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입원 노인을 위한 신체 억제대 프로토콜의 수용개작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Protocol of Physical Restraints by Adaptation Process for Patients in a Geriatric Hospital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9 no.2, 2016년, pp.118 - 127  

박미화 (청암대학교 간호학과) ,  송경애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protocol of physical restraints by adaptation process for patients with a geriatric hospital. Methods: Protocol adaptation proces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manual for guideline adaptation version 1.0 by ADAPTE collabor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근거중심의 억제대 프로토콜을 선별하여 우리나라 노인요양병원실정에 알맞게 수용개작 한 방법론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의 올바른 억제대 사용을 위하여, 국외의 근거중심 억제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국의 노인요양 병원에서 적용가능한 억제대 프로토콜을 수용개작하고자 시도되었다. 임상진료지침 수용개작 과정에 따라(ADAPTE collaboration, 2007) IOWA 억제대 프로토콜을 수용개작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간호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노인요양병원의 현실을 반영하여 37개 권고안에 대한 설명과 구체적 예시를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우리나라 노인요양병원의 억제대 사용을 최소화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올바르고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국외에서 개발된 근거중심의 억제대 지침을 우리 현실에 맞도록 수용개작하여 노인요양병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억제대 프로토콜을 마련하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 , 2011)에서 발행된 PIPOH (population, intervention, professionals/patients, outcomes, healthcare setting)를 바탕으로 결정하였다. 프로토콜의 전반적인 범위는 국내 노인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을 대상으로, 근거중심의 억제대 프로토콜을 적용함으로써 노인요양병원 간호사들이 억제대를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그에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프로토콜의 범위를 구체화하기 위해 억제대 사용 전 사정내용, 억제대의 대안을 위한 전략, 억제대의 올바른 사용 및 감소를 위한 구체적 중재, 억제대 사용 시 주의 사항, 그리고 억제대의 간호 중재 효과 측정을 위한 다섯 가지의 핵심질문을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4년 우리나라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률은? 인구의 급격한 고령화로 노인인구 증가와 함께 노인성 질환자의 수 또한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률은 89.2%에 달하며, 이 중 두 가지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복합 이환률도 69.7%에 달하고 있다(Oh, 2015).
미국과 일본에서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태도 및 사회적 시각은 어떠한가? 미국은 억제대 사용으로부터 대상자의 자유로운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법규를 제정하여 대상자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있고(Joint Commission on the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2000), 일본도 억제대 사용을 장기요양 병상의 보험료 지불과 연계함으로써 억제대 사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Chiba, Yamamoto-Mitani, & Kawasaki, 2012). 하지만, 우리나라 장기요양시설 간호제공자 중 다수는 억제대 사용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억제대 사용에 대한 문제의식도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 Oh, 2006).
노인성 질환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문제행동은? 2008년에 690개이던 요양병원의 수는 2016년 현재 1,402개로 8년간 무려 103%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 노인성 질환은 신체기능 뿐 아니라 인지기능 손상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해 일상생활기능 제한, 흥분, 우울, 망상, 배회, 낙상, 처치방해 등의 문제행동이 흔히 나타나므로(Choi & Kim, 2004), 임상현장에서는 신체를 억제하는 억제대를 사용하여 자유로운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 이들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라 여기고 있다(Mamun & Lim, 2005). 그러나 환자의 안전을 위한 억제대 사용이 환자들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킨다는 근거도 없을 뿐 아니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PTE collaboration. (2007). Manual for guideline adaptation version 1.0. Retrieved August 20, 2016, from http://www.g-i-n.net/document-store/working-groups-documents/adaptation/adapte-manual-for-guideline.pdf 

  2. Capezuti, E. (2004). Minimizing the use of restrictive devices in dementia patients at risk for falling. Nursing Clinic of North America, 39(3), 625-647. https://dx.doi.org/10.1016/j.cnur.2004.02.015 

  3. Chiba, Y., Yamamoto-Mitani, N., & Kawasaki, M. (2012). A national survey of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 in long-term care hospitals in Japa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9-10), 1314-1326. ttps://dx.doi.org/10.1111/j.1365-2702.2011.03971.x 

  4. Cho, Y. E., Eun, Y., Gu, M. O., Cho, M. S., Park, M. W., Kim, K. S., et al. (2014). Development of nursing practice guidelines on enteral tube feeding using the guideline adaptation proces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2), 147-161. 

  5. Choi, Y. S., & Kim, H. L. (2004). Problematic behaviors recognized by caregiver in demented older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7(1), 58-67. 

