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정보제공이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환자의 시술 전 불안 및 불확실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Nursing Information on Anxiety and Uncertainty in Patients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before the procedure of th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2, 2016년, pp.66 - 74  

신은정 (경상대학교병원) ,  이영숙 (거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책자를 이용한 간호정보제공이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환자의 시술 전 불안 및 불확실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3년 2월 13일 부터 4월 26일 까지 46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대조군 23명은 기존의 중재 방법인 구두설명과 표준화된 양식 없이 일반적인 시술전 교육을 받았고 실험군 23명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소책자를 통한 간호정보제공을 받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chi}^2$ test, Fisher's exact t-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불안(t=3.319, p=.002), 불안 행동반응(t=3.508, p=.001)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불확실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745, p=.460). 소책자를 이용한 간호정보제공은 위내시경시술 환자의 시술 전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한 간호중재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rsing information provision using a booklet on the patients' anxiety and uncertainty with an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before the procedure, which is a non-equivalent controlled pre-post test designed study. Twenty three patients in a control group rece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소책자를 활용한 간호 정보제공이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환자의 시술 전 불안 및 불확실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로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술전 상태불안정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불안행동반응 또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지만 불확실성 정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환자를 대상으로 익숙하지 않은 병원환경, 시술과 치료 절차에 대한 정보부족 및 예후에 대한 불확실성 등에 대하여 구조화된 교육 자료로 소책자를 개발하여 대상자에게 간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질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환자가 치료와 간호계획, 치료과정에 능동적, 적극적으로 참여 하게 함으로써 시술에 대한 불확실성과 불안을 줄이고, 환자를 위한 유용한 간호중재를 실시함으로써 그 효과를 확인하여 간호정보제공을 간호중재의 한 방법으로 개발하는데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초기위암과 선종으로 진단받고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시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정보제공이 시술전 불안 및 불확실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정보제공이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환자의 시술전 불안 및 불확실성의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간호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술전 불안정도가 낮을 것이다.
  • ‘간호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술전 불확실성 정도가 낮을 것이다.
  • (1) 부가설1 : 간호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술전 상태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
  • (2) 부가설2 : 간호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술전 불안행동반응 정도가 낮을 것이다.
  • 1) 제1가설 : 간호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술전 불안정도가 낮을 것이다.
  • 2) 제2가설 : 간호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술전 불확실성 정도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 1위는 무엇인가?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13년 암발생률 1위는 갑상선암이었고 2위는 위암, 다음으로 대장암, 폐암, 유방암, 간암 순서였다[1].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 1위는 으로 2014년 암에 
기질불안 측정도구는 점수가 높을수록 무엇을 의미하는가? 기질불안 측정도구는 긍정적인 10문항과 부정적인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긍정적인 문항은 ‘언제나 그렇다’의 1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의 4점까지이며, 부정문항은 역점수를 주었다. 점수가 높을 수록 기질불안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Kim & Shin[21]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 .
우리나라에서 13년 암발생률 1위는 무엇인가? 1.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13년 암발생률 1위는 갑상선암이었고 2위는 위암, 다음으로 대장암, 폐암, 유방암, 간암 순서였다[1].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 1위는 암으로 2014년 암에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Statistics in Korea, 2013 [cited 2016 January 15] Retrieved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102000000 

  2. Statistics Korea, Cancer rate 2014 [cited 2015 December 20] Retrieved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70 

  3. K. S. Choi, H.Y, Jung, endoscopic resection of early gastric cancer,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3(4), pp. 299-30, 2010.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0.53.4.299 

  4. J. Y. Cho, W. Y. Cho, The current status of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37, pp. 317-320, 2008. 

  5. Y. M, Jang, J. S, Han, The effects of Preparatory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Premedication on the Level of Anxiety of Patients undergoing Bronchoscop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9), pp. 4061-4067,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9.4061 

  6. M. Uesato, Y. Nabeya, T. Akai, M. Inoue, Y. Watanabe, H. Kawahira, T. Mamiya, Y. Ohta, R. Motojima, A. Kagaya, Salivary amylase activity is useful for assessing perioperative stress in response to pain in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of gastric tumors under deep sedation, Gastric Cancer, 13(2), pp. 84-89, 2010. DOI: http://dx.doi.org/10.1007/s10120-009-0541-8 

