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eptomyces sp. A75와 A501 균주는 인삼 잘록병을 일으키는 R. solani와 Pythium sp.의 균사 생장을 억제하였다. 인삼 잘록병 R. solani에 대하여 Streptomyces sp. A75와 A501 균주의 배양액을 혼합한 50배 희석액에 종자 침지처리, 100배 희석액의 관주처리와 종자 침지처리(50배) + 관주처리(100배)는 81.3%, 84.8%와 32.2%의 방제 효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인삼 잘록병 Pythium sp.에 대하여 Streptomyces sp. A75와 A501 균주의 배양액을 혼합한 50배 희석액에 종자 침지처리, 100배 희석액의 관주처리와 종자 침지처리(50배) + 관주처리(100배)는 51.0%, 52.1%, 75.3%의 방제효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에서 Streptomyces sp. A75와 A501 균주의 배양한 혼합액으로 종자 침지한 후 관주처리가 인삼 잘록병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eptomyces sp. A75 and A501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pathogenic Rhizoctonia solani and Pythium sp., which cause the ginseng disease known as damping-off. Three methods were evaluated for the control of these pathogens, using a mixture of the culture broths from Streptomyces sp. A75 and A5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 안전 인삼모를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한 방선균 균주가 인삼에 발생하는 잘록병균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와 인삼 잘록병에 대한 방제 효과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에 발생하는 잘록병의 병원균은 무엇인가?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작물로서 약용으로 사포닌 성분인 진세노사이드에 관련된 약리 성분이 있어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면역력 증강이나 노화예방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1-5]. 인삼에 발생하는 잘록병은 병원균이 Rhizoctonia solani, Pythium ultimum, P. debaryanum으로 보고되어 있다[6].
인삼에 발생하는 잘록병 병원균은 어떤 조건의 장소에서 발생하는가? 이들 병원균은 토양에 존재하는 토양전염성으로 온도가 낮고 수분이 많은 토양에서 다발생한다[7]. Rhizoctonia solani에 의한 잘록병은 4월 중하순에 시작하여 5월 상순에 걸쳐 발생하며 땅에 접한 줄기부위에 암갈색으로 마르면서 쓰러지며, 주변으로 진전은 둥글게 퍼져 나가는 발병 특징을 보이며 종자 발아 직후 어린 줄기를 침입하여 출아되지 못하는 출아전 잘록병과 출아후 마르면서 쓰러지는 증상이며, P.
인삼이란 무엇이며 약용으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작물로서 약용으로 사포닌 성분인 진세노사이드에 관련된 약리 성분이 있어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면역력 증강이나 노화예방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1-5]. 인삼에 발생하는 잘록병은 병원균이 Rhizoctonia solani, Pythium ultimum, 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i YB, Wang Y, Tang JP, Chen D, Wang SL. Neuroprotective effects of ginsenoside Rg1-induced neural stem cell transplantation on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Neural Regen Res 2015;10:753-9. 

  2. Saba E, Jeon BR, Jeong DH, Lee K, Goo YK, Kim SH, Sung CK, Roh SS, Kim SD, Kim HK, et al. Black ginseng extract ameliorates hypercholesterolemia in rats. J Ginseng Res 2016;40:160-8. 

  3. Gui QF, Xu ZR, Xu KY, Yang YM. The efficacy of ginsengrelated therapie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icine (Baltimore) 2016;95:e2584. 

  4. Jang KJ, Choi SH, Yu GJ, Hong SH, Chung YH, Kim CH, Yoon HM, Kim GY, Kim BW, Choi YH.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total saponins derived from the roots of Panax ginseng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 264.7 macrophages. Exp Ther Med 2016;11:1109-15. 

  5. Lee DY, Jeong YT, Jeong SC, Lee MK, Min JW, Lee JW, Kim GS, Lee SE, Ahn YS, Kang HC, et al. Melanin biosynthesis inhibition effects of ginsenoside Rb2 isolated from Panax ginseng berry. J Microbiol Biotechnol 2015;25:2011-5. 

