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소비자의 혁신특성, 소비자특성, 혁신저항, 그리고 수용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혁신저항모형과 인지된 위험이론을 기반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novation Characteristics, Consumer Characteristics, Innovation Resistance, and Intention to Acceptance of Wearable Device Customers: Based on Innovation Resistance Model and Theory of Perceived Risk

정보시스템연구 =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25 no.4, 2016년, pp.87 - 104  

배재권 (계명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정보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s the smartphone market arrived at its saturation, from world lea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 businesses to startups, companies are competing to develop innovative wearable device products and suitable contents. Utility, technology, design, price, and various kil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혁신기술이 모든 사람들에게 긍정적으로 수용되거나 채택된다는 가정 하에 기술수용 또는 채택요인에만 초점을 맞춘 편향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혁신기술 확산속도가 낮은 이유와 혁신저항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혁신저항모형(Innovation Resistance Model)과 인지된 위험이론(Theory of Perceived Risk)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과정에서 발생하는 혁신저항요인을 규명하고, 그 요인을 감소시켜 수용의도를 높이는 경영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혁신적인 IT신기술도 확산 및 수용과정에서 재정적 부담과 기능의 복잡성 또는 급격한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개인성향과 위험인지, 그리고 심리적 부담감 때문에 혁신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혁신기술수용의 저항요인을 규명하고, 그 요인을 감소시켜 수용의도를 높이는 경영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제Ⅴ장에서는 표본의 기술적 특성을 분석하고,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을 통한 측정모형 검정 및 구조모형 결과를 기술하였다. 마지막 제Ⅵ장에서는 연구결과 요약과 시사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 마지막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혁신저항과 수용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Zaltman and Wallendorf(1983)는 혁신저항은 수용과정에서 겪게 되는 자연스런 태도로 수용과 확산으로 연결되는 과정변수라고 주장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혁신저항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이들 요인이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혁신저항모형과 인지된 위험이론을 기반으로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혁신특성과 소비자 개인특성으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혁신특성 요인으로 인지된 상대적 이점, 인지된 적합성, 인지된 복잡성, 인지된 위험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기여도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혁신기술의 채택요인에 중점을 두지 않고, 혁신에 대한 사용자 저항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혁신의 수용 확산을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혁신저항모형과 인지된 위험이론을 바탕으로 혁신저항요인을 검증하였다는 학술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또한 국내 소비자들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 관련 혁신저항요인을 제시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조업체, 웨어러블 디바이스 앱스토어 운영자, 그리고 단말솔루션업체 등에게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작, 응용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콘텐츠 개발 등과 관련하여 경영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 그러나 본 연구는 혁신기술 확산속도가 낮은 이유와 혁신저항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혁신저항모형(Innovation Resistance Model)과 인지된 위험이론(Theory of Perceived Risk)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용과정에서 발생하는 혁신저항요인을 규명하고, 그 요인을 감소시켜 수용의도를 높이는 경영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처럼 지금까지 진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행동학적 접근방법의 연구는 주로 기술수용모형과 통합기술수용이론을 적용하였고, 모든 사람들이 IT혁신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는 가정 하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혁신저항모형과 인지된 위험이론을 기반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확산 저항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 첫 번째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 또는 콘텐츠 기술에 관한 연구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GUI 디자인에 관한 연구, 콘텐츠 기술 및 디자인에 관한 연구, 그리고 웨어러블 디바이스 R&D 기술 디자인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강지영, 2015; 김병주, 2015; 이재익, 2014). 이들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콘텐츠 및 GUI 디자인 속성을 도출하고 사용자중심의 웨어러블 디자인 주요 요소 및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는 본 연구와 성격이 같은 행동학적 접근방법의 연구로 기술수용모형과 이용 충족이론(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을 중심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이용동기와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또는 지속사용에 중점을 둔 연구가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 혁신특성인 인지된 상대적 이점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혁신저항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혁신특성인 인지된 적합성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혁신저항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혁신특성인 인지된 복합성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혁신저항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혁신특성인 인지된 위험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혁신저항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소비자 특성인 혁신성향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혁신저항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소비자 특성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품태도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혁신저항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소비자 특성인 기존 아날로그시계에 대한 제품태도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혁신저항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8] 소비자의 혁신저항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수용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이처럼 지금까지 진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행동학적 접근방법의 연구는 주로 기술수용모형과 통합기술수용이론을 적용하였고, 모든 사람들이 IT혁신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는 가정 하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혁신저항모형과 인지된 위험이론을 기반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확산 저항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웨어러블 디바이스란 무엇인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s)는 신체에 착용하거나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보기술 전자기기로 언제 어디서나 사용하기 편리하고 지속적으로 사용자와 소통이 가능하여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s)로 불린다. 정보통신기술(ICT)을 중심으로 사람과 사물, 그리고 공간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패러다임의 대두로 항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향후 성장 가능성이 가장 큰 ICT 혁신제품이다.
현재까지 진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련 연구 중 기술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는가? 현재까지 진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련 연구는 크게 두 분류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기술적인 측면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자인 또는 콘텐츠 기술에 관한 연구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GUI 디자인에 관한 연구, 콘텐츠 기술 및 디자인에 관한 연구, 그리고 웨어러블 디바이스 R&D 기술 디자인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었다(강지영, 2015; 김병주, 2015; 이재익, 2014). 이들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콘텐츠 및 GUI 디자인 속성을 도출하고 사용자중심의 웨어러블 디자인 주요 요소 및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고 수요량이 많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형은 무엇인가?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액세서리형과 의류형, 그리고 신체부착형 등으로 출시되고 있다.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고 수요량이 많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형은 액세서리형인 스마트워치(Smart watch)와 스마트밴드(Smart band)이다. 소비자들은 주로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와 피트니스 영역에서 액세서리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글로벌 IT기업들은 인포테인먼트와 헬스케어 기능을 통합한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강지영,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디자인에 대한 연구: 사용자 중심 웨어러 블 인포테인먼트 디자인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5권, 제3호, 2015, pp. 325-333. 