  7. R. McCaffrey, D. J. Thomas, & A. O. Kinzelman, The effects of lavender and rosemary essential oils on test-taking anxiety among graduate nursing students. Holistic Nursing Practice, 23(2), pp. 88-93, 2009. DOI: http://dx.doi.org/10.1097/HNP.0b013e3181a110aa 

  8. S.Y, Kwon, J. A, Le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Gastroendoscopic Surgery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5(5), pp. 494-503, 2013.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3.25.5.494 

  9. M. S, Lee, H. j. Kim, S. L, Suh, Uncertainty and Nursing Need According to Illness Phases in Cancer Patient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 pp. 1-9, 2008. 

  10. I. Kagan, Y. Bar-Tal, The effect of preoperative uncertainty and anxiety on short-term recovery after elective arthroplast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5), pp. 576-583, 2008. DOI: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1968.x 

  11. M. J. Lee, Uncertainty, Appraisal of Uncertain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Recovering Clients Discharged from Hospital after CABG, Nursing Science, 21(1), pp. 49-63, 2009. 

  12. K. H. Shon, G. N. Lee, N. H. Kim, The Effectiveness of Providing Patients with Information Using Leaflet on Anxiety of In patients for Endoscopic Examinatio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1), pp. 23-29, 2013. DOI: http://dx.doi.org/10.14370/jewnr.2013.19.1.023 

  13. Y. S. Cho, J. H. Yeo, Effect of Information and Behavioural Training on Anxiety and Discomfort in Clients undergoing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4), pp. 2223-2235, 2015. 

  14. Y. E. Kwon, B. H. Kim, The Effects of Video-audio Information Provision on Physical Discomfort, Anxiety, and Nursing Satisfaction of the Clients for Gastroscopy,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5(2), pp. 231-239, 2013.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3.25.2.231 

  15. N. S, Kim, The Effects of Preoperative Education on Anxiety and uncertainty with hip arthroplasty just before op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2011. 

  16. S. H. Kim, H. J. Le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Care Program on Hip Function, Anxiety and Uncertainty for Patients with Total Hip Arthroplas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3), pp. 419-431, 2013. 

  17. Y. H. Cho, Effect of Structured Information on Immediate Preoprative Anxiety and Uncertainty in Patient Undergoing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2015. 

  18. E. Y. Kim, The Effects of Preoperative Nursing Information on Post Operative Uncertainty And Anxiety of Patients with Chronic Otitis Med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2010. 

  19.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2009. DOI: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20. C. D. Spielberger, Anxiety on Emotional state, anxiety current trend s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Academics press, 1972. 

  21. J. T. Kim, D. K. Shin,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11), pp. 69-75, 1978. 

  22. M. E. Cline, J. Herman, E. R., Shaw, & R. D. Morton, Standardization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Nursing Research, 41, pp. 378-380, 1992.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199211000-00013 

  23. C. Finesilver, Preparation o fadult patients for cardiac catheterization and coronary cineangiography, International Journal nursing studies, 15, pp. 211-21, 1978.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199211000-00013 

  24. K. S. Kim, The Effect of preparatory information on stress reduction in patients undergoing cardiac catheter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90. 

  25. M. H. Mishel, The measurement of uncertainty and stress in illness, Nursing Research, 30(5), pp. 258-263, 1981.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109000-00002 

  26. O. H. Cho, uncertainty, anxiety and coping with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4), pp. 1006-1017, 2000. 

  27. S. Y. Kwon, J. A. Le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Gastroendoscopic Surgery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5(5), pp. 494-503, 2013.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3.25.5.494 

  28. Y. S, Eo, N. Y, Lee, J. W, Lee, H. J, Cha,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Using Video-Program of Operating Room Nurses before Operation on Laparoscopic Hysterectomy Patient's Anxie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2015, 16(4), 2639-264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4.2639 

  29. M. Y. Jung, I. K. Hong, H. Y. Noh, H. S. Park, J. M. Son, J. H. Kim, S. Y. Kim, Effects of Video-Based Information Provision on Anxie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Thyroid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oiodine Treatme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 (1), pp. 11-20, 2015. 

  30. K. S. Cha, K. H. Kim, Impact of Uncertainty on Resilience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12(2), pp. 139-146, 2012. DOI: http://dx.doi.org/10.5388/aon.2012.12.2.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