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의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개념 유형과 수업 방법의 제안 및 효과
Conception Typ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Moon Phase Changes and the Suggestions and Effects of Teach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2, 2015년, pp.289 - 301  

손준호 (일곡초등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삼구의를 활용한 기존의 수업 방식으로는 학생들이 달의 위상변화의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사들 조차도 제대로 된 이해가 부족한 채 지도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삼구의를 활용한 달의 위상변화 학습에서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고 있는 유형을 161명의 응답 결과를 토대로 분류하고, 기존의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 자료를 재구성한 교수 학습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그들의 이해 유형이 어떻게 변하였는지 확인하였으며, 129명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는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 총 8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는지 심층 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크게 C 유형과 W 유형을, 세부적으로는 W1, W2, W3, W4, W5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보름달 보다는 초승달과 상현달의 위상 원리를 더 어려워하였다. 그리고 재구성한 교수 학습 방법을 활용해 보충수업을 실시한 65명의 실험집단 학생들이 지도서의 내용으로 보충수업을 실시한 64명의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학업성취도 사후 검사뿐만 아니라 추후 검사에서도 효과가 있었다. 심층 면담에서도 교사 학생 모두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해 주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달의 위상변화와 관련된 활동을 삼구의를 활용해 학습할 때는 결과만을 암기하는 학습에서 벗어나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초등학생들에게 도움을 주는 단계별 학습 자료를 적극 활용할 것을 강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not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unable to accurately comprehend the principles of moon phase changes and that teachers themselves lacked a full understanding of it as well.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s conception types through 161 5th grade respondents and suggests how to 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과학개념을 초등학생들이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는? 그러므로 교과서에서 제시된 삼구의 활동만으로는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과학개념을 초등학생들이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워 보인다. 왜냐하면 그들의 인지 수준에서는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의 모습을 우주공간에서 태양-지구-달의 위치관계에 따라 나타나는 위상변화의 현상과 연계하여 생각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달의 움직임을 현상학적으로 관찰했던 단순한 경험만을 갖고 있는 초등학생들에게 우주 공간에서 천체들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와 연계된 삼구의 활동을 갑작스럽게 제시하다보니 개념 확장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된 것이다. 따라서 삼구의 관련 활동을 초등과학 교육과정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려면 관찰에서 부족한 학생들의 경험을 보충해 줄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교수 · 학습 방법이 절실히 필요해 보인다.
초등학생이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과학개념을 어렵게 받아들이는 원인은? , 2004). 이처럼 초․ 중․ 고등학생을 막론하고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과학개념을 어렵게 받아들이는 원인으로 위상 작도법에 대한 선행 지식과 일반화 능력의 부족(Myeong, 2001)을 들기도 하지만, 초등학생의 경우 에는 무엇보다도 복잡하고 직접 관측하기 어려운 천체의 운동을 교육현장에서 교과서 중심의 2차원적인 방법으로 교육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 Chae(2008)의 주장이 주목할 필요가 있다. Chae(2008)는 지구의 공전과 자전, 달의 공전과 자전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교과서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위상변화에 관한 설명에서 관측자의 위치에 대한 언급이 불명확하여 학생들이 달의 위상변화와 관련된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암기식 학습을 한다고 하였다.
달의 위상변화 개념에서 무엇을 함께 고려해야 하나? 하지만 지구과학 개념 중에서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운 개념 중의 하나가 바로 달의 위상변화 개념인데(Abell, Martini, & George, 2001; Zeilik & Bisard, 2000), 이는 천체들 간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각도와 빛 등의 다중 개념들을 함께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Sherrod & Wilhelm, 2009). 이 외에도 많은 연구들 역시 달의 위상변화 수업이 이루어진 후에도 학생들이 정확한 과학개념을 여전히 획득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Kim,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ybee, R. W., & DeBoer, G. E. (1994). Research on goals for the science curriculum. In D. L.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Volume II), (pp. 357-387). New York, NY: MacMillan. 

  2. Abell, S., Martini, M., & George, M. (2001). That's what scientists have to d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during a moon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 1095-1109. 

  3. Byun, J., Jung, J., Moon, B., & Jeong, J. (2004).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n the motion of the earth and moon.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7), 519-531. 

  4. Chae, D. (2008).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ew model of moon phas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7(4), 385-398. 

  5. Chae, D. (2009). An analysis of 'The Phases of the Moon', contents of 9th grade science textboo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8), 874-885. 

  6. Choi, S. (2000). Primary students concept on the movement of the mo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9(1), 45-56. 

  7. Feral, O. B. (2007). Effects of model-based teaching on pre-service physics teachers' conceptions of the moon, moon phases, and other lunar phenomen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5), 555-593. 

  8. Jang, T. (1995). The children's conceptions on the motion of the earth and moon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Lim, C., & Kim, H. (2010).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lternative conceptual types and change after conflict situations on the movement of the Mo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8), 1110-1122. 

  10. Kim, B., Jeong, J., Yang, I., & Jeong, J. (1998). Concepts on motion of earth and moon to spatial ability, visual-perception-recall ability, learning styl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7(2), 103-111. 

  11. Kim, J. (2003).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the lunar and planetary phases drawing module on conceptual change (Docto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12. Kim, J. (2006).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of the lunar phase on instruction using the lunar phases drawing modul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4), 353-363. 

  13. Myeong, J. (2001). A study o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Reasons for unsuccessful earth science problem solving of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5), 339-349. 

  14.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p. 159).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5. Oh, J., & Kim, Y. (200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mental models about astronomical phenomena: Seasons and moon pha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1), 68-87. 

  16. Sherrod, S. E., & Wilhelm J. (2009). A study how classroom dialogue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geometric spatial concepts related to understanding the cause of moon ph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7), 873-894. 

  17. Shim, K., Kim, H., & Chung, J. (2005). The effect of web-based learning by studying the motion of the mo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4), 450-464. 

  18. Son, J. (2014). Development and effects of application for the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Docto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 Son, J., & Kim, J.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odule for the conceptual change of the earth and moon' movement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 57-71. 

  20. Song, Y. (2013). Middle school and science-gifted students' conceptions about motion of objects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the mo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193-207. 

  21. Sung, N., & Choe, S. (2008). A comparative study of knowledge integration in the textbook and students' mental model about the phases of the mo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2), 163-174. 

  22. Yu, H. W., Ham, D., Cha, H., Kim, M., Kim, H., Yoo, J., Park, H., Kim, C., & Choe, S. (2012). Model creation and model developing process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cientific model constructing class for phase change of the mo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2), 291-315. 

  23. Zeilik, M., & Bisard, W. (2000). Conceptual change in introductory-level astronomy courses: Tracking misconceptions to reveal which-and how much-concepts change.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9(4), 229-23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