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와 달의 공전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의 효과
The Effect of Observing Material on the Phase Change of Moon Considering the Orbits of Earth and Moon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9 no.3, 2016년, pp.323 - 340  

박지현 (신제주초등학교) ,  현동걸 (제주대학교 초등교육과) ,  신애경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와 달의 공전 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구의 공전 궤도와 $5^{\circ}$ 기울어진 달의 공전 궤도를 나타내는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교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제주시내 초등학교 6학년 110명의 학생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55명의 학생은 이 연구에서 개발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 55명의 학생은 현행 교과서 활동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학생들에게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사전, 사후, 지연 개념검사와 개념수준별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응답에 따라 '위상 인지', '우주적 관점', '지구적 관점', '인지 불가'로 개념 수준을 구분하였다. 사전개념검사에서 t-검정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후개념검사와 지연개념검사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상위 개념 수준인 '위상 인지'에 속하는 학생 수가 많았다. 반구조화된 면담 결과 '위상 인지'와 '우주적 관점'에 속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해 더 과학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지구와 달의 공전 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bserving material on the phase change of moon considering the orbits of earth and mo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the material which shows the orbit of moon tilted at $5^{\circ}$ with the orbit of earth is dev...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교육에서 천문학 영역의 내용의 한계점은? 과학교육에서 천문학 영역의 내용 대부분은 학생들이 직접적인 관찰을 할 수 없다. 천문학 현상은 매우 광범위하여 한눈에 관찰할 수 없고, 우주 밖에서의 관찰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모형이 가지는 한계점은? 그래서 모형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으나(곽영순, 2006), 모형은 실제와 달라 학생들에게 오개념을 형성시킬 수 있다. 모형은 실제 현상이나 실물을 단순화시켜 만드는데 학생들이 모형과 실제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거나 모형에서 의도치 않게 중요한 요소가 삭제되었을 경우 오개념이 형성될 수 있다(Soulier, 1981). 그러므로 모형을 제작할 경우 실제 현상과 비슷하게 만들어야 하고, 학생들이 오개념을 가지는 원인을 파악하여 꾸준히 보완할 필요가 있다.
천문학 영역 교육을 위해 모형을 통한 학습을 하는 이유는? 과학교육에서 천문학 영역의 내용 대부분은 학생들이 직접적인 관찰을 할 수 없다. 천문학 현상은 매우 광범위하여 한눈에 관찰할 수 없고, 우주 밖에서의 관찰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곽영순(2006). 과학과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지, 9(1), 339-361. 

  2. 교육과학기술부(2015). 과학 6-1 교과서. 비상교육. 

  3. 김종욱(2015). 초등학생들이 달 위상 이해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원인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4. 김종희(2006). 달의 위상 작도 모듈 활용 수업에 의한 고등학생들의 달의 위상 개념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353-363. 

  5. 김태선(2006). 달에 대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개념 조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변재성 외(2004).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19-531. 

  7. 서원우, 김중욱(2002). 달의 모양 변화에 대한 재구성 수업의 효과 분석: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과학.수학 교육연구, 25, 11-29. 

  8. 손준호(2015). 초등학생들의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개념 유형과 수업 방법의 제안 및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289-301. 

  9. 양일호, 김정연, 임성만(2015). 2007과 2009 개정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달의 위상 변화 삽화에 대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이해.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56-65. 

  10. 이기정(2011). 달 위상변화 지도를 위한 관측자료의 제작과 활용.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미애, 최승언(2008). 중.고등학생이 이해하는 달의 위상 변화 모델 분석을 통한 보완 모델 제안. 한국지구과학회지, 29(1), 60-77. 

  12. 이조옥(1994).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오개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3. 조병준(2013). 달의 운동과 위상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 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채동현(2008). 새로운 달 위상 모형의 개발과 그 적용. 초등과학교육연구, 27(4), 385-398. 

  15. 채동현 외(2016). 학생 활동 중심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적용: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15-26. 

  16. 한신 외(2015). 초등학교 5학년 '지구와 달' 단원의 스마트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76-86. 

  17. 한주연(2009). 역할놀이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달의 운동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8. Abell, S. et al. (2001). That's what scientists have to d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during a moon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 1095-1109. 

  19. Soulier, J. S. (1981). Real objects and models. In J. E. Duane(Ed.), The Instructional Media Library(Volume 12), (pp.1-82). New Jersey: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20. Zeilik, M. & Bisard. W. (2000). Conceptual change in introductory-level astronomy courses: Tracking misconceptions to reveal which-and how much-concepts change.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9(4), 229-2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