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장애자녀 돌봄제공자의 웰니스 증진을 위한 융복합 돌봄역량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convergent caring competency for promotion of caregivers' wellness of disabled childre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2, 2016년, pp.479 - 487  

이유리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남중 (남부대학교 특성화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자녀 부모가 인식한 돌봄역량, 돌봄경험의 평가(돌봄부담, 돌봄만족), 자조집단지지의 수준이 자녀의 장애유형(정신장애, 신체장애)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장애자녀 부모 301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고,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라 정신장애 유형 180명과 신체장애 유형 121명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의 잠재평균분석을 위해 형태동일성 검증, 측정동일성 검증, 절편동일성 검증, 요인분산동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 집단은 신체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 집단에 비해 자조집단지지와 돌봄부담이 더 높게 분석되었고, 반대로 신체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 집단은 정신장애 자녀를 돌보는 집단에 비해 돌봄만족과 돌봄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서비스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disabilities type of caring competency, caring appraisal(caring burden, caring satisfaction), self-help group support for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301 parents who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른 부모의 돌봄역량, 돌봄부담, 돌봄만족, 자조집단지지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살피지 않았던 보호대상자의 장애유형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미가 있으며,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라 부모의 지원체계를 구분하고 우선순위를 달리 하여 상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책적 도구로 활용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또한 장애자녀 보호 제공자의 웰니스 증진을 위한 융복합 돌봄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요인을 찾아 개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부모의 돌봄역량, 돌봄경험에 대한 부담감 및 만족감 그리고 자조 집단지지 등 융복합적 변인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통해 자녀 돌봄과정을 책임지는 부모의 웰니스를 증진시키고 장애자녀 부모 대상 연구의 관점을 강점 중심적으로 전환하며 돌봄과정에서 적극적인 대처전략 활용에 필요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또한 지금까지 국내외적으로 돌봄과정 관련 연구들은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진행되어 왔는데,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장애유형별 특성에 따른 돌봄과정 관련 주요 변인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장애유형별로 차별화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상의 선행연구를 종합해볼 때 장애자녀 부모의 돌봄역량, 돌봄경험에 대한 인지적 평가, 자조집단지지를 연구하는 것은 장애자녀 부모의 실천적 개입의 시각을 기존 연구 대비 강점 중심적 시각으로 전환하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는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른 부모의 돌봄역량, 돌봄부담, 돌봄만족, 자조집단지지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살피지 않았던 보호대상자의 장애유형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미가 있으며,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라 부모의 지원체계를 구분하고 우선순위를 달리 하여 상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책적 도구로 활용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또한 장애자녀 보호 제공자의 웰니스 증진을 위한 융복합 돌봄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요인을 찾아 개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장애자녀의 장애유형(정신장애와 신체장애)에 따른 부모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다집단분석 및 잠재평균분석을 적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집단간 차이를 평가하는 t검증이나 다변량분산분석(MANOVA)과 같은 전통적 방법들은 측정오차에 의한 영향을 받는 측정변수에 의존하게 되므로 잘못된 결론이 유도될 수 있다[19].
  • 위의 결과를 토대로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라 부모의 돌봄역량 지원체계가 차별화될 수 있는 실천적 접근 방안과 장애인 복지의 정상화 개념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장애자녀 돌봄이란 일차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돌봄역량이 강화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기존의 연구 초점은 부담감, 돌봄과정의 부정적 평가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1, 2, 3]. 이에 본 연구는 부모의 돌봄역량, 돌봄경험에 대한 부담감 및 만족감 그리고 자조 집단지지 등 융복합적 변인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통해 자녀 돌봄과정을 책임지는 부모의 웰니스를 증진시키고 장애자녀 부모 대상 연구의 관점을 강점 중심적으로 전환하며 돌봄과정에서 적극적인 대처전략 활용에 필요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또한 지금까지 국내외적으로 돌봄과정 관련 연구들은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진행되어 왔는데,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장애유형별 특성에 따른 돌봄과정 관련 주요 변인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장애유형별로 차별화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웰니스란 무엇인가? 신체와 정신은 물론 사회적으로도 건강한 상태가 지속되어야 하는 장애자녀 부모이지만, 즉 웰니스(wellness) 상태가 무너지게 되면 장애자녀 부모를 포함한 장애자녀까지도 건강함을 상실하게 될 수 있다. 웰니스는 질병이 없는 것뿐만 아니라 행복한 삶을 위하여 그 이상을 추구하는 것으로 삶의 여러 가지 부분(신체적,정서적, 사회적, 지적, 직업적)에서 건강한 삶을 추구하면서 궁극적으로 행복하고 건강한 삶에 근접하는 과정이다.
장애인복지법의 한계는 무엇인가? 장애인과 그 가족을 돌보는 일차적 책임은 국가에 있어, 현재 「장애인복지법」을 근거로 이들에 대한 지원이 실행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복지법」은 장애인당사자 지원 위주로 구성되며, 장애인 가족지원에 대한내용도 장애 추가비용 보전 정도만 규정되어 있다. 「장애아동복지지원법」은 가족 지원 규정이 임의 조항이며,「발달 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발달장애인법」)에 명시된 가족 지원도 가족지원센터 지원까지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
부모의 돌봄역량 강화 수준이 장애자녀 돌봄 역할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우선, 장애자녀 부모의 돌봄역량은 그들의 전문성 및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지역사회 자원활용 능력을 강화하고 내재된 강점을 강화하여 돌봄효능감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4, 5]. 돌봄역량이 강화된 장애자녀 부모는 장애자녀의 치료 및 교육을 포함한 전 개입 과정에 참여하면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6]. 반대로 돌봄역량이 강화되지 못한 장애자녀 부모는 좌절, 우울,무력감을 경험하며 장애 자녀의 돌봄과정에 있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한계를 갖게 된다[7]. 즉, 부모의 돌봄역량 강화 수준에 따라 장애자녀 돌봄 역할수행의 질이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hearn, J., Todd, S, "Maternal employment and family responsibilities: The perspectiv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Vol. 13, No. 3, pp. 109-131, 2000. 

