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랫드에서 김치가 당뇨병 및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에 미치는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Jijang-kimchi extracts on diabetes mellitus and alcoholic liver injury in laboratory ra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5, 2020년, pp.1078 - 1087  

김창현 (한경대학교 동물생명융합학부) ,  박병성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엄경환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해 유도한 당뇨병, 알코올성 간 손상 실험용 랫드에서 혈액 지질 감소, 당뇨병 및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에 미치는 지장김치 추출물의 경구투여 효과를 조사하였다. 당뇨병 모델동물에서, 혈액 지질 프로파일, ALT, AST 수준은 DC (당뇨병 대조군)와 비교할 때 김치추출물 투여군에서 낮아졌으며 혈당은 DCJK (DC+지장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가 DCCK (DC+일반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에 비해 낮았다. 인슐린 수준은 NC (정상대조군), DCJK > DCCK > DC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성 간 손상 모델동물에서, 혈액 ALT, AST, 빌리루빈 농도는 AC (알코올 대조군, 일일 소주 1병 섭취군) > ACCK (AC+일반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 > ACJK (AC+지장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 > NC 순서로 낮았다. 간 조직의 임상병리학적 소견은 AC에서 가장 심각한 손상을 보였으나 소주1병과 김치 추출물 특히, 지장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은 일반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에 비해서 회복되는 속도가 개선되었다. 결과는 당뇨병 및 알코올성 간 손상 모델동물에서 지장김치의 섭취가 혈액 지질 프로파일, 혈당, ALT, AST 수준을 낮추고 인슐린 분비능력을 개선하여 줌으로써 항당뇨 및 알코올성 간 손상 보호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for 30 days of the Jijang kimchi extracts on prevention of diabetes, alcoholic liver injury and reduction of blood lipids in laboratory rats with alcoholic liver injury and diabetes induced by streptozotocin. In a dia...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당뇨병 및 알코올 간질환 모델동물에서 지장김치의 생체활성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동물바이오모델 랫드에서 지장김치 추출물의 경구투여가 당뇨병과 음주로 인한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해 유도한 당뇨병, 알코올성 간 손상 모델동물 랫드에서 지장김치 추출물의 경구투여가 혈액 지질 감소, 당뇨병 및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1은 당뇨병 모델동물을 이용하여 NC (정상 대조군), DC (당뇨 대조군), DCCK (DC+일반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 DCJK (DC+지장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 실험2는 알코올성 간 질환 모델동물을 이용하여 NC (정상 대조군), AC (알코올 대조군, 소주 1병), CK (일일 소주 1병+일반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 JK (일일 소주 1병+지장김치 추출물 경구투여군)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장김치 섭취 시 세포 생존에 중요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지장김치는 품질이 좋은 배추 등의 주재료와 함께 부재료로써 미역, 다시마, 멸치, 디포리, 황태 등뼈, 구찌뽕나무, 엄나무, 상황버섯, 차가버섯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육수를 9:1 내지 7:3 비율로써 제조한 발효식품이다[8]. 지장김치의 제조 시 포함되는 청각, 대봉감, 구찌뽕나무, 엄나무, 상황버섯, 차가버섯에는 생체활성 복합물질이 들어있기 때문에 섭취하였을 때 세포 생존에 매우 중요한 시너지 효과를 갖는다[8,9].
당뇨병은 무엇인가? 과도한 당질과 음주, 알코올 섭취에 의한 대사성 질환의 발병률 증가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회적인 문제이다. 당뇨병은 인슐린 부족 및 인슐린 저항성 증가에 기인하는 대사성, 만성 퇴행성 질환이다. 당뇨병은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고혈압, 망막증을 비롯한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키며 제2형 당뇨병 환자 수의 증가는 만성 신장질환으로 인한 신장투석환자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1].
음주는 어떻게 알코올 간질환을 일으키는가?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과 혈액 중성지방을 비롯한 지질단백질 프로파일이 증가와 함께 염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한다[2]. 간은 영양대사 및 해독작용 특히 알코올 대사를 수행하는 주요 기관으로써 지나친 음주는 혈액 중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AST), 빌리루빈의 중가와 함께 간세포를 손상시켜 간질환을 일으킨다[3,4]. 세계적으로 음주로 인해 매년 2백 50만명이 사망하여 전체 사망 원인의 4%를 차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 Y. Kim, J. C. Won, J. H. Lee, "Diabetes fact sheets in Korea, 2018: an appraisal of current status",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43, No.4. pp. 487-494, (2019). 

  2. A. Vink, M. Flemmer, "Diabetes and macro-vascular disease",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Vol.16. No.3, pp. 235-245, (2002). 

  3. K. A. Kim,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liver function test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76. No.2, pp. 163-168, (2009). 

  4. J. Altamirano, R. Bataller, "Alcoholic liver disease: Pathogenesis and new targets for therapy", Nature Reviews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Vol.8, No.9. pp. 491-501, (2011). 

  5.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alcoholic liver diseas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2013). 

  6. B. Kim, E. G. Mun, D. Kim, Y. Kim, Y. Park, H. J. Lee, Y. S. "Cha, A survey of research papers on the health benefits of kimchi and kimchi lactic acid bacteria",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1. pp. 1-13, (2018). 

  7. J. K. Patra, G. Das, S. Paramithiotis, H. S. Shin, "Kimchi and other widely consumed traditional fermented foods of Korea: A review", Front Microbiology, Vol.7. No.2 pp. 1493-1507, (2016). 