  2. 김경남, 박지혜, 정도범, "스마트폰의 특성이 개인의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 저항성의 조절효과", 정보시스템연구, 제20권, 제2호, 2011, pp. 57-80. 

  3. 김병주, "UX 관점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GUI 디자인 연구: 스마트 워치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1권, 2015, pp. 81-91. 

  4. 김윤환, 이재은, "영상통화에 대한 소비자 심리적 반발요인에 관한 연구: 변형된 혁신 저항모형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제15권, 제2호, 2010, pp. 23-41. 

  5. 김종호, 신용섭, "인터넷 서비스 수용과정에서 소비자 저항의 매개역할", 산업경제연구, 제15권, 제1호, 2002, pp. 85-98. 

  6. 김형지, 최홍규, 김성태, 안미선, 이유민, "소셜미디어 이용거부자의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4호, 2012, pp. 439-464. 

  7. 박병권, "인터넷뱅킹의 사용자 저항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지논문지, 제12권, 제5호, 2007, pp. 86-97. 

  8. 배재권, 권두순, "자기결정성 요인이 마이크로 블로깅 서비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4권, 제5호, 2011, pp. 2745-2774. 

  9. 서문식, 안진우, 이은경, 오대양, "디지털 컨버전스제품 구매회피에 관한 연구: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과 혁신저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2009, pp. 270-284. 

  10. 손경희, 이현규, "매체, 소비자, 제품 특성이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제12권, 제1호, 2003, pp. 117-144. 

  11. 손현정, 이상원, 조문희, "대학생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언론정보학보, 제68권, 제1호, 2014, pp. 7-33. 

  12. 신명섭, 이영주,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2015, pp. 498-506. 

  13. 신재권, 이상우, "혁신저항 모형에 기반한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용의도 연구: 혁신특성, 소비자 특성, 혁신저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2016, pp. 123-134. 

  14. 야노경제연구소, 2015년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동향 분석, 2016, pp. 1-24. 

  15. 윤수경, 김명지, 최준호, "혁신특성과 사용자특성이 전자책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4권, 제8호, 2014, pp. 61-73. 

  16. 윤승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3호, 2013, pp. 331-360. 

  17. 이성준, "웨어러블 디바이스 소비가치와 구매의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스마트 워치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23권, 제3호, 2015, pp. 93-115. 

  18. 이재광, 강지호, 김한별, 안이슬, 오미진, 조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채택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스마트 워치를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6권, 제1호, 2016, pp. 195-213. 

  19. 이재익, "웨어러블 디바이스 R&D기술 디자인 융합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0권, 제4호, 2014, pp. 543-555. 

  20. 이호규, 이선희, 장병희, "3DTV 수용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혁신확산이론과 혁신저항모형의 결합", 방송통신연구, 2012, pp. 78-111. 

  21. 장용호, 박종구, "마이크로블로그 채택모델에 관한 연구: 미디어 채택연구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5호, 2010, pp. 32-58. 

  22. 정화섭, "소셜미디어 혁신저항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2013, pp. 158-166. 

  23. 지성구, 이갑두, "개인성향, 혁신저항, 그리고 혁신성과의 관계", 대한경영학회지, 제52권, 2005 pp. 2107-2132. 

  24. 채수연, 이윤구, 정윤혁, 최세정, "프라이버시 계산모형 관점에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17권, 제2호, 2016, pp. 99-128. 

  25. Chin, W. W.,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IS Quarterly, Vol. 22, No. 1, 1998, pp. 7-16. 

  26.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 13, No. 3, 1989, pp. 319-340. 

  27. Fornell, C. and Larcker, D. 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1, 1981, pp. 39-50. 

  28. Kleijnen, M., Lee, N., and Wetzels, M., "An Exploration of Consumer Resistance to Innovation and its Antecedents,"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Vol. 30, No. 3, 2009, pp. 344-357. 

  29. Laukkanen, T., Sinkkonen, S., Kivijarvi, M. and Laukkanen, P., "Innovation Resistance among Mature Consumer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 24, No. 7, 2007, pp. 419-427. 

  30. Moldovan, S., and Goldenberg, J., "Cellular Automata Modeling of Resistance to Innovations: Effects and Solutions,"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 71, No. 5, 2004, pp. 425-442. 

  31. Ram, S.,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14, No. 1, 1987, pp. 208-212. 

  32. Ram, S. and Sheth, J. N., "Consumer Resistance to Innovations: The Marketing Problem and Its Solutions," The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 6, 1989, pp. 5-14. 

  33. Rogers, E. M.,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 New York, NY: The Free Press, 2003. 

  34. Sheth, J. N., "Psychology of Innovation Resistance: The Less Developed Concept(LDC) in Diffusion Research," Research in Marketing, Vol. 4, 1981, pp. 273-282. 

  35. Tormatzky, L. and Klein, K., "Innovation Characteristics and Innovation Adoption Implementation: A Meta-Analysis of Findings," IEEE Transaction an Engineering Management, Vol. 29, No. 2, 1982, pp. 28-45. 

  36. Zaltman, G. W., and Wallendorf, M., Consumer Behavior: Basic Findings and Management Implications, New York, NY: John Wiley & Sons, 198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