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및 측정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nd Its Measurement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4 no.1, 2017년, pp.24 - 36  

장선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장선주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이승희 (충북대학교병원) ,  이현옥 (청주의료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nd its measurement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Methods: Based on the PRISMA statement and NEC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guidelin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thi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차 선정된 문헌의 전문을 확보하여 만 18세 이상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을 조사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당 문헌에서 직접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 및 보고한 조사연구인지를 검토하였다. 이 과정 역시 연구자 4인에 의해 독립적으로 시행되었다.
  • 따라서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을 정확하게 사정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중재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의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측정도구 및 영향요인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측정도구 및 영향요인에 초점을 두고 문헌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영향요인을 보고하지 않은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문헌을 모두 포함할 수는 없었다.
  •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측정도구 및 영향요인을 보고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논의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측정도구 및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통합적 시각을 갖기 위해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측정을 위한 도구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고 선행연구에서 사용했던 도구를 정리하였다.
  • 본 연구는 만 18세 이상 성인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측정도구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포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에 대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측정과 관련하여 일반적인 삶의 질보다는 건강 관련 삶의 질 도구와 질병특이 삶의 질 도구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 18세 이상 성인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측정도구 및 영향요인을 보고한 선행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건강 관련 요인, 건강 관련행태, 심리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구조모형 방정식 등을 이용하여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또한 중재 개발 시 다양한 영향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혈압의 특징은 무엇인가?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만성질환 중 유병률이 가장 높은 질환은 고혈압으로, 2015년 국민건강통계 결과에 의하면 30세 이상의 고혈압 유병률은 2007년 24.6%에서 2015년 27.
고혈압의 통계학적 유병률은 어떠한가?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만성질환 중 유병률이 가장 높은 질환은 고혈압으로, 2015년 국민건강통계 결과에 의하면 30세 이상의 고혈압 유병률은 2007년 24.6%에서 2015년 27.9%로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추세이며, 만 30세 이상 성인 4명 중 1명은 고혈압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P], 2016). 높은 고혈압 유병률과 더불어 국민들의 고혈압 치료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면서 치료율, 조절률과 같은 고혈압 관리수준도 꾸준히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KCDCP, 2016a).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는 무엇이며 단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앞서 언급하였듯이 SF-36과 EQ-5D와 같은 일반적인 건강 관련 삶의 질 도구들은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속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질병특이 삶의 질 도구가 사용되어야 한다(Choi & Lee, 2015). 본 연구에서 나타난 고혈압 특이 삶의 질 도구는 Hypertension Health Status Inventory와 cardiovascular disease specific-HRQOL이었다. 하지만 질병특이 삶의 질은 다른 질병을 가진 혹은 질병이 없는 대상자의 삶의 질을 비교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mes, S. C., Jones, G. N., Howe, J. T., & Brantley, P. J. (2001). A prospective study of the impact of stress on quality of life: An investigation of low-income individuals with hypertension.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3(2), 112-119. https://doi.org/10.1207/s15324796abm2302_5 

  2. Carvalho, M. V. d., Siqueira, L. B., Sousa, A. L. L., & Jardim, P. C. B. V. (2013). The influence of hypertension on quality of life. Arquivos Brasileiros De Cardiologia, 100(2), 164-174. https://doi.org/10.5935/abc.20130030 

  3. Chang, S. J. (201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Choi, M. N., & Lee, E. H. (2015). Relationships of depression symptom, self-esteem, and stress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registered to a community health center.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2), 165-176. https://doi.org/10.5932/jkphn.2015.29.2.165 

  5. Cuevas Fernandez, F. J., Marco Garcia, M. T., Rodriguez Alvarez, C., Iglesias Giron, M. J., & Aguirre-Jaime, A. (2007). Is there an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exercise and the quality of life of hypertensive patients?.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17(4), 348-355. https://doi.org/10.1111/j.1600-0838.2006.00588.x 

  6. Eom, A. Y. (2009).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on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1(2), 136-142. 