  2. Chien, W. T., Thompson, D. R., Norman, I, "Evaluation of a peer-led mutual support group for Chinese families of people with schizophrenia",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 42, No. 1-2, pp.122-134, 2008. 

  3. Ji-Sun Choi, Seon-joo Lee & Joo-young Son, "The Verification of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Permanency Plan, and Child-rearing Burden Recognized by Mothers Who have a child with development disabi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0, No. 4, pp.41-71, 2009. 

  4. Koegel, R. L., Brookman, L., & Koegel, L. K, Autism: "Pivotal response intervention and parental empowerment, Trends in Evidence-Based Neuropsychiatry", Vol. 5, pp.61-69, 2003. 

  5. Yu-ri Lee, "A study on the Factors Impacting Main Caregiver Empowerment", Institut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Vol. 21, pp.134-165, 2008. 

  6. Minnes, P, Nachshen, J., & Woodford, L, "The role of Families, In I. Brown and M, Percy (Eds.)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ntario(2nd Ed.). Toronto: Ontario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pp.663-676, 2003. 

  7. Nachshen, J. S., and Jamieson, J., "Advocacy,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Bulletin", Vol. 28, pp.39-55, 2000. 

  8. Hyee-won Joo, "The Effect of Decrease Parenting Stress Training Program for Disorder Children of Mother", The Graduate School of Kyong-Buk University, 2011. 

  9. Lawton, M. P., Moss, M,, Kleban, M. H., Glicksman, A., & Rovine, M, "Two-factor model of caregiving apprais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Gerontology, Vol. 46, No. 4, pp.181-189, 1991. 

  10. Heller, T., Miller, A. B. & Factor, A,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as supports to their parents: Effetcts on parental caregiving appraisal, Mental Retardation", 35, pp.338-346, 1997. 

  11. Hanson, M., Hanline, M, "Parenting a child with a disability: A longitudinal study of parental stress and adaptation", Journal of Early Inervention, Vol. 14, No. 3, pp.234-248, 1990. 

  12. Roberto, K. A, "Family caregivers of aging adults with disabilities: A review of the caregiving literature. In K. A. Roberto (Ed.), The elderly caregiver: Caring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p.3-20, Newbury Park, CA: Sage, 1995. 

  13. Hui-jeong Yu, Yeon-ug Kang, Hun-jin Lee, "Effects of Maternal Attachment Styles and Types of Children's Disorders on Rearing Attitude and Parenting Stres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3, No. 1, pp.77-89, 2004. 

  14. Nam-jung Kim,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manency Planning of Disabled youth'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caregiving appraisal". Ph.D. Nambu University, 2015. 

  15. Yeon-soo Kim, "A study on caregiving apprais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Ph.D. Ewha Womans University, 2005. 

  16. Toseland, R. W. & McCallion, P, "Empowering families of adolescent and adults with developmetal disabilities, Families in Society", Vol. 74, pp.579-588, 1993. 

  17. Mi-Ok Kim, "A study on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and adaptation of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01. 

  18. In-ok Kim, Won-ryeong Lee, "A study on bringing-up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pp. 101-120, 2011. 

  19. Se-hee Hong, Mae-Hyang Hwang, Eun-sul Lee, "Latent Means analysis of the Career-Barrier Scale for Korean female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9, No. 4, pp.1159-1177, 2005. 

  20. Whittaker, J., Tracy, E, "Social network intervention in intensive family-based preventive services. In Unger, D., Powell, D(ed), Families as nurturing systems: support across the life span", New York: The Haworth Press, Inc, pp.175-192, 1990. 

  21. Kyung-Hee Ha,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Adjustment of the Mentally Disabled",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0. 

  22. Orbell, S., Hopkins, N., & Gillies, B, "Measuring the impact of informal caring", Journal of Community &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 3, pp.149-163, 1993. 

  23. Koren, P. E., DeChillo N., & Friensen, B. J., "Measuring empowerment in families whose children have emotional disabilites: A brief questionnaire,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 37, pp.305-321, 1992. 

  24. Se-hee Hong,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9, No. 1, pp.161-177, 2000. 

  25.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88. 

  26. Seo-eun Kim, Joo-kyeong Eo, "The effect of Life-Satisfaction in Mothers Rea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enting Stress, Disability-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Life-span Studies, Vol. 5, No. 1, pp.19-35, 2015. 

  27. Keum-ho Lee, Hyewon Chung, "Testing Construct Equivalence of TCI using Multi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Vol. 34, No. 2, pp.57-77, 2013. 

  28. Young-ju Joo, Young-lan Chung, Yoo-Kyung Le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Latent Means Analysis of Gender among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External Motivation and Science Achiev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J Korea Association Sci. Edu, Vol. 31, No. 6, pp.876-886, 2011. 

  29. Min-kyu Cho, Choon-kyung Kim, Huyn-jung So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Latent Mean Analysis of Gender among Abuse, Peer Attachment, Self-Respect, Depression and Aggress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6, No. 2, pp.29-54, 2014. 

  30. Chun-Ok Jang, "A study of family function and convergent adaptation hearing protection facto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3, pp. 119-125, 2015. 

  31. Yoon seon-o, kim woo ho, "Convergent research on how golf affects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47-54,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