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 아동의 학교적응 예측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9 no.3, 2016년, pp.156 - 166  

김동희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ynthesize related studies and identify the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Methods: The author searched Google Scholar, RISS, KISS, Naver Academic, NDSL,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databases from August 1 to August 8, 20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체계적 문헌고찰은 국내의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적응 관련요인에 대한 일차연구를 합성하고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다문화 아동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개입 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다문화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연구한 일차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하였다.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3,645편의 관련 문헌이 검색되었고, 선정기준에 적합한 22편의 일차연구를 최종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에 대한 22편의 일차연구를 통합하고 분석한 체계적 고찰연구로써 다문화 아동 및 가족, 학교와 사회 관련 요인들에 대한 통찰과 우리 사회의 다문화 아동에의 접근 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보다 규명되어야 할 부분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아동의 학교적응 관련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반복하여 이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고 학교보건의 실정에 적합한 중재적 개입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것을 기대한다.
  •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의 동향과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기술한 체계적 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 다문화 아동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 아동이 겪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특히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인해 다문화 아동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4], 다문화 아동은 이중문화에 따른 문화적 격차 문제를 포함한 따돌림, 편견, 냉대 등을 경험하기도 하고 학교에 입학하면서 정체성 및 가치관의 혼란, 또래를 포함한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의 학교적응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파생되고 있다[5]. 이러한 다문화 아동의 학교적응의 어려움은 탈학교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정 자녀는 얼마나 증가하였는가? 최근 취업 등을 위해 국내로 유입된 외국인과 국제결혼을 통한 결혼이민자의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정 자녀는 2008년을 기준으로 약 19,000명에 이르며 2007년에 비해 39%, 2006년과 비교해 2배 이상이 증가하였다[1]. 이렇듯 다문화가정의 증가와 더불어 다문화사회에 대한 우리의 구체적인 정책과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시사되고 있다[2,3].
다문화 아동의 탈학교를 방지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010년 다문화 아동의 학교별 탈학교 비율은 전체 다문화 학생 가운데 초등학생이 14%, 중학생이 16%, 고등학생이 30%로 나타났으며 전체 초, 중, 고등학교의 27%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6]. 더 나아가 다문화 아동의 학교적응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들의 사회부적응으로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다문화 아동의 학교적응은 그 의미가 크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HW, Hong S, Kwon D. The school maladjust factor analysis of multicultural family's student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010;26(3):21-37. 

  2. Kim MK, Kim HY.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oping strategies on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15;20(2):367-385. http://dx.doi.org/10.13049/kfwa.2015.20.2.367 

  3. Kim YS, Kim HJ, Shin CK. The effects of the potential abilities and personal relationships of multicultural families' students on their adjustment to school: The case of elementary students in kyunggi province.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012;25(2):161-185. 

  4. Lee WJ, Kim S. Study of multicultural children's parent-c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3):1367-1374. http://dx.doi.org/10.5762/KAIS.2014.15.3.1367 

  5. Moon YH, An EM. The influence of bi-cultural attributes of children from female marriage immigrants on school adjustment -focused on northern cholla province rural area-.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010;33(6):47-68. 

  6. Lee JB, Kang SW, Kim H, Lee HY, Seo YM. A research on the educational status about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based on the families of international marriage-.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8 December. Report No.: KEDI2008-12. 

  7. Ladd GW, Kochenderfer BJ, Coleman CC.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7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1996;67(3):1103-1118. 

  8. Kim AY, Kim SI. Comparisons of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between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and from general famili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11;25(4):853-873. 

  9. Nam SA, Baik JS.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on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of child and early adolesc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Youth Facility & Environment. 2011;9(1):3-12. 

  10. Kang IC. A study into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middle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Youth Facility & Environment. 2015;13(3):155-166. 

  11. Jin CH. Analysis of school adaptatioin proc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Journal of Global Youth Studies. 2011;1(1):39-70. 

  12. Kim JW, Lee HY, Bae UJ, Hu CS. A study on the conditions of educational welfare for the foreign workers' children in South Korea.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5 December. Report No.: KEDI2005-05. 

  13. Cha YR. A study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1. p. 1-82. 

  14. Karunananthan S, Wolfson C, Bergman H, Beland F, Hogan DB. A multidisciplinar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frailty: overview of the methodology used by the Canadian initiative on frailty and aging. BMC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2009;9(1):1-11. http://dx.doi.org/10.1186/1471-2288-9-68. 

  15. Joe SY, Ko EJ, Kim HH. Research on the health behaviors of military personnel: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ilitary Nursing Research. 2011;29(1):124-134. 

  16. Han HR, Kim HS. The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consciousness on school adoption among the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fashion conformity-. Korean Education Inquiry. 2010;28(2):61-76. 

  17. Seo BJ, Park ST. The effect of satisfaction in multi culture family's marital relationships on children's adaptation of school life.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2012;22(1):127-155. 

  18. Jang DH, Shin HS.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chool mal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Youth Research. 2010;17(3):123-147. 

  19. Baik JS, Kim J, Yu YH. A study on affecting factors on school resilience of adolesc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Youth Facility & Environment. 2013;11(4):157-169. 

  20. Baik JS, Kim J, Jung HK.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actors, self-esteem, communication skill,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resilience of adolescents-comparison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in Jeonnam province-. Youth Facility & Environment. 2014;12(1):127-141. 

  21. Im SM, Shin JS, Son JH.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of multicultual families adolescents's school resilience for the multicultual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12;17(10):175-183. http://dx.doi.org/10.9708/jksci/2012.17.10.175 

  22. Jeon BJ.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on stress on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2;10(11):29-38. 

  23. Jeon SJ, Yoon H. Effects of neglect, acculturative stress, and self-esteem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013;24:153-179. 

  24. Oh KW.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their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adaptation to Korean school lif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11;49(9):83-97. 

  25. Choi YM, Lim ST.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with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Journal of Evaluation on Counseling. 2012;5(2):15-26. 

  26. Kim SG.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on school resilience of korean adolescents in pover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09;16(10):103-123. 

  27. Jeong OH. Research on influence of mother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parental stres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2013;10(2):22-37. 

  28. Kim ES, Kim DH.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perceived health status of married immigrant women.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2015;29(2):344-353. 

  29. Kim JB, Tak HJ.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chool adjustment f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mediating roles of students-teacher relationship. Korea Youth Research. 2011;18(10):161-18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