  6.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5th ed. Seoul: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7. Agrios, GN. Plant pathology. 5th ed. Boston: Elsevier Academic Press; 2005. 

  8. Cho DH, Cho HS, Shin JS, Park DW. Control of damping-off and ginseng stem fungus gnat of ginseng. In: KT&G Ginseng research report, 2007. p. 28-33. 

  9. Hong SK. Survey of ginseng cultivation in Southern Korea. So-yeun (Central Monopoly Institute) 1964;6:27-44. 

  10. Georgakopoulos DG, Fiddaman P, Leifert C, Malathrakis NE. Biological control of cucumber and sugar beet damping-off caused by Pythium ultimum with bacterial and fungal antagonists. J Appl Microbiol 2002;92:1078-86. 

  11. Howell CR, Stipanovic RD. Suppression of Pythium ultimuminduced damping-off of cotton seedlings by Pseudomonas fluorescens and its antibiotic, pyoluteorin. Phytopathology 1980;70:712-5. 

  12. Zamanizadeh HR, Hatami N, Aminaee MM, Rakhshandehroo F. Application of biofungicides in control of damping disease off in greenhouse crops as a possible substitute to synthetic fungicides. Int J Environ Sci Technol (Tehran) 2011;8:129-36. 

  13. Kim JH, Choi YH, Kang SJ, Rhee IK, Joo GJ. Biocontrol of vegetables damping-off by Bacillus ehimensis YJ-37. Kor J Life Sci 2002;12:416-22. 

  14. Joo GJ, Kim JH, Kang SJ. Isola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ehimensis YJ-37 as antagonistic against vegetables damping-off fungi. Kor J Life Sci 2002;12:200-7. 

  15. Jo EJ, Kang BG, Jang KS, Choi YH, Kim JC, Choi GJ. Control efficacy of serenade formulation against Rhizoctonia and Pythium damping-off diseases. Res Plant Dis 2014;20:201-5. 

  16. Woo EE, Lee GS, Lee IK, Choi JE, Yun BS. Control of ginseng damping-off by Streptomyces sp. A3265. Kor J Mycol 2016;44:193-5. 

  17. Lahdenpera ML. Streptomyces-a new tool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Agro Food Ind Hi Tech 1991;2:25-7. 

  18. Elson MK, Kelly JF, Nair MG. Influence of antifungal compounds from a soil-borne actinomycete on Fusarium spp. in asparagus. J Chem Ecol 1994; 20:2835-46. 

  19. Handelsman J, Stabb EV. Biocontrol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Plant Cell 1996;8:1855-69. 

  20. Song J, Lee SC, Kang JW, Baek HJ, Suh JW. Phylogenetic analysis of Streptomyces spp. isolated from potato scab lesions in Korea on the basis of 16S rRNA gene and 16S-23S rDNA internally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Int J Syst Evol Microbiol 2004;54:203-9. 

  21. Kim OS, Cho YJ, Lee K, Yoon SH, Kim M, Na H, Park SC, Jeon YS, Lee JH, Yi H, et al. Introducing EzTaxon-e: a prokaryotic 16S rRNA gene sequence database with phylotypes that represent uncultured species. Int J Syst Evol Microbiol 2012;62:716-21. 

  22.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Kumar S.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011;28:2731-9. 

  23. Saintpierre D, Amir H, Pineau R, Sembiring L, Goodfellow M. Streptomyces yatensis sp. nov., a novel bioactive streptomycete isolated from a New-Caledonian ultramafic soil. Antonie Van Leeuwenhoek 2003;83:21-6. 

  24. Esnard J, Potter TL, Zuckerman BM. Streptomyces costaricanus sp. nov., isolated from nematode-suppressive soil. Int J Syst Bacteriol 1995;45:77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