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면장애가 있는 중장년 환자에게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 메타분석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Primary Insomnia in Adults Aged 55 and Above: A Meta-analysi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1, 2016년, pp.13 - 29  

김지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오복자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sleep disturbance amongst adults aged 55 and above. Methods: 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CINAHL and several Korean databases were searched. The main search strategy combined terms including non-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국내의 경우는 보완대체요법 중심의 수면 중재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합하여 중재연구의 방향과 효과분석을 제시한 메타분석연구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외의 불면증이나 수면장애를 가지고 있는 중장년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중재와 보완대체요법을 포괄하여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효과 크기를 체계적인 방법으로 개관하는 메타분석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화에 따른 수면장애의 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제시하여 수면모델의 이론을 강화시키고 국내 중재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며 추후 수면장애가 있는 환자의 치료와 간호 실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2015년 1월까지 발표된 국내외의 비약물적 수면 중재연구를 대상으로 효과를 분석하고 근거기반 실무의 기초 자료와 수면장애 관리를 위한 중재방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 논문은 총 16편으로 인지행동중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보완대체 요법은 총 4편에 불과하였다.
  • 본 연구는 55세 이상 중장년 환자의 불면증을 개선하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불면증이나 수면 장애가 있는 55세 이상의 중장년에게 시행된 비약물적 중재와 그 효과를 확인하여 비약물적중재의 근거기반의 활성화와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약물적 중재의 종류는 인지행동중재가 9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보완대체요법이 4편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수면장애가 있는 중장년 환자에게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가 수면에 미치는 효과 크기를 메타분석 하는 것으로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장애가 당연히 동반되는 증상으로 인식됨으로서 어떤 위험성과 어려움이 있는가? 이와 같이 수면이 건강에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불면증 등의 수면장애는 나이가 들면서 당연히 동반되는 증상으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있어 수면장애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수면장애는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를 하는 경우에도 약물치료가 보편적이나 약물은 REM 수면의 억압, 약물과의 상호작용, 남용 가능성 등의 위험성이 있고[5], 장기 복용 시 신체적 ‧ 심리적 의존성으로 인해 약물 중단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불면증에서 심리 및 행동 요인이 수면방해의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6], 만성 불면증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비약물요법을 중심으로 한 접근이 더욱 강조된다.
수면의 특징은 무엇인가? 수면은 인간의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로서 생리적, 정신적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개인의 안녕을 전인적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주요개념으로 제시된다[1]. 이러한 수면은 노령화와 더불어 깊은 수면(slow wave sleep)이 줄고 빈번한 각성으로 인해 수면 효율성이 저하되어 주간에 과도한 졸리움이나 기억력 감퇴, 집중력 저하를 초래하고 달라진 수면-각성 양상은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2,3].
수면과 관련하여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수면은 인간의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로서 생리적, 정신적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개인의 안녕을 전인적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주요개념으로 제시된다[1]. 이러한 수면은 노령화와 더불어 깊은 수면(slow wave sleep)이 줄고 빈번한 각성으로 인해 수면 효율성이 저하되어 주간에 과도한 졸리움이나 기억력 감퇴, 집중력 저하를 초래하고 달라진 수면-각성 양상은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2,3]. 또한 노화 과정에 의한 전반적인 신체기능의 쇠퇴와 더블어 수면장애는 수면부족으로 인한 피로감, 불안정 등으로 낙상이나 골절 등의 사고 가능성을 높여 주요 간호문제를 초래 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won KH, Suh SR, Suh BD. Sleep patterns and factors influencing sleep in institutionalized elders and elders living at hom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0;12: 131-41. 

  2. Basta M, Chrousos GP, Vela-Bueno A, Vgontzas AN. Chronic insomnia and stress system. Sleep Medicine Clinics. 2007;2: 279-91. http://dx.doi.org/10.1016/j.jsmc.2007.04.002 

  3. Jun SS, Ha SJ. Sleep disorder experience in older patients with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 (3):270-9. http://dx.doi.org/10.4040/jkan.2014.44.3.270 

  4. Glass J, Lanctot KL, Herrmann N, Sproule BA, Busto UE. Sedative hypnotics in older people with insomnia: meta-analysis of risks and benefits. British Medical Journal. 2005;331 (11):69-75. http://dx.doi.org/10.1136/bmj.38623.768588.47 

  5. Stepanski EJ. Hypnotics should not be considered for the initial treatment of chronic insomnia. Con.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2005;1(2):125-8. 