  7. Erickson, S. R., Williams, B. C., & Gruppen, L. D. (2004).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treated for hypertension. Pharmacotherapy, 24(3), 344-350. https://doi.org/10.1592/phco.24.4.344.33177 

  8. Ferrans, C. E., Zerwic, J. J., Wilbur, J. E., & Larson, J. L. (2005). Conceptual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7(4), 336-342.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5.00058.x 

  9. Forouzanfar, M. H., Liu, P., Roth, G. A., Ng, M., Biryukov, S., Marczak, L., et al. (2017). Global burden of hypertension and systolic blood pressure of at least 110 to 115 mmHg, 1990-2015. JAMA, 317(2), 165-182. https://doi.org/10.1001/jama.2016.19043 

  10. Gutteling, J. J., de Man, R. A., Busschbach, J. J., & Darlington, A. S. (2007). Overview of research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Netherlands Journal of Medicine, 65(7), 227-234. 

  11. Ha, S. S. (2015). The affecting factor between chronic disease and quality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12. Innocenti, A. D., Elmfeldt, D., Hansson, L., Breteler, M., James, O., Lithell, H., et al. (2002). Cognitive fun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baseline data from the Study on COgnition and Prognosis in the Elderly (SCOPE). Blood Pressure, 11(3), 157-165. https://doi.org/10.1080/080370502760050395 

  13. Jeong, H. S., & Jeon, H. S. (2009). The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in the visiting nursing cl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College Education, 10(4), 287-298. 

  14. Khosravi, A., Ramezani, M. A., Toghianifar, N., Rabiei, K., Jahandideh, M., & Yousofi, A. (2010). Association between hypertension and quality of life in a sample of Iranian adults. Acta Cardiologica, 65(4), 425-430. 

  15. Kim, K. Y., Chun, B. Y., Kam, S., Lee, S. W., Park, K. S., & Chae, S. C. (2005). Development of measurement scale for the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ve patient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8(1), 61-70. 

  16. Kim, S. Y., Park, J. E., Seo, H. J., Lee, Y. J., Jang, B. H., Son, H. J., et al.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1-287. Retrieved May 31, 2016. from: http://www.neca.re.kr/center/researcher/report_view.jsp?boardNoGA&seq17&q626f6172644e6f3d4741.pdf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May 31).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Retrieved November 31, 2016. from http://www.cdc.gov/hrqol/concept.htm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November 7). Korean Health Statistics 2015. Retrieved November 31, 2016,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9. Lee, J. R., & Park, C. M. (2004). Structural model on hypertensive patient's lifestyle and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14(3), 67-97. https://doi.org/10.4332/kjhpa.2004.14.3.066 

  20. Lee, K. E., & Cho, E. H. (2016). Factors influenc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based on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ontents Society, 16(5), 399-409.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399 

  21.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 G, & The PRISMA Group.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1(4), 264-269. https://doi.org/10.7326/0003-4819-151-4-200908180-00135 

  22.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4, March). Quality assessment tool for observational cohort and cross-sectional studies. Retrieved May 31, 2016. from http://www.nhlbi.nih.gov/health-pro/guidelines/in-devel op/cardiovascular-risk-reduction/tools/cohort 

  23. Nayak, B. K. (2010). Understanding the relevance of sample size calculation. Indian Journal of Ophthalmology, 58(6), 469-470. https://doi.org/10.4103/0301-4738.71673 

  24. Oak, J. W. (2012). An overview of quality of life measurements in nursing. Korea Contents Society, 10(2), 31-36. 

  25. Ogunlana, M. O., Adedokun, B., Dairo, M. D., & Odunaiya, N. A. (2009). Profile and predictor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hypertensive patients in south-western Nigeria. BMC Cardiovascular Disorders, 9(25), 1-8. https://doi.org/10.1186/1471-2261-9-25 

  26. Palhares, L. C., Gallani, M. B. J., Gemignani, T., Matos-Souza, J. R., Ubaid-Girioli, S., Moreno, H. J., et al. (2010). Quality of life, dyspnea and ventricular function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0), 2287-2296.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0.05396.x 

  27. Pourhoseingholi, M. A., Baghestani, A. R., & Vahedi, M. (2012). How to control confounding effects by statistical analysis.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From Bed to Bence, 5(2), 79-83. 

