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창의성에 대한 초등수학영재들의 인식 연구
A Study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6 no.4, 2016년, pp.747 - 761  

김판수 (부산교육대학교) ,  김나리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창의성에 대한 초등수학영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bigcirc}{\bigcirc}$광역시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초등수학 영재반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생 4, 5, 6학년 200명을 대상으로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Rhodes의 4P 이론에 근거하여 개인, 과정, 산출, 환경 측면에서의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고 분석한 설명을 제시하였다. 또한 설문에서 자신들이 받은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창의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지명하도록 요구하였다. 우리는 학생들이 창의성 프로그램을 지명하게 된 이유를 분석하고 그 프로그램을 진행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초등수학영재들은 수학 창의성을 개인 측면에서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제 집착력, 수학에 대한 흥미 그리고 인성으로 꼽았다. 수학영재 학생들의 창의성 인식 연구는 향후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그 시사점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percep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rough gifted elementary mathematics students. The analysis on perception for mathematical creativity was done by testing 2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 5, and 6 who are receiving gifted education in e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끝으로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수학 창의성과 창의성 프로그램의 특성을 기술하였으나 교사, 학부모 그리고 학생 간의 창의성 인식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수학영재들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Rhodes의 4P 이론에 근거하여 개인, 과정, 산출, 환경과 관련된 요소들을 범주화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3개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 창의성에 대해 바라보는 시각은 시대 변화에 따라 다르게 규정되고 있지만 널리 통용되고 오래된 포괄적 정의는 Rhodes(1961)의 4P 이론이다. 이 4P 관점을 통해 수학 영재학생들은 수학 창의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조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4P의 개인(person), 과정(process), 환경(press), 산출물(product)은 각각 학문적으로 독특한 독자성을 지녔지만 4가지 요소가 통합적일 때 기능적으로 작동한다(Rhodes, 1961).
  • 이는 전평국(1999)의 연구, 즉 조작하고 수행하는 과정은 무엇인가를 생각해내고 탐색하는 접근법을 조장하고, 새롭고 진보적인 생각을 촉진한다는 사실과 맥을 같이한다. 이로부터 초등수학영재들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인식이 수학 창의성 계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할 필요가 있으며,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연구를 바탕으로 수학 창의성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는 바이다. 말하자면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한다.
  • 창의성 교육의 실천에서 교육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사와 학생간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의 불일치는 창의성 교육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어 목표하던 교육의 결과를 얻기 힘들 수 있다. 초등수학영재는 수학 창의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학생들이 생각하는 수학 창의성 프로그램은 어떤 것인가? 이와 같은 의문에 대해 수학 영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는 수학 창의성 개념을 더욱 명료화하고, 영재수업에서의 수학 창의성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수학 창의성 수업에서도 시사점이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설 설정

  • 수학에서의 산출물을 ‘문제 해결과 문제 설정’에서의 산출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창의성에 대한 개념이 확고히 정립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새로우면서도 유용한 것을 생각하거나 만들어내는 특성’ 정도로 동의하고 있으며, 조석희(1996)는 “주어진 문제나 감지된 문제로부터 통찰력을 동원하여 새롭고, 신기하고, 독창적인 산출물을 내는 능력”이라고 정의했으며, Haylock(1987)과 Romey (1970)는 창의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연결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새롭고 유용한 아이디어 도출, 확산적이고 풍부한 사고과정, 문제해결을 통하여 독창 적인 산출물을 만들어 내는 것‘을 수학 창의성이라 하였다(김홍원, 1998; 조석희, 2003). 여러 가지 창의성 개념이 공존하지만 그 수용범위는 맥락과 상황에 따라 신중하고 다르게 해석되 어야 할 것이다.
교사가 창의성 계발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이유는 무엇인가? 교사는 학생의 창의성 계발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교사의 태도는 학생의 창의성을 격려하도록 도움을 줄 수도 있지만 오히려 비창의적인 행동을 유발 시킬 수있기 때문이다. 창의성에 대한 인식은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 스스로의 인식도 창의성 교육의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박종원, 지경준, 2015).
2009 개정 교육과정부터 우리 교육이 추구해야할 키워드를 무엇으로 설정하였는가? 또한 2009 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우리 교육이 추구해야할 두 가지 키워드로 ‘창의 ․ 인성 교육’을 설정함으로써 창의성 함양을 국가 차원의 교육정책의 목표로 도입하였다. 더욱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인문학적 상상력,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추고 바른 인성을 겸비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고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람”을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제시하면서 융합형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진호 (2004). 시리즈 E :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일 논의 - 창의적인 사람, 창의적인 산물, 창의적인 과정이란 관점으로부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8(3), 45-56. 

  2. 김판수 (2014). 문제설정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평가 요소에 대한 소고. 영재교육연구, 24(6), 1053-1071. 

  3. 김홍원 (1998).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8(2), 69-89. 

  4. 김홍원, 김명숙, 방승진, 황동주 (1997). 수학영재판별도구개발연구(II)-검사제작편.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97-5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박종원, 지경준 (2015). 학생, 교사 및 학부모의 과학 창의성에 대한 대립적 관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395-402. 

  6. 유윤재 (2003). 시리즈 E: 창의적 수학문제해결력 검사도구의 요소.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 17, 159-168. 

  7. 이혜숙, 민선희, 김민경 (2012). 시리즈 A: 수학창의성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1(4), 337-349. 

  8. 전평국 (1999). 수학과 교수 . 학습에서의 교수매체의 역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F , 3, 21-25. 

  9. 조석희 (2003). 창의성 계발을 위한 수학영재 교육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학연구대회논문집, 1-21. 

  10. Balka, D. S. (1974).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Arithmetic Teacher, 21(7), 633-636. 

  11. Csikszentmihalyi, M. (1999).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R.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 (pp. 297-312).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Ervynck, G. (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D. Tall(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3. Gruber, H. E., & Wallace, D. B. (1999). The case study method and evolving systems approach for understanding unique creative people at work. In R.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 (pp. 93-115).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Haylock, D. W. (1987). A framework for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 childre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8(1), 59-74. 

  15.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Osborn, A. F. (195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creative thinking. New York: Schribner. 

  17. Polya, G. (1945). How to Solve It.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Rhodes, M. (1961). An analysis of creativity. The Phi Delta Kappan, 42(7), 305-310. 

  19. Romey, W. D. (1970). What is your creativity quoti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70(1), 3-8. 

  20. Runco, M. A., & Johnson, D. J. (2002). Parents' and teachers' implicit theories of children's creativity: A cross-cultural perspective.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4(3), 427-438. 

  21. Schwab, K. (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at it means, how to respond. Geneva, Switzerland: World Economic Forum. 

  22.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7). 677-688. 

  23. TAYLOR, A. (1975). An emerging view of creative actions. In I. A. Taylor & J. W. Getzels (Eds.), Perspectives in creativity (pp. 297-325). Chicago, IL: Aldine 

  24. Urban, K. K. (1996). 창의성-요소적 접근 모델 [조석희, 역]. 교육과학연구, 24, 5-27. (원본출간년도:1995). 

  25. Wallas, G. (1926). The art of thought. In P. E. Vernon (Eds.), Creativity. (pp. 91-97). Middlesex, England: Pengui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