  6. Cotter, V. T. (2005). Restraint free care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The Keio Journal of Medicine, 54(2), 80-84. https://dx.doi.org/10.2302/kjm.54.80 

  7. Engberg, J., Castle, N. G., & McCaffery, D. (2008). Physical restraint initiation in nursing homes and subsequent health. The Gerontologist, 48(4), 442-452. https://dx.doi.org/10.1093/geront/48.4.442 

  8. Graham, I. D., & Harrison, M. B. (2005). Evaluation and adaptat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Evidence-Based Nursing, 8(3), 68-72. http://dx.doi.org/10.1136/ebn.8.3.68 

  9. Gu, M. O., Cho, Y. A., Eun, Y., Jung, J. S., Jung, I. S., Lee, Y. G., et al. (2013). Adaptation of intravenous infusion nursing practice guidelin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19(1), 128-142. 

  10. Joint Commission on the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s. (2000). Automated comprehensive accreditation manual for behavioral health care. IL: Oakbrook Terrace. 

  11. Kim, K. S., & Oh, H. Y. (2006). Perceptions and attitude on use of physical restraints among care giv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2), 347-360. 

  12. Kim, S. M., Lee, Y. J., Kim, D. H., Kim, S. Y., Ahn, H. Y., & Yu, S. J. (2009). Perception, attitude, and knowledge about physical restraints among nursing personnel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1), 62-71. http://dx.doi.org/10.5977/jkasne.2009.15.1.062 

  13. Kim, S. Y., Kim, N. S., Shin, S. S., Ji, S. M., Lee, S. J., Kim, S. H., et al. (2011). Manual for Guideline Adaptation Ver 2.0 (2nd ed.).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on Agency. 

  14. Korean Association of Geriatric Hospitals. (2010, September). Practice guidance of geriatric hospitals. Seoul. 

  1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 Retrieved October 12, 2016,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D#SubCont 

  16. Lee, E. H., & Ko, E. (2016). Comparison wi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rehabilitation nursing needs perceived by stroke patients admitted to a rehabilitation hospital and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9(1), 30-42. https://dx.doi.org/10.7587/kjrehn.2016.30 

  17. Lim, M. H., & Co, I. S. (2013). Protocol for physical restraints of patient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4), 345-358. https://dx.doi.org/10.7739/jkafn.2013.20.4.345 

  18. Mamun, K., & Lim, J. (2005).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homes: Current practice in Singapore. Annual Academy of Medicine Singapore, 34(2), 158-162.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June). Protection of human and safety guidelines for elderly welfare facilities. Korea. Retrieved August 20, 2016, from http://129.go.kr/info/info04_view.jsp?n168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Division of Mental Health Policy. (2011, December). Mental health act enforcement rules. Korea. Retrieved August 20, 2016, from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119263#AJAX 

  21. Nottingham University Hospitals NHS Trust. (2010, July). Guidelines for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 in adult critical care. Retrieved October 8, 2016, from https://www.nuh.nhs.uk/staff-area/clinical-guidelines 

  22. Oh, Y. H. (2015). The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s and policy considerations. Health and Welfare Forum, 223, 29-39. 

  23. Park, M., Ledford, L. J., & Mentes, J. (2003). Changing the practice of physical resrtaints in acute care. Iowa City, Iowa: The University of Iowa Gerontological Nursing Interventions Research Center Research Dissemination Core. 

  24. Park, M., & Tang, J. H. (2007). Changing the practice of physical restraint use in acute car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3(2), 9-16. 

  25. Sachs, G. S., Printz, D. J., Kahn, D. A., Carpenter, D., & Docherty, J. P. (2000, April). The expert consensus guideline series: Medication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2000. Postgraduate Medicine. Spec No: 1-104. 

  26. So, H., & Kim, H. (2007).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by the social disengagement in institution and community living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0(1), 5-11. 

  27. The AGREE Next Steps Consortium. (2009, May).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 evaluation II. Retrieved August 20, 2016, from http://www.agreetrust.org/wp-content/uploads/2013/10/AGREE-II-Users-Manual-and-23-item-Instrument_2009_UPDATE_2013.pdf 

  28. Wang, W. W., & Moyle, W. (2005). Physical restraint use on people with dementia: a review of the literature.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2(4), 46-52. 

  29. West, S., King, V., Carey, T. S., Lohr, K. N., McKoy, N., Sutton, S. F., et al. (2002). Systems to rate the strength of scientific evidence.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30. Yoo, A., & Kim, H. (2016). Physical restraints use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2(1), 39-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