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대중교통 정보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이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 대중교통 모바일 앱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for Seoul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3 no.4 = no.102, 2016년, pp.225 - 244  

이윤재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이지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폰의 보급률 및 이용률이 높아지면서 현대인의 생활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용성을 고려하지 않고 끊임없이 생겨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해 이용자들은 여전히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용성 평가는 다양한 요인과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초기의 물리적 편의에서 이용자 중심의 이용에의 만족도 평가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그 중 불특정다수가 제약 없이 널리 이용 가능한 교통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이용자 측면에서의 연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어플리케이션의 기술적 측면 또는 디자인적 측면에 치중되어 전반적인 이용자 중심의 이용성 평가에 한계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하여 실제로 이용되고 있는 모바일 대중교통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실제 이용자들을 통해 이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과제 수행, 심층 면담, 설문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이 다량의 정보를 제공한다 할지라도 본인의 이용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정보에는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였고, 오히려 방해 요인으로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echnology progresses, the supply and use of smartphones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and has significantly transformed modern life. However, users still feel uncomfortable running some mobile apps, as many are created without a thoughtful consideration of usability. Usability evaluations invo...

주제어

참고문헌 (32)

  1. 김미진, 윤진홍 (2010). 모바일게임 터치사용자인터페이스(TUI)의 기능적 분석 및 설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 138-146.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38(Kim, Mijin, & Yoon, Jinhong (2010). Functional analysis and design of touch user interface in mobile gam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1), 138-146.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38) 

  2. 김성진 (2013). 대학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와 이용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2), 205-23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205(Kim, Sung-Jin (2013). User needs and uses of mobil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2), 205-23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3.24.2.205) 

  3. 김정아, 김준교 (2013). e-book 어플리케이션의 메모 기능 GUI의 사용성 평가 및 분석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39(5), 203-212.(Kim, Jungah, & Kim, Junkyo (2013). Analysis and assessment of usability of GUI of memo function in e-book application: Based on case study of memo function in e-book applications. Korea Design Forum, 39(5), 203-212.) 

  4. 김형년 (2015). 모바일폰 위치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4), 109-116.(Kim, Hyung Nyun (2015). Usability analysis of location based application: Focusing on traffic information. Journal of Digital Design, 15(4), 109-116.) 

  5. 류정우, 김유리, 서봉원 (2014). 스마트폰 이용자의 기기 내 어플리케이션 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12, 363-370.(Ryu, Jeongwoo, Kim, Yoori, & Suh, Bongwon (2014). Research on browsing experience of smartphone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Human Computer Interaction Korea Conference, 12, 363-370.) 

  6. 방송통신위원회 (2016). 2015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주요 결과. Retrieved from http://www.kcc.go.kr/user.do?modeview&pageA05030000&dcK00000001&boardId1113&boardSeq42025(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6). Report of the broadcast media channel usage in 2015. Retrieved from http://www.kcc.go.kr/user.do?modeview&pageA05030000&dcK00000001&boardId1113&boardSeq42025) 

  7. 윤여경 (2016). 사용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앱 GUI 디자인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7(1), 405-417.(Yoon, Yeo Kyung (2016). A study on smartphone navigation app GUI design for improving usability.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and Art, 17(1), 405-417.) 

  8. 우빙, 김희현 (2015).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GUI 디자인 사용성 평가.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5(1), 223-233. https://doi.org/10.17280/jdd.2015.15.1.022(Yu, Bing, & Kim, Hee Hyun (2015). A usability evaluation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GUI design: Focused on the exercise application. Journal of Digital Design, 15(1), 223-233. https://doi.org/10.17280/jdd.2015.15.1.022) 

  9. 이가영, 김재현 (2014). 모바일 앱의 시각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617-627. https://doi.org/10.17280/jdd.2014.14.1.061(Lee, Ga Young, & Kim, Jae Hyun (2014). The design of the visual interface for the mobile app: Focusing on the Internet bookstore. Journal of Digital Design, 14(1), 617-627. https://doi.org/10.17280/jdd.2014.14.1.061) 

  10. 이상화 (1999). 월드와이드웹을 이용한 사용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Lee, Sang-Hwa (1999). A study on the method of usability testing using World Wide Web. Master's thesi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11. 이정환, 장용희, 권용진 (2013). 도로 데이터를 활용한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의 효율적인 위치기반 서비스.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1(4), 63-70. https://doi.org/10.12672/ksis.2013.21.4.063(Lee, Jeong Hwan, Jang, Yong Hee, & Kwon, Yong Jin (2013). An efficient location based service based on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ying street data extracted from digital map.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1(4), 63-70. https://doi.org/10.12672/ksis.2013.21.4.063) 