  6. Espie CA. Insomnia: conceptual issues in the development, persistence, and treatment of sleep disorder in adult. The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2002;53:214-43. http://dx.doi.org/10.1146/annurev.psych.53.100901.135243 

  7. Koo YJ, Koh HJ. Analysis of intervention research about sleep of the elderly in Korea.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9;13(1):63-71. 

  8. Jaffe S, Patterson DR. Treating sleep problems in patients with burn injuries: prac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Burn Care & Rehabilitation. 2004;25(3):294-305. http://dx.doi.org/10.1097/01.BCR.0000124793.99886.6A 

  9. Wang MY, Wang SY, Tsai PS.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for primary insomnia: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0(5):553-64.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5.03433.x 

  10. De Niet GJ, Tiemens BG, Kloos MW, Hutschemaekers GJ. Review of systematic reviews about the efficacy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to improve sleep quality in insomnia.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Based Healthcare. 2009;7(4):233-42. http://dx.doi.org/10.1111/j.1744-1609.2009.00142.x 

  11. Montgomery P, Dennis JA. Cognitive behavioural interventions for sleep problems in adults aged 60+.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3;1 CD003161.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3161 

  12. Okajima I, Komada Y, Inoue Y. A meta-analysis on the treatment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rimary insomnia. Sleep and Biological Rhythms. 2011; 9(1):24-34. http://dx.doi.org/10.1111/j.1479-8425.2010.00481.x 

  13. Cheng SK, Dizon J. Computerised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for insomn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2012; 81(4):206-16. http://dx.doi.org/10.1159/000335379 

  14. Kim SY, Park JE, Seo HJ, Seo HS, Song HJ, Shin CM, et al.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15. Higgins JP, Green S. (Ed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updated March 2011]. The Cochrane Collaboration, Available from: http://www.cochrane-handbook.org 

  16.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8. 

  17. Lee J.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 2008;23(6):361-78. http://dx.doi.org/10.3803/jkes.2008.23.6.361 

  18. Oh SS. Meta-analysis: theory and practice. Seoul, Konkuk University Press. 2002. 

  19. Morin CM, Bootzin RR, Buysse DJ, Edinger JD, Espie CA, Lichstein K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treatment of insomnia: update of the recent evidence (1998-2004). Sleep. 2006; 29(11):1398-414. 

  20. Smith MT, Perlis ML, Park A, Smith MS, Pennington J, Giles DE, et al. Comparative meta-analysis of pharmacotherapy and behavior therapy for persistent insomnia.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02;159:5-11. 

  21. Harvey L, Inglis SJ, Espie CA. Insomnias' reported use of CBT components and relationship to long-term clinical outcome.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002;40:75-83. 

  22. Vincent N, Lionberg C. Treatment preference and patient satisfaction in chronic insomnia. Sleep. 2001:24:411-7. 

  23. Oh PJ, Jang ES.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cortisol and immune parameters in patients with cancer: a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4): 446-57. http://dx.doi.org/10.4040/jkan.2014.44.4.446 

  24. Goedendrop MM, Gielissen MF, Verhagen CA, Bleijenberg G.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reducing fatigue during cancer treatment in adult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09;1 CD006953.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6953.pub2 

  25. Morin CM, Culbert JP, Schwartz SM.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insomnia: a meta-analysis of treatment efficacy.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994;151(8):1172-80. 

  26. Sok SH, Kim KB. Effects of auricular acupuncture on insomnia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6):1014-24. 

  27. Kamel NS, Gammack JK. Insomnia in the elderly: cause, approach, and treatment.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06;119(6):463-9. http://dx.doi.org/10.1016/j.amjmed.2005.10.051 

  28. Schutte-Rodin S, Broch L, Buysse D, Dorsey C, Sateia M. Clinical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insomnia in adults.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2008; 4:487-504. 

  29. Kwon KH.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 of sleep quality of the elderly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9:1-75. 

  30. Morin CM, Blais F, Savard J. Are changes in beliefs and attitudes about sleep related to sleep improvements in the treatment of insomnia?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002;40:741-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