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재원 노인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과 관련 요인
Physical Restraints Use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9, 2019년, pp.167 - 174  

고영주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하선미 (김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요양병원에 재원 중인 만 65세 이상 노인들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 실태와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3일부터 3월 29일까지 4개의 요양병원에 재원 중인 만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전산 의무기록을 통해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적 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재원 노인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률은 83.7%였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신체적 억제대 유형은 침상난간으로 93.8%의 사용률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는 낙상 위험점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MMSE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로는 낙상 위험점수, MMSE, 치료기구 개수가 신체적 억제대 사용 관련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낙상위험도가 높은 노인 환자의 경우, 인지장애가 심한 경우, 치료기구의 개수가 많아 유지하기 위해서 신체적 억제대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과 관련된 요인을 통해 노인 환자들에게 신체적 억제대가 아닌 대안을 먼저 적용 할 수 있도록 임상간호실무는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pose od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tent of using physical restraint on elderly patients (over 65 years old) and who were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3 2018 to March 29 2018, from the electronic nursing records by using a recording tool, and cl...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재원 노인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실태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적 억제대 사용률은 83.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재원 노인의 전산 의무기록을 통한 신체적 억제대 사용실태 및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재원 중인 65세 이상의 노인에게 사용되는 신체적 억제대 사용실태를 조사하여 임상에서 신체적 억제대가 남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에게 사용되는 신체적 억제대 사용 실태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신체적 억제대 사용률은 83.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억제대를 ‘한 사람의 선택에 따른 자유로운 몸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막는 어떤 행동이나 절차들로, 몸에 붙어 있거나 근접해있는 특정 방법의 사용으로 인체에 접근하여 대상자가 쉽게 통제하거나 제거할 수 없게 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요양병원의 질 평가 항목 중 하나인 신체적 억제대 사용실태에 대한 조사를 통해 요양병원의 질적 간호수준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적 억제대란 무엇인가? 또한 신체적 억제대의 정의 및 범위에서의 통일되지 못한 실태율 조사로, 실태율만을 확인하여 비교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억제대를 ‘한 사람의 선택에 따른 자유로운 몸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막는 어떤 행동이나 절차들로, 몸에 붙어 있거나 근접해있는 특정 방법의 사용으로 인체에 접근하여 대상자가 쉽게 통제하거나 제거할 수 없게 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요양병원의 질 평가 항목 중 하나인 신체적 억제대 사용실태에 대한 조사를 통해 요양병원의 질적 간호수준을 확인하고자 한다.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있어서 정확한 규정 및 지침이 잘 지켜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의료기관평가인증원에서는 요양병원 환자들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정확한 규정 및 지침을 마련하도록 권고하며 신체적 억제대 사용대상, 종류, 사용 방법, 사용 전 절차, 사용 환자의 관찰 및 재평가, 신체적 억제대 사용 전 환자 상태 확인, 의사 처방, 동의서 작성, 부작용 예방 활동, 대안 대책 마련 등에 대한 세부사항을 제시하고 있다[4]. 그러나 요양병원의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들 대부분은 신체적 억제대와 관련된 병원의 정확한 규정과 지침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5]. 또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들은 신체적 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알고는 있지만, 환자에게 사고가 발생하면 법적 책임을 감당해야 하는 문제로[6] 여전히 환자에게 암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노년부양비에 대한 전망은 어떠한가? 76%로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1]. 이에 따라 노인을 부양해야 하는 노년부양비는 점점 증가하여 2015년에 17.6%에서 2020년 21.7%, 2040년 60.1%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2]. 이러한 노인 부양에 대한 부담으로 우리나라는 2008년 장기요양보험제도를 도입하여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들을 관리하기 위한 정책의 시작으로 장기요양기관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질 관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The proportion of elderly population, 2019. DOI: http://kosis.kr/statHtml/statHtml. 

  2. Statistics Korea, Old-age support cost, 2019. DOI: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 .do?idx_cd1430 

  3. A. R. Yoo, H. S. Kim, "Physical restraints use and a ssociated factors among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Vol. 22, No. 1, pp. 39-58, 2016. 

