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장애친화공원화를 위한 근린생활권 공원의 현황 및 이용자 만족도 분석 - 천호공원, 간데메공원, 훈련원공원을 대상으로 -
Current Status and User Satisfaction Analysis of Neighborhood Park for Barrier Free Friendly Park - A Focus on Cheonho Park, Gandaemae Park and Hunlyunwon Park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9 no.1, 2016년, pp.135 - 153  

강현경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이수지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백승준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grasping improvement factors of Cheonho Park, Gandaemae Park and Hunlyunwon Park as barrier free friendly parks. For this study, current status of parks, users' state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in October, 2014 and September, 2015. To detect current status, period of des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통약자를 배려한 복지정책의 변화와 함께 여가활동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므로 무장애친화공원화를 위해서 도시내부에 위치하면서 쉽게 접근, 이용할 수 있는 근린생활권 공원의 리노베이션 방안이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접근이 가능한 도심의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교통약자를 포함한 이용자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 즉, 장애인이나 비장애인 누구나 불편함 없이 이용가능한 편의시설 확충과 교통 약자의 활동 연계성을 고려한 무장애길 확보등, 사회통합적 복지 실천을 위한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Suh, 2008). 본 연구는 일상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의 무장애친화공원화를 위한 개선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하였다. 공원 현황과 병행하여 실시한 이용자 만족도에 있어 교통약자 유형별 비교를 통한 통합적 개선방안 마련에 한계점을 갖는다.
  • 이에 반해 무장애친화공원은 기존의 환경을 고려, 공원이용에 필수적인 영역을 대상으로 물리적 장애물을 제거하고, 물리적 무장애가 어려운 부분은 인적서비스 및 정보제공을 통한 보완으로 이용자의 안전 확보와 불편을 최소화한 공원이라 할 수 있다(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a). 본 연구에서는 일상에서 자주 이용할수 있는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의 무장애친화공원화를 위하여 현황조사를 수행하였고, 교통약자를 포함한 공원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 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에 위치한 천호공원, 간데메공원, 훈련원공원을 대상으로 무장애친화공원화를 위한 리노베이션 계획시, 공원 외부 공간의 주요한 요소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공원 현황과 이용자 행태 및 만족도로 구분하였으며 일반현황은 각 공원별 조성시기, 전체면적, 시설∙포장∙녹지 면적, 주요공간을 파악하였고, BF 현황은 매개시설, 유도 및 안내시설, 편의시설, BF 보행로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의 무장애친화공원화를 위한 정비방안으로 제안한 것은?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의 무장애친화공원화를 위한 정비방안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할 수 있다. 첫째, 평지형 입지현황으로 접근성이 양호해야 하며 충분한 주차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편리성을 위한 휴게시설의 추가적 설치 및 보완이 요구되었다. 셋째, 안전을 위한 차별화된 보행중심형 공간, 동선의 확보가 요구되며 안전시설의 보완이 뒷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반적으로 3개 대상지는 공원 내부에서 산책 및 이동에 있어 경사 및 단차가 없는 평탄한 지형조건이었으며 유효폭이 충분하여 BF 보행 기능이 원활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2012년과 비교한, 2013년 7대 특별∙광역시에 거주하는 교통약자의 수는? 우리나라 7대 특별∙광역시에 거주하는 교통약자는 2013년 전체 인구의 약 25% 인 1,278만명 수준으로 2012년에 비해 약 14만 명 증가하였다. 교통약자 유형은 고령자가 625만 명으로 가장 높은 점유율(48.
교통약자 유형 중, 비중이 높은 순서대로 서술하시오. 우리나라 7대 특별∙광역시에 거주하는 교통약자는 2013년 전체 인구의 약 25% 인 1,278만명 수준으로 2012년에 비해 약 14만 명 증가하였다. 교통약자 유형은 고령자가 625만 명으로 가장 높은 점유율(48.9%)을 차지하였으며 어린이, 영유아동반자, 장애인, 임산부 순으로 높았다(http://korealand.tistory.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wang JS. 2014. Considering Barrier-Free Environment Improvement of Public Library Accessibility Features. Master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n) 

  2. Jung AY. 2001. A Research on Barrier-Free Status and Assignment in the Museum Architecture. -With a Focus on the a Sample Japanese-Museum-. Master dissertation, Hong-il University. (in Korean) 

  3. Kang BK.Park KJ.Jeong HJ.Kang JH and Lee JH. 2007. A Study on the Planning of the Urban Park with Analyse of Barrier Free Urban Parks in Japa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3(12): 95-10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 Kang BK.Seong KC.Park KJ.Yun YS.Kim SW.Kim EK and Lee KJ. 2009.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Play Space by Types of Installation for the Planning of Barrier Free Play Spac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5(4): 23-3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Kang BK.Seong KC.Yun YS.Kim SW and Lee YH. 2010. A Study on the Barrier-Free National Forest Arrangement Pl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and Elderl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4(2): 141-172. 

  6. Kang TS and Kim SW. 2001. Barrier Free Design of Boramae Park for the Disabled.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4(2): 1-1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2012. Manuals of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e System. (in Korean) 

  8. Korea federation of organization of the disabled. 2010. Sense and Perspective Universal Design Movement. Universal Design International Seminar. (in Korean) 

  9. Lee DH.Kang BK and Park HS. 2011. A Study on the Planning of the Barrier Free Park with Analyse of Urban Park in Domestic. The Autumn Annual Conference of the AIK 31(2): 169-17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Lee JW and Yeom SJ. 2012. A Scheme Proposal for Barrier Free Investigation in Maintenance of Urban Park in Korea for Japanese Ca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15(3): 191-19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Lee SY.Lee HJ.Lim BH and Shim JY. 2011. An Evaluation of Outdoor Living Environments for Senior Citizens. -Focused on the Prospective Seniors and Seniors Citizens in Daejeon-. Journal of Korean Institud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4): 39-4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Noh JH.Kang BG.Ki CS.Park KJ and Kim SW. 2011.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nvestigation about Barrier-Free in Railroad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7(3): 43-5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3. Roh SS. 2011. A Study of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 Utilization and User Satisfaction in the Neighborhood Park. Master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in Korean) 

  14. Seo ES and Koo BH. 2015. A Study of Improvement Plans for Urban Parks through the Application of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tandards -A Focus on Boramae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5): 100-11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5. Seo HJ. 2009. A Study of the Way to Improve Barrier-Free Facilities in School. Master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in Korean) 

  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a. Guideline of barrier free friendly park in Seoul. Seoul. (in Korean) 

  1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b. Master Plan of barrier free friendly park. Seoul. (in Korean) 

  18. Suh SH. 2008. A Study on the Program for the Securing of Barrier-free Spaces for the Disabled with a Focus on the Public Amenities in Public Service Areas. PhD dissertation, Sangmyung University. (in Korean) 

  19. Yun YS. 2010. A Study on the Planning of Barrier-Free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considering the Disabled and the Aged. Disability & Social Welfare 1(3): 37-6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0. http://korealand.tistory.com 

  21. http://parks.seoul.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