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 심리적 모형을 기반으로 한 초등 수학 교육용 기능성게임 디자인 설계전략
Design Framework for Math Educational Serious game Based on Cognitive Psychology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45, 2016년, pp.299 - 320  

최은영 (서울디지털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기능성게임을 이용한 교육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용 기능성게임의 학습효과에 중점을 둔 결과 지향적 게임 디자인 설계는 게임의 재미적인 요소와 몰입감을 간과한 경우가 많으며, 지속적 학습참여와 같은 내재적 요인들을 반영하지 못했다. 교육용 기능성게임의 지속적인 사용 및 확장과 학습 효과를 높여주기 위하여 학습자의 학습 성향 및 인지확장에 대한 변화를 반영한 게임디자인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심리학 모형을 바탕으로 한 게임디자인 설계전략을 문헌 리뷰를 통하여 분석 및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학습자 및 학습효과에 질적 양적측면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erests of education methods using Serious games have been increasing recently. But resu,lt-oriented game design framework have not been reflected intrinsic motivation. To increase usage of educational serious game as resource, it is needed game design framework for providing the immersion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 수학교육용기능성게임 디자인설계를 위하여 인지심리학적 접근에서 살펴보았다. 교육용 기능성게임은 교육과 재미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어 그 활용도가 높은 반면 지금까지는 주로 외재적 학습효과에만 의존한 교육설계로 인하여 지속적 활용이 아쉬운 상황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게임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ICT의 특성이 반영된 인지정보처리이론과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부여를 고려한 인지심리학적 요인을 접목한 수학 교육용기능성게임 디자인 프레임 워크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수학교과의 학습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디자인 설계전략 이외에 학생들이 수학을 대하는 태도, 일상생활과의 연계, 자기 주도적 사고, 지속적 학습활동에 대한 동기부여 등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디자인 설계전략을 포함하고 있다.

가설 설정

  • 세 번째 디자인 설계 시 내용 구성의 계열성을 고려해야 한다. 계열성은 어떠한 순서와 크기로 학습내용을 제시하는 것이 논리적이고 학습자에게 재미를 줄 수 있는지, 인지적 갈등을 최소로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인지 설계 시 기본이 되는 분야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향적 디자인 설계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하지만 기존 개발된 많은 교육용 기능성게임들은 주로 게임이 가지는 ‘재미’와 ‘흥미 유발’이라는 요인들보다는 ‘학습효과’에 목적을 두고 개발 되어졌으며, 학습자의 성향이나 만족도가 고려되기보다는 주로 단위시간당 학습량, 게임전후의 학습자 지식 변화등과 같은 ‘교육적 효과’의 결과 지향적 게임디자인 설계가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결과 지향적 디자인 설계는 단기적으로 학습자의 성취감이나 만족감과 같은 외재적 요인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장기적으로 학습자의 행동방향, 지속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요인에는 한계성을 보여, 지속적인 활용 및 교육용 기능성게임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학습자의 지속적인 학습 전략, 의욕, 참여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내재적 학습 동기는 학습이론에서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특히 자기주도형 학습이 강조되고 있는 현 교육환경에서는 굉장히 중요한 영역이다.
게임디자인의 요소 중 하나인 목적은 어떻게 드러나는가? 기능성게임은 이러한 목적이 분명히 드러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만약 학습자에게 목표가 분명히 전달되지 않을 경우 학습자는 집중하지 못하게 되면서 플로우 상태로 빠져 들 수 있으므로 명확한 목적과 의도를 제시하여 주어야 한다. 또한 목적은 디자인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기 보다는 디자인의 다양한 요소와 장치들을 통하여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인지 심리학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인지심리학은 인간의 외부적 반응보다는 내부 매커니즘에 따라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정보를 처리하는지에 대한 과정이 주된 연구 분야로 학습과정의 개념화를 중요시하고, 교수설계 시 학습자 인지구조와 학습자 집단특성이 고려되어야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인지 심리학의 핵심적 구성요소는 내용과 구조(Architecture)를 담당하는 기억과 자동 정보처리(Automatic information)와 연합(Chunking)을 담당하는 정보처리로 나눌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한국콘텐츠진흥원, 기능성게임 현황 및 활성화방안 연구, 2013 

  2. 김동식, Computer based instruction 설계, 개발의 논리, 원미사, 1996 

  3. 권충훈, 멀티미디어 교수-학습콘텐츠의 인지심리학적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5권 제 5호 (2005), pp.273-280 

  4. 김계원, 초등수학과 게임의 효과적인 접목을 위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2014), pp.393-411 

  5. 김영환, 학습용 멀티미디어 디자인과 인지심리학, 한국심리학회, 제1권 (1998),pp.71-95 

  6. 김청택, 인지과정에 대한 인지심리학 모형, 정보과학지,(2012), pp.19-25 

  7. 박경미, 인지심리학적 정보처리이론의 관점에서 본 수학교육, 수학교육학연구, 제3권(1993), pp.117-126 

  8. 이수연, 김재웅, 로제 카이의 놀이 유형에 근거한 유아용 한글 기능성 모바일 게임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4), pp.291-312 

  9. 이춘호, 장규식, 김태용, 동기 부여 중심의 교육용 게임 설계, 한국컴퓨터 게임학회 논문지, 제21권, (2010),pp.47-56 

  10. 조은순, 초등수학교의 게임형 콘텐츠 설계 및 개발사례, 한국콘텐츠학회,(2006),pp. 35-38 

  11. 조은순, 김인숙, 중학교 수학교과의 온라인 게임형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 제7권 ,(2007), pp. 248-256 

  12. 최동성, 김호영, 김진우, 인간의 인지 및 감성을 고려한 게임 디자인 전략, 경영정보학연구, 제10권, (2000), pp.291-312 

  13. Lyula Husain, Getting Serious about Math : Serious Game Design Framework & an Example of Math Educational Game, 2011 

  14. Konstatin Mitgutsch, Narda Alvarado, "A Serious Game Desing Assesment Framework", MIT, 2013 

  15. Stodolosky, S.S Salk,S &Glaessner, B. Student Views about learning Math, Social Stud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8(1),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