  28. Roca-Cusachs, A., Dalfo, A., Badia, X., Aristegui, I., & Roset, M. (2001). Relation between clinical and therapeutic variables and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on. Journal of Hypertension, 19(10), 1913-1919. https://doi.org/10.1097/00004872-200110000-00028 

  29. Rueda, B., & Perez-Garcia, A. M. (2013). Coping strategies, depressive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ve patients: Mediational and prospective relations. Psychology and Health, 28(10), 1152-1170. https://doi.org/10.1080/08870446.2013.795223 

  30. Saleem, F., Hassali, M. A., & Shafie, A. A. (2014). A cross-sectional assess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among hypertensive patients in Pakistan. Health Expectations, 17(3), 388-395. https://doi.org/10.1111/j.1369-7625.2012.00765.x 

  31. Saleem, F., Hassali, M. A., Shafie, A. A., Haq, N. U., Farootqui, M., & Aljadhey, H. (2013). Profile and predi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of-life in a hypertensive population of Pakistan. Archives of Pharmacy Practice, 4(3), 98-103. https://doi.org/10.4103/2045-080x.119062 

  32. Son, Y. J., & Song, E. K. (2007). The life style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ype D personality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9(4), 644-655. 

  33. Soni, R. K., Porter, A. C., Lash, J. P., & Unruh, M. L. (2010).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on, chronic kidney disease, and coexistent chronic health conditions. Advances in Chronic Kidney Disease, 17(4), e17-e26. https://doi.org/10.1053/j.ackd.2010.04.002 

  34. Stanley, E., Muntner, P., Re, R. N., Frohlich, E. D., Holt, E., & Krousel-Wood, M. A. (2011).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ve clinic patients following hurricane Katrina. Ochsner Journal, 11(3), 226-231. 

  35. The WHOQOL Group. (1995).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WHOQOL):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41(10), 1403-1409. https://doi.org/10.1016/0277-9536(95)00112-k 

  36. Theodorou, M., Kaitelidou, D., Galanis, P., Middleton, N., Theodorou, P., Stafylas, P., et al. (2011). Quality of life measurement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in Cyprus. Hellenic Journal of Cardiology, 52(5), 407-415. 

  37. Trevisol, D. J., Moreira, L. B., Kerkhoff, A., Fuchs, S. C., & Fuchs, F. D. (2011). Hela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Journal of Hypertension, 29(2), 179-188. https://doi.org/10.1097/hjh.0b013e328340d76f 

  38. Wang, R., Zhao, Y., He, X., Ma, X., Yan, X., Sun, Y., et al. (2009). Impact of hypertensio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 population-based study in Shanghai, China. Public Health, 123 (8), 534-539. https://doi.org/10.1016/j.puhe.2009.06.009 

  39. Youssef, R. M., Moubarak, I. I., & Kamel, M. I. (2005).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hypertensive patients. Eastern Mediterranean Health Journal, 11(1-2), 109-118. 

  40. Yun, J. H., Kang, J. M., Kim, K. S., Kim, S. H., Kim, T. H., Park, Y. W., et al. (2004).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Journal of Rheumatic Diseases, 11(3), 263-274. 

  41. Zygmuntowicz, M., Owczarek, A., Elibol, A., OlszaneckaGlinianowicz, M., & Chudek, J. (2013). Blood pressure for optim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hypertensive patients. Journal of Hypertension, 31(4), 830-839. https://doi.org/10.1097/hjh.0b013e32835ebdd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