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50세 이상 남성의 골감소증·골다공증 유병률과 관련 요인: 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Prevalence of Osteopenia/Osteoporosis and Related Risk Factors of Men Aged 50 Years and Older: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1 Data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2 no.2, 2016년, pp.106 - 117  

이혜상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steoporosis is a major health problem that can lead to mort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separately and to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osteopenia/osteoporosis in Korean men aged 50 years and over. A total of 1,136 subject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50세 이상 남성을 대상으로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의 발생 비율을 살펴보고, 정상군과 골다공증 위험군(골감소증, 골다공증 포함)으로 구분하여 정상군과 위험군간의 생활습관, 만성질환, 영양소 섭취상태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이 유발하는 위험은 무엇인가? 골다공증(osteoporosis)은 뼈의 생성이 감소되거나 뼈의 분해가 증가되어 단위 용적 당 골질량이 감소하는 질환이며, 골감소증(osteopenia)은 정상적인 뼈의 분해에 비해 생성이 부족하여 골질량이 다소 감소하는 질환으로 골다공증으로 변화할 수 있다(Choi 등 2011). 골다공증은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골절을 일으킬 수 있으며(Korpi-Steiner 등 2014), 골절이 되는 경우 활동에 제한을 받게 되어 건강에 큰 문제가 생기고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골다공증은 왜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잘 발생하는가? 폐경 이후 급격히 골밀도가 감소하는 여성과 달리 남성의 골밀도는 20∼24세의 최대 골밀도를 지난 후에 점진적으로 감소한다(Gates & Das 2011; Kim 등 2014). 또한 남성의 골다공증 유병률이 여성에 비해 낮기 때문에 골다공증은 여성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남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인지도가 낮다(Kaufman 등 2014; Korpi-Steiner 2014).
골감소증이란 무엇인가? 골다공증(osteoporosis)은 뼈의 생성이 감소되거나 뼈의 분해가 증가되어 단위 용적 당 골질량이 감소하는 질환이며, 골감소증(osteopenia)은 정상적인 뼈의 분해에 비해 생성이 부족하여 골질량이 다소 감소하는 질환으로 골다공증으로 변화할 수 있다(Choi 등 2011). 골다공증은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골절을 일으킬 수 있으며(Korpi-Steiner 등 2014), 골절이 되는 경우 활동에 제한을 받게 되어 건강에 큰 문제가 생기고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iley DA, McKay HA, Mirwald RL, Crocker PR, Faulkner RA (1999): A six-year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to bone mineral accrual in growing children: the university of Saskatchewan bone mineral accrual study. J Bone Miner Res 14(10):1672-1679 

  2. Barengolts EI, Berman M, Kukreja SC, Kouznetsova T, Lin C, Chomka EV (1998): Osteoporosis and coronary atherosclerosis in asymptomatic postmenopausal women. Calcif Tissue Int 62(3):209-213 

  3. Bolton KL, Egerton T, Wark J, Wee E, Matthews B, Kelly A, Craven R, Kantor S, Bennell KL (2012): Effects of exercise on bone density and falls risk factor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enia: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 Sci Med Sport 15(2):102-109 

  4. Campion JM, Maricic MJ (2003): Osteoporosis in men. Am Fam Physician 67(7):1521-1526 

  5. Choi H, Kim JH, Kim CI, Chang KJ, Min H, Yim KS, Byun K, Lee H, Kim KW, Kim HS, Kim HA (2011): Essentials of nutrition. 3rd ed. Kyomunsa. Paju. pp.280 

  6. Choi SN, Jho KH, Chung NY (2014a): Association of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factors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ult men : data from fourth (2008-2009) and fifth (2010-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IV & V).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6):710-722 

  7. Choi SN, Jho KH, Chung NY (2014b): Association of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factors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ult women data from the fourth (2008-2009) and fifth (2010-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IV & V). J Korean Diet Assoc 20(3):157-173 

  8. Gates BJ, Das S (2011): Management of osteoporosis in elderly men. Maturitas 69(2):113-119 

  9. Hong H, Kim EK, Lee JS (2013): Effects of calcium intake, milk and dairy product intake, and blood vitamin D level on osteoporosis risk in Korean adults: analysis of the 2008 and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 Res Pract 7(5):409-417 

  10. Hwang YC, Ahn HY, Jeong IK, Ahn KJ, Chung HY (2013): Optimal serum concentration of 25-hydroxyvitamin D for bone health in older Korean adults. Calcif Tissue Int 92(1):68-74 

  11. Iwamoto J, Takeda T, Ichimura S (2001): Effect of exercise training and detraining 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J Orthop Sci 6(2):128-132 

  12. Jin MR, Kim JM, Kim H, Chang N (2009): Association of lifestyle behaviors, dietary habit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en aged 50 years and older. Korean J Nutr 42(1):59-67 

  13. Jung SE, Yoon YS, Lee NW, Kim T, Kim HJ, Lee KW, Kim SH (2006): Estimated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Ansan, Korea. Osteoporosis 4(1):41-48 

  14. Kaufman JM, Lapauw B, Goemaere S (2014): Current and future treatments of osteoporosis in men.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28(6):871-884 

  15. Kim JM, Jin MR, Kim HW, Chang N (2011): Association between daily food and nutrient intak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en aged 50 years and older. Korean J Nutr 44(5):394-405 

  16. Kim YR, Lee TY, Lee JH (2014): Age-related bone mineral density, accumulated bone loss rate at multiple skeletal sites in Korean men. J Korean Acad Ind Cooperation Soc 15(6):3781-3788 

  17. Koo JO (2013):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and blood pressure, calcium intake among adult women in Seoul, Kyunggi area: Based on 2011 KNHANES. Korean J Community Nutr 18(3):269-282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book for using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Accessed December 14, 2015 

  19. Korpi-Steiner N, Milhorn D, Hammett-Stabler C (2014): Osteoporosis in men. Clin Biochem 47(10-11):950-959 

  20. Laurent M, Gielen E, Claessens F, Boonen S, Vanderschueren D (2013): Osteoporosis in older men: recent advances in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27(4):527-539 

  21. Lee DH, Lee EN (2011): Influencing factors of bone mineral density in men. J Muscle Joint Health 18(1):5-15 

  22. Lee HS (2015): Food Insecurity and related risk factors in the elderly: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Data. J Korean Diet Assoc 21(4):308-319 

  23. Lim YS, Lee SW, Tserendejid Z, Jeong SY, Go G, Park HR (2015):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nutrient and food group intake level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using th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Nutr Res Pract 9(5):539-546 

  24. Looker AC, Melton LJ 3rd, Harris TB, Borrud LG, Shepherd JA (2010): Prevalence and trends in low femur bone density among older US adults: NHANES 2005-2006 compared with NHANES III. J Bone Miner Res 25(1):64-71 

  25. Mun SO, Kim J, Yang YJ (2013): Factors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ged 50 years and above: using 2008-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8(2):177-186 

  26. Oh SI, Lee HS, Lee MS, Kim CI, Kwon IS, Park SC (2002): Some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status of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7(1):121-129 

  27. Oh SW (2011):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 Diabetes Metab J 35(6):561-566 

  2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pp.578-583 

  29. The Statistics Korea. Life table 201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Accessed December 30, 2015 

  30. The Study Group of Menopause (2008):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J Menopausal Med 14(3):238-245 

  31. Yeon JY, Sung CJ (2011): A study on dietary mineral intakes, urinary mineral excretion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6(5):569-5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