  4. Korean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Standard for geriatric hospital accreditation, 2013. 

  5. S. M. Ha,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actices of physical restraint use among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 20, No. 3, pp. 526-534, 201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9.20.3.526 

  6. N. A. Kandeel, A. K. Attia, 'Physical restraints practice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in Egypt", Nursing and Health Sciences, Vol. 15, pp. 79-85, 2014. DOI: https://doi.org/10.1111/nhs.12000 

  7. C. Heinze, T. Dassen, U. Grittner,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homes and hospitals and related factors: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21, pp. 1033-1040, 2011. DOI: https://doi.org/10.1111/j.1365-2702.2011.03931.x 

  8. H. C. Huang, Y. T. Huang, K. C. Lin, Y. F. Kuo,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restraints in residential aged care facilities: a community-based epidemiological survey in Taiw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70, No. 1, pp. 130-143, 2013. DOI: https://doi.org/10.1111/jan.12176 

  9. M. Azizpour, M. Moosazadeh, R. Esmaeili,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intensive care unit: a systematic review study", Acta Medica Mediterranea, Vol.33, pp. 129-136, 2017. DOI: https://doi.org/10.19193/0393-6384_2017_1_020 

  10. A. F. Minnick, L. C. Mion, M. E. Johnson, C. Catrambone, R. Leipzig, "Prevalence and variation of physical restraint use in acute care settings in the U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39, No.1, pp. 30-37, 2007. DOI: https://doi.org/10.1111/j.1547-5069.2007.00140.x 

  11. G. Meyer, S. Kopke, B. Haastert, I. Muhlhauser, "Restraint use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cross-sectional study and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18, No. 7, pp. 981- 990, 2008. DOI: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8.02460.x 

  12. S. M. Ha, G. R. Hong, "Application and predictor of physical restraint in a long-term care hospital", Hanyang Nursing Science Research, Vol. 22, No. 1, pp. 3-15, 2018. 

  13. Y. A. Jo, J. S. Kim, N, L, Kim, H. J. Choi, J. K. Jo, et al., "A study on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ICU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18, No. 4, pp. 543-552, 2006. 

  14. M. Y. Kim, J. S. Park,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7, No. 2, pp. 177-186, 2010. 

  15. M. H. Bleijlevens, L. M. Wagner, E. Capezuti, J. P. Hamers, "Physical restraints: consensus of a research definition using a modified delphitechniqu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 64, No. 11, pp. 2307-2310, 2016. DOI: https://doi.org/10.1111/jgs.14435 

  16. B. Reisberg, S. H. Ferris, M. J. Leon, T. Crook, "The global deterioration scale for assessment of primary degenerative dementia",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39, No. 9, 1136-1139, 1982. DOI: https://doi.org/10.1176/ajp.139.9.1136 

  17. S. H. Choi, D. L. Na, B. H. Lee, D. S. Ham, J. H. Jung, et al.,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global deterioration scale",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Vol. 20, No. 6, pp. 612-617, 2002. DOI: https://doi.org/10.12779/dnd.2018.17.1.11 

  18. M. F. Folstein, S. E. Folstein, P. R. McHugh,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 12, No. 3, pp. 189-198, 1975. 

  19. Y. C. Kwon, J. H. Park, "Modificat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use in the elderly in a non-western society: Part I.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tiatric Psychiatry, Vol. 5, No. 6, pp. 381-387, 1990. DOI: https://doi.org/10.1002/gps.930050606 

  20. J. Morse, R. Morse, S. Tylko, "Development of a scale to identify the fall-prone patient", Canadian Journal on Aging. Vol. 8, No. 4, pp. 366-77, 1989. DOI: https://doi.org/10.1017/S0714980800008576 

  21. H. S. Kim, "Care technology for long-term caregivers", 478, Hakjisa, 2008, 478. 

  22. C. Kruger, H. Meyer, B. Haastert, G. Meyer,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acute hospitals in Germany: a multi-centre cross-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50, No. 12, pp. 1599-1606, 2013. DOI: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3.05.005 

  23. M. H. Park, M. H. Park, "Factors influencing nurses' implementation of evidence-based restraint use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8, No. 3, pp. 172-181, 2016. DOI: https://doi.org/10.17079/jkgn.2016.18.3.172 

  24. H. Hofmann, E. Schorro, B. Haastert, G. Meyer,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homes: a multicentre cross-sectional study", BMC Geriatrics, Vol. 15, No. 129, pp. 1-8, 2015. DOI: https://doi.org/10.1186/s12877-015-0125-x. 

  25. D. J. Estevez-Guerra, E. Farina-Lopez, E. Nunez-Gonzalez, M. Gandoy-Crego, F.Calvo-Frances, E. A. Capezuti,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long-term care in Spain: a multi-center cross-sectional study", BMC Geriatrics, Vol. 17, No. 29, pp. 1-7, 2017. DOI: https://doi.org/10.1186/s12877-017-0421-8. 

  26. E. N. Bellenger, J. E. Ibrahim, J. J. Lovell, L. Bugeja, "The nature and extent of physical restraint related death in nursing hom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 0, No. 0, pp.1-20, 2017. DOI: https://doi.org/10.1177/0898264317704541. 

  27. H. C. Huang, Y. T. Huang, K. Lin, Y. F. Kuo,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restraints in residential aged care facilities: a community-based epidemiological survey in Taiw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70, No. 1, pp. 130-14, 2013. DOI: https://doi.org/10.1111/jan.1217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