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시설의 신체적 억제대 프로토콜 개발
Protocol for Physical Restraints of Patients in Nursing Hom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0 no.4, 2013년, pp.345 - 358  

임미혜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고일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tocol that would help prevent accidents, apply physical restraints properly, and reduce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homes. Method: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nalysis of existing statutes and regulations were used to develop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신체적 억제대는 사고 예방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우선적으로 노인요양시설에서 신체적 억제대 적용을 유발하는 노인들의 사고예방을 통해 신체적 억제대 적용을 최소화하여 노인의 인권 및 간호제공자들의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고, 신체적 억제대 적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올바르게 사용하여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신체적 억제대 프로토콜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을 유발하는 사고가능성을 사정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신체적 억제대 사용의 적절성을 기해 신체적 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과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궁극적으로 신체적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유도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에게 사용되는 신체적 억제대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문헌고찰 분석을 통해 예비프로토콜을 구성한 후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통해 예비프로토콜을 수정 보완하여 임상타당도 검증 후 프로토콜을 확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신체적 억제대 관리 지침으로 사고 예방에 초점을 맞춘 신체적 억제대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임상적용 타당도 조사는 연구자가 3곳의 시설에서 10명의 대상자를, 연구자가 직접 조사가 어려운 시설 2곳에서는 시설의 원장인 간호사 2명이 8명의 대상자를조사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관찰을 통해 평가가 어려운 영역에서는 시설의 원장인 간호사와의 면담, 의무기록을 확인하여 조사지에 적용 가능성 여부를 표시하였다. 조사 전 대상자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였고 조사된 모든 자료는 익명으로 표시하고 익명으로 처리하였다.

가설 설정

  • 노인요양시설의 신체적 억제대 적용 프로토콜을 확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고를 유발하는 위험요인 중 간접위험요인 낙상력의 특징은? 사고를 유발하는 위험요인 중 간접위험요인 낙상력은 낙상을 경험한 대상자가 기능의 저하 이유뿐만 아니라 재낙상의두려움으로 스스로 침대난간 사용을 원하고 있어 사고예방중재 시 신체적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적 측면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고위험요인 중 문제행동도 임상적용타당도 검사 시 자신의 몸을 긁어 스스로 상처를내는 행동을 하는 대상자들만 확인 할 수 있어 타인의 안전에 해를 입히는 것과 같은 문제행동에 대한 적용 결과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며, 이는 연구대상의 범위가 제한적이었던 이유로 추후 노인요양시설을 확대한 연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문간호사들에 대한 처방권이 확보되지 않은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전문간호사 업무확장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자 한 것으로 향후 계속된 연구가 진행되면서 검토되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 이유는? 신체적 억제대 처방은 외국에서는 의사나 전문간호사들이하고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 의사들은 거의 관여하지 않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토콜에서는 간호사가 대상자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 여부를 확인한 후 의사에게 처방을 요청하는 것은 간호사가 신체적 억제대 사용 여부를 결정을 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의사와 전문간호사가 처방을 하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전문간호사들에 대한 처방권이 확보되지 않은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전문간호사 업무확장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자 한 것으로 향후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면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요양시설의 신체적 억제대 프로토콜은 어떻게 개발되었는가?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요양시설의 신체적 억제대 프로토콜은 요양시설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법규, 판례, 기존 프로토콜 분석을 통하여 예비 프로토콜을 구성하고,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와 노인요양시설에서 임상타당도를검증하여 개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edthauer, D., Eichner, B., Koczy, P., & Nikolaus, T. (2005). Factors relating to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psychogeriatric care: A paradigm for elder abuse. Zeitschrift fur Gerontologie und Geriatrie, 38, 10-18. 

  2. Capezuti, E., Evans, L., Strumpf, N., & Maislin, G. (1996). Physical restraint use and falls in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4, 627-633. 

  3. Castle, N. G. (2000). Differences in nursing homes with increasing and decreasing use of physical restraints. Medical Care, 38, 1154-1163. 

