하재현 (마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to identify new nurses' adaptation experience to sleep changes. Method: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utilized. Participants were 10 new nurses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of Corbi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흔히 나타나는 수면관련 어려움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흔히 나타나는 수면관련 어려움은 잠드는데 만성적인 어려움을 겪거나 불면증 혹은 과다수면 및 불충분한 수면이나 단절된 수면으로 오는 수면박탈 등이 있다. 이는 질병이나 정서적인 스트레스, 환경적인 요인 및 교대근무로 인한 불규칙적인 수면습관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난다[8].
신규 간호사의 수면 적응 경험을 파악하고 그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 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간호사의 교대근무와 수면 부적응에 관한 선행연구는 교대근무와 입면시간 사이에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고 교대근무 간호사가 불면증, 수면박탈, 주간 졸림, 코골이 등의 수면장애 유병률이 높다고 하였다[9,10]. 그 외 연구들은 간호사의 충분한 수면에 관한 연구[11], 병원간호사의 근무형태와 주간수면과다증에 따른 직무몰입[12], 신규 간호사의 수면의 질에 따른 스트레스, 건강상태[13] 등이 있으나 기존 연구들은 간호사의 교대근무와 수면장애의 관련성에 대한 조사연구가 대부분으로 신규간호사의 수면 적응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교대근무로 인해 수면 부적응을 겪고 있거나 피곤해서 잠만 자다가 출근 직전에 깨거나 퇴근 후에 잠만 자는 등의 신규 간호사의 수면 적응 경험을 파악하고 그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간호사의 3교대 근무환경은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가? 그러나 응급환자나 입원환자에 대한 간호 서비스는 365일 24시간 제공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간호업무는 교대근무가 특징적이다. 이러한 3교대 근무환경은 간호사의 생체리듬에 변화를 일으켜 근무의 정확성 및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교대 근무로 인한 근무 중졸리움은 간호 오류와 연관성이 있어, 간호업무 수행 시 사고 발생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Park TJ, Paek DM, Joh KO, Park JS, Cho SI.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work-related injuries among Korean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2;24(1):52-60. 

  2. Kim MS, Kim JR, Park KS, Kang YS, Choe MSP. Associations between sleep quality, daytime sleepiness, with perceived errors during nursing work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13;38(4):229-242. http://dx.doi.org/10.5393/JAMCH.2013.38.4.229 

  3. Suzuki K, Ohida T, Kaneita Y, Yokoyama E, Miyake T, Harano S, et al. Mental health status, shift work, and occupational accidents among hospital nurses in Jap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2004;.46(6):448-454. http://dx.doi.org/10.1539/joh.46.448 

  4. Kim MJ, Han SS.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organization,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job experience between national/public hospital nurses and private hospit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7;13(1):22-30. 

  5. Yun SW, Oh KA, Yun H, Park J.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sleep among 119 recu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6):2926-2934. http://dx.doi.org/10.5762/KAIS.2013.14.6.2926 

  6. Kang MJ, Lee HJ. A phenomenological study on nurses' experiences of turnov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9(3):305-314. 

  7. Kim JH, Park SA.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a nur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8(1):97-105. 

  8. Song KA, Park HS, Hong YH, Lee KY, Jeoung SG, Jo BH, at al. The newest fundamentals of nursing. 2nd ed. Seoul: Soomoonsa: 2014. 

  9. Bae JH, Jeong JH. Combined effects of individual background, work shift and job stress on the prevalence of sleep problems in hospital employer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3;24(3):232-244. 

  10. Lee JT, Lee KJ, Park JB, Lee KW, Jang KY. The relations between shiftwork and sleep disturbance in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7;19(3):223-230. 

  11. Lally RM. Badge of honor or recipe for disaster? The importance of adequate sleep for nurses. Oncology Nursing Society Connect. 2009;24(3):8-12. 

  12. Hwang EH, Kang JS. A study on job involvement according to working pattern and daytime sleepiness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1;17(2): 81-86. 

  13. Yang JH, Park HJ, Kim SS, Kang EJ, Byun SH, Bang JS. Adaptation experience to family of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1):36-47. http://dx.doi.org/10.4040/jkan.2012.42.1.36 

  14. Benoliel JQ. Grounded theory and nursing knowledge.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996;6(3):406-428. http://dx.doi.org/10.1177/104973239600600308 

  15. Corbin J,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3rd ed. Los Angeles, CA: Sage Publicatioins; 2008. 

  16.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985. 

  17. Byrne MM. Evaluating the findings of qualitative research. 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s Journal. 2001;73(3):703-706. 

  18. Tong A, Sainsbury P, Craig J. Consolidated criteria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COREQ): A 32-item checklist for interviews and focus group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7;19(6):349-357. http://dx.doi.org/10.1093/intqhc/mzm042 

  19. Saksvik IB, Bjorvatn B, Hetland H, Sandal GM, Pallesen S. Individual differences in tolerance to shift work: A systematic review. Sleep Medicine Reviews. 2011;15(4):221-235. http://dx.doi.org/10.1016/j.smrv.2010.07.002 

  20. Wong H, Wong MC, Wong SY, Lee A.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duty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among nurses working in a major hospital: A cross-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0;47(8): 1021-1027.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0.01.001 

  21. Scott LD, Arslanian-Engoren C, Engoren MC. Association of sleep and fatigue with decision regret among critical care nurs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4;23(1):13-23. http://dx.doi.org/10.4037/ajcc2014191 

  22. Kim YH, Kim YM, Kim SH, Chang KO, Koo MJ, Lee NY. Workers' experiences in shift wor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7;18(2): 284-292. 

  23. Park JH, Chun IS. The lived experience of newly employed nurses: Phenomenological study. Qualitative Research. 2008; 9(2):99-110. 

  24. Suh Y, Lee K. Lived experiences of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2):227-238.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2.227 

  25. Park HS, Kim KN, Kang EH, Lee JM, Park SM. Lived adaptation experiences of new ICU nurses who are working in a newly established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2):226-236. 

  26. Berger AM, Hobbs BB. Impact of shift work on the health and safety of nurses and patient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6;10(4):465-471. http://dx.doi.org/10.1188/06.CJON.465-471 

  27. Park YR. The adaptation process of male students in colleges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4):449-458. 

  28. Son HM, Koh MH, Kim CM, Moon JH.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6):988-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