  12. 이준엽, 이경전 (2014). 스마트카드 가상화(ViSCa) 플랫폼 기반 모바일 결제 서비스 제안 및 타 사례와의 비교분석. 지능정보연구, 20(2), 163-178. https://doi.org/10.13088/jiis.2014.20.2.163(Lee, June-Yeop, & Lee, Kyoung-Jun (2014). Comparative analysis of ViSCa platform-based mobile payment service with other case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0(2), 163-178. https://doi.org/10.13088/jiis.2014.20.2.163) 

  13. 임도하 (2012). 지역기반 대중교통 모바일 앱 UI 디자인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1), 145-154. https://doi.org/10.17280/jdd.2012.12.1.015(Lim, Do Ha (2012). A study of user interface design for local-based mobile applications of public transportation: Mainly with analysis on express (intercity) bus terminal mobile applications. Journal of Digital Design, 12(1), 145-154. https://doi.org/10.17280/jdd.2012.12.1.015) 

  14. 장선화 (2004). 전자책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Jang, Sunhwa (2004). A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factors for e-book user interface.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5. 정종완, 최보아 (2012). U-캠퍼스 환경에서 모바일 캠퍼스맵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3), 125-133. https://doi.org/10.17280/jdd.2012.12.3.013(Jung, Jongwan, & Choi, Boah (2012). A study on usability of mobile campus map in u-campus environment-focus university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Digital Design, 12(3), 125-133. https://doi.org/10.17280/jdd.2012.12.3.013) 

  16. 조현지, 남두희 (2014). 휴리스틱 기법을 이용한 교통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시각화 평가. 한국ITS 학회논문지, 13(3), 89-95. https://doi.org/10.12815/kits.2014.13.3.089(Jo, Hyunji, & Nam, Doohee (2014). The visualization evaluation of traffic apps using heuristics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3(3), 89-95. https://doi.org/10.12815/kits.2014.13.3.089) 

  17. 하다윤, 반영환 (2011). 모바일 증강현실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위한 정보요소 분석 및 사용성 조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783-785.(Ha, Da Yun, & Pan, Young Hwan (2011). Components analysis and usability study for mobile AR navigation design focusing on digital compass. Proceedings of the Human Computer Interaction Korea Conference, 783-785.) 

  18. Baharuddin, R., Singh, D., & Razali, R. (2013). Usability dimensions for mobile applications - A review. Research Journal of Applied Sciences, Engineering and Technology, 5(6), 2225-2231. 

  19. Berns, T. (2004). Usability and user-centred design, a necessity for efficient e-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Computer, the Internet and Management, 12(2), 20-25. 

  20. Bevan, N. (1995). Measuring usability as quality of use. Software Quality Journal, 4(2), 115-130. https://doi.org/10.1007/bf00402715 

  21. Constantine, L. L., & Lockwood, L. A. (1999). Software for use: A practical guide to the models and methods of usage-centered design. Boston, N.Y.: Addison-Wesley. 

  22. Dumas, J. S., & Redish, J. (1999). A practical guide to usability testing. Exeter, England; Portland, Or.: Intellect. 방수원, 박성준 공역 (2004). 사용성 테스트 가이드북. 서울: 한솜미디어. 

  23. ISO 9241-11 (1998). Ergonomic requirements for office work with visual terminals (VDTs), part 11: Guidance on usability. Retrieved from https://www.iso.org/obp/ui/#iso:std:iso:9241:-11:ed-1:v1:en 

  24. Jordan P. W. (1998). An introduction to usability. London; Bristol, Pa.: Taylor & Francis. 

  25. Krug, S. (2005). Don't make me think: A common sense approach to Web usability. (2nd ed.). 김지선 역 (2006). 상식이 통하는 웹사이트가 성공한다: 절대 불변의 웹유저빌리티 원칙. 서울: 대웅. 

  26. Lund, A. M. (2001). Measuring usability with the USE questionnaire. Usability Interface, 8(2), 3-6. 

  27. Nielsen, J. (1993). Usability engineering. Amsterdam, Netherlands: Elsevier. 

  28. Nielsen, J., & Molich, R. (1990). Heuristic evaluation of user interfaces.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Empowering people. ACM, 249-256. https://doi.org/10.1145/97243.97281 

  29. Olsina, L., Lafuente, G., & Rossi, G. (2001). Specifying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for websites. Web Engineering, 266-278. https://doi.org/10.1007/3-540-45144-7_26 

  30. Seffah, A., Donyaee, M., Kline, R. B., & Padda, H. K. (2006). Usability measurement and metrics: A consolidated model. Software Quality Journal, 14(2), 159-178. https://doi.org/10.1007/s11219-006-7600-8 

  31. Shackel, B. (1991). Usability-context, framework, definition, design and evaluation. Human Factors for Informatics Usability, 21-37. 

  32. Tullis, T., & Albert, B. (2008). Measuring user experience: Collecting, analyzing, and presenting usability metrics. Amsterdam; Boston: Morgan Kaufmann Publisher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