  8. J. S. Shin, K. H. Um, Y. S. Choi, H. S. Lee, H. J. Park, B. S. Park, "Biochemical mechanism of Jijang-Kimch on anti-obesity effect and blood lipid metabolism in obesity model rats",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6. No.4. pp. 1198-1207, (2019). 

  9. U. H. Seo, H. J. Kang, K.B. Yoon, Y. J. An, J. B. Kim, "Analysis of dietary fiber, minera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Cheonggak (Codium fragile)",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ol.32. No.4. pp. 328-334, (2019). 

  10. Y. R. Yang, H. L. Kim, Y. K. Park, "Effects of onion kimchi extract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ntent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Journal of Korean Society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37. No.4. pp. 445-451, (2008). 

  11. M. S. Islam, H. M. Choi, "Antidiabetic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baechu (Chinese cabbage) kimchi in a type 2 diabetes model of rats,"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12. No.2. 292-297, (2009). 

  12. H. A. Lee, Y. O. Song, M. S. Jang, J. S. Han, "Alleviating effects of baechu kimchi added Ecklonia cava on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diabetic mice,"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Vol.18. No.3. pp. 163-168, (2013). 

  13. M. O. Bae, H. J. Kim, Y. S. Cha, M. K. Lee, S. H. Oh,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p. OPK2-59 with high GABA producing capacity on liver function improve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8. No.11. 1499-1505, (2009). 

  14. E. H. Ryu, J. S. Yang, M. J. Lee, S. H. Kim, H. Y. Seo, J. H. Jung, "Antioxidant effects of kimchi supplemented with black raspberry during fermentation protect against liver cirrhosis-induced oxidative stress in rats,"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13. No.2. 87-94, (2019). 

  15. B. S. Park, S. O. Park, "Extracts of housefly maggot reduces blood cholesterol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1. No.1. pp. 101-112, (2014). 

  16. S. O. Park, B. S. Park, C. M. Ryu, Y. S. Ahn, "Effect of herb extracts mixed with Houttuynia Cordata on antiatopic dermatitis in DNCB-induced BALB/c mouse",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29. No.2. pp. 175-183, (2012). 

  17. V. F. Carvalho, E. O. Barreto, A. C. S. Arantes, M. F. Serra, T. P. T. Ferreira, Y. A. P. Jannini-Sa, C. M. Hogaboam, M. A. Martins, P. M. R. Silva, "Diabetes downregulates allergen-induced airway inflammation in mice", Mediators of Inflammation, Vol.2018. pp. 1-11, https://doi.org/10.1155/2018/6150843, (2002). 

  18. M. Kashiwada, D. M. Levy, L. McKeag, "IL-4-induced transcription factor NFIL3/ E4BP4 controls IgE class switchin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s States of America', Vol.107, No.2. pp. 821-826, (2010). 

  19. V. F. Carvalho, E. O. Barreto, B. L. Diaz, "Systemic anaphylaxis is prevented in alloxan-diabetic rats by a mechanism dependent on glucocorticoids,"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Vol.472. No.3. pp. 221-227, (2003). 

  20. X. M. Lee, H. A. Lee, M. Kweon, E. S. Park, K.Y. Park, "Probiot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Journal of Korean Society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45. No.12. pp. 1717-1724, (2016). 

  21. C. M. Galdeano, S. I. Cazorla, J. M. L. Dumit, E. Velez, G. Perdigon, "Beneficial effects of probiotic consumption on the immune system", Annals of Nutrition and Metabolism, Vol.74. No.1 pp. 115-124, (2019). 

  22. M. Bacanlia, S. A. Dilsiza, N.Basarana, A. A. Basaran, "Effects of phytochemicals against diabetes", Advances in Food and Nutrition Research, Vol.89. No.2. pp. 209-238, (2019). 

  23. J. Y. Cha, Y. S. Cho, "Effect of stem bark extract from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concentrations of lipid and tissue lipid peroxidation in the cholesterol-fed rats",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33. No.1. pp. 128-134, (2001). 

  24. S. S. Kim, "Effects of Phellinus spp. extract on alcohol metabolic enzymes in alcohol-treated rats", Biomedical Science Letters, Vol.22. No.2. pp. 53-59, (2016). 

  25. Q. Mo, G. Zhou, B. Xie, B. Ma, X. Zang, Y. Chen, L. Cheng, J. H. Zhou, Y. Wang, "Evaluation of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Yigan mingmu oral liquid against acute alcohol-induced liver injury in rats", BMC Complementary Medicine and Therapies, Vol.20. No.1. pp. 32-41, (2020). 

  26. H. Horiguchi, E. Oguma, F. Kayama, M, Sato, M. Fukushima, "Dexamethasone prevents acute cadmium-induced hepatic injury but exacerbates kidney dysfunction in rabbits", Toxicology Applied Pharmacology, Vol.174. No.3. pp. 225-234, (2001). 

  27. A. I. Cederbaum, "Alcohol metabolism," Clinical Liver Disease, Vol.16. No.4. pp. 667-685, doi: 10.1016/j.cld.2012.08.002, (2013). 

  28. N. Z. Mohamed, H. I. Abd-Alla, H. F. Aly, M. Mantawy, N. Ibrahim, S. A. Hassan, " $CCl_{4}$ -induced hepatonephrotoxicity: protective effect of nutraceuticals on inflammatory factors and antioxidative status in rat", Journal of Applied Pharmaceutical Science, Vol.4. No.2. pp. 87-100, (2014). 

  29. A. R. Abdel-Sttar, M. M. Khalaf, A. M. Aboyoussed, A. A. Abosaif, "Ameliorative effect of hesperidin on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liver fibrosis in rat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eutical Sciences, Vol.9. No.7. pp. 45-51,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