  4. Choi, K. B. (200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ducational program for the reduction of physical restraint use by caregivers in geriatric hospita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5. Evans, D., & FitzGerald, M. (2002). Reasons for physically restraining patients and resi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conten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9, 735-743. 

  6. Heinrich, H. W. (1969).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A scientific approach (4th ed.). New York: McGraw-Hill. 

  7. Karlsson, S., Bucht, G., Eriksson, S., & Sandman, P. (2001). Factors relating to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geriatric care setting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9, 1722-1728. 

  8. Kim, D. H., Kim, C. M., Kim, E. M., & Park, M. S. (2011). Application of physical restraints by health personnel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3, 131-141. 

  9. Kim, E. M. (2008). The comparison of knowledge and attitude on the use of restraint between ICU nurses and medical/surg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10. Kim, K. A. (2003).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ol of problematic behaviors for institutionalized old people with dement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 Kleen, K. (2004). Restraint regulation: The tie that binds. Nursing Management, 35(11), 36-38. 

  12. Ko, H. Y.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leeve -type Restraints for ICU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3. Laurin, D., Voyer, P., Verreault, R., & Durand, P. J. (2004). Physical restraint use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A comparison of two data collection methods. Journal of Bio Medical Center Nursing, 3:5. 

  14. Lee, K. J., Lee, M. R., & Cho, Y. H. (2008). A study on safety awareness and accidents in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0, 48-57. 

  15. Lee, Y. K., Cho, E. H., Kim, S. A., Kim, J. K., Kim, H. M., Kim, H. E., et al. (2003). The study on physical restraint use in intensive care unit (ICU).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8, 117-130. 

  16.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 382-385. 

  17. Maccioli, G. A., Dorman, T., Brown, B. R., Mazuski, J. E., McLean, B. A., Kuszaj, J. M., et al. (2003).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intenance of patient physical safety in the intensive care unit: Use of restraining therapies - American College of Critical Care Medicine Task Force 2001-2002. Critical Care Medicine, 31, 2665-2676.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The colle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laws. Retrieved July 1, 2006, from http://www.mw.go.kr/front_new/jb/sjb06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60501&CONT_SEQ40160&page1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The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elders in 2013. Retrieved July 13, 2013, from http://stat.mw.go.kr/front/statData/publicationView.jsp?bbsSeq7&nttSeq20855&menuId41 

  20. National Archives and Record Administration. (2012). Code of federal regulations. Retrieved October 1, 2012, from http://www.gpo.gov/fdsys/pkg/CFR-2012-title42-vol4/pdf/CFR-2012-title42-vol4.pdf 

  21. Park, J. H., & Kwon, Y. C.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use in the elderly: Part II diagnostic validit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 508-513. 

  22. Rafiee, G. (2009). Physical restraints use in nursing homes: A systematic review of two opposing views. Canadian Nursing Home, 20(2), 16-22. 

  23. Son, H. J. (2004). Evaluating the NGCTM evidence based acute pain management guideline in the elderly for use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4. Thomas, A., Redfern, L., & John, R. (1995). Perceptions of acute care nurses in the use of restrain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1(6), 32-38. 

  25. Tinetti, M. E. (1986). Performance oriented assessment of mobility problems in elderly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4, 119-126. 

  26. Weiner, C., Tabak, N., & Bergman, R. (2003). Use of restraints on dementia patients: An ethical dilemma of a nursing staff in Israel.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Healthcare Law, Ethics, and Regulation, 5(4), 87-93. 

  27. Winston, P. A., Morelli, P., Bramble, J., Friday, A., & Sanders, J. B. (1999). Improving patient care through implementation of nurse-driven restraint protocol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13(6), 32-46. 

  28. Won, C. W. (2002). Korea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and Korea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6, 1-10. 

  29. Yoon, H. K. (2011). Recognition and attitude of nurse & assistance nurse for physical restraint application in geriatric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