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간 빅데이터의 개념 및 요구사항을 반영한 서비스 제공 방안
Providing Service Model Based on Concept and Requirements of Spatial Big Data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4 no.4, 2016년, pp.89 - 96  

김근한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전철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정휘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윤정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와 공간 빅데이터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공간 빅데이터를 빅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인식하고,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공간화 할 수 있으며, 시계열 변화에 따라 계속적으로 누적되는 모든 데이터들과 이를 이용할 수 있는 활용체계를 공간 빅데이터라 정의하였다. 따라서 공간 빅데이터는 기존 빅데이터와 분리하여 구분할 것이 아니라, 기존 빅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이해하고, 이러한 활용체계 안에서 공간 빅데이터의 활용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빅데이터가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 요구사항들을 제시하였다. 공간정보를 포함한 공간 빅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공간분석이 가능해야 하고, 기존에 구축된 공간정보와 향후 구축될 공간정보까지 고려할 수 있는 서비스 고려가 필요하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위치별 시계열 변화의 탐지는 물론 공간정보의 속성정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빅데이터 관련 분석이 가능해야 한다. 공간정보가 아닌 빅데이터 또한 공간정보와 연계하여 공간 분석이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공간 빅데이터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빅데이터들과 공간 빅데이터의 연계가 가능한 분석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샘플링 포인트 생성 및 속성정보 추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빅데이터와 연계된 공간정보의 활용 증대는 공간정보 산업 및 기술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 reviewing preceding studies of big data and spatial big data, spatial big data was defined as one part of big data, which spatialize location information and systematize time series data. Spatial big data, as one part of big data, should not be separated with big data and application methods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이러한 정의 기반으로 공간 빅데이터가 제공해야하는 기본적인 공간 빅데이터 서비스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샘플링 포인트 생성 및 속성정보 추출 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와 공간 빅데이터의 연구 사례들을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간 빅데이터의 정의를 내리고, 공간 빅데이터가 제공해야하는 요구사항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만족할 수 있는 공간 빅데이터 서비스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 그리고 이러한 정의 기반으로 공간 빅데이터가 제공해야하는 기본적인 공간 빅데이터 서비스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 빅데이터 서비스 제공을 위해 샘플링 포인트 생성 및 속성정보 추출 방안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 빅데이터를 빅데이터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써,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공간화 할 수 있으며, 해당 위치의 시계열 정보를 가지고 공간화 할 수 있는 모든 빅데이터들과 이를 이용할 수 있는 활용체계를 공간 빅데이터라 정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와 공간 빅데이터의 연구 사례들을 분석하여 빅데이터의 정의와 공간 빅데이터의 정의 및 특징들을 기반으로 공간 빅데이터의 정의를 내렸다.
  • 이러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공간 빅데이터와 다양한 빅데이터들과의 연계를 통한 공간분석 및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격자 기반의 포인트 샘플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위 방법은 Fig.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와 공간 빅데이터의 연구 사례들을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간 빅데이터의 정의를 내리고, 공간 빅데이터가 제공해야하는 요구사항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만족할 수 있는 공간 빅데이터 서비스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omura Research Institute는 빅데이터 3요소를 무엇이라고 정의하였는가? IDC는 다양한 종류의 대규모 데이터를 초고속 수집, 발견·발굴, 분석하여 가치 있는 정보를 경제적으로 추출하는 차세대 기술 및 아키텍처를 빅데이터 기술이라고 정의하였다(Gantz and Reinse, 2011). 그리고 Nomura Research Institute는 빅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인재·조직, 데이터 처리 ·축척 ·분석기술, 데이터 자원 등 을 데이터와 데이터처리기술 및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는 인재를 빅데이터 3요소로 정의하였다(Kim et al., 2013).
공간분석 및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공간 빅데이터는 어떤 특징 및 요구사항을 제공해야 하는가? 우선 공간정보를 포함한 공간 빅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공간분석이 가능해야 한다. 기본적인 중첩 연산과 거리로 부터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 근린연산, 공간적 분포와 영향을 알 수 있는 공간 상관분석 및 패턴분석과 핫스팟 분석 등 다양한 공간분석까지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공간 빅데이터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우선 공간정보 또한 지속적으로 구축 및 갱신되고 있어 기존에 구축된 공간정보와 향후 구축될 공간정보까지 고려할수 있는 서비스 고려가 필요하다. 지속적으로 구축 및 갱신되고 있는 공간정보들은 사용자에게 구축 또는 갱신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지속적으로 누적된 공간정보를 이용한 분석결과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공간정보들을 이용한 공간분석 뿐만 아니라 향후 지속적으로 구축, 저장될 공간정보의 공간분석 및 빅데이터 분석까지 고려하여 서비스를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위치별 속성정보의 시계열 변화를 탐지할 수 있어야 한다. 공간정보와 공간정보화 가능한 빅데이터의 특징은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되고 있다면 해당 위치마다 시계열 변화에 따른 정보의 변화를 파악할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공간정보의 속성정보들을 이용하여 빅데이터 관련 분석이 가능해야 한다. 공간정보에 포함된 속성정보들을 이용하여 기존 빅데이터들과의 조인(join)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해야 한다. 기초적 통계량 분석부터 회귀분석까지의 기초 통계 분석과 속성 값들의 유사/상관분석 및 예측분석까지 가능해야 하며 분류, 추정, 예측, 군집화 및 유사집단화의 기능을 포함한 고차원의 데이터 마이닝분석과 이러한 분석 결과의 시각 화도 가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간정보가 아닌 빅데이터들도 공간정보에 연계하여 공간 분석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와 공간정보의 조인을 통한 공간정보화, 주소와 지점 등을 좌표로 공간화 하는 지오코딩(geocoding), 텍스트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로부터 공간화 하는 지오 파싱(geoparsing), 아이덴티티(identity)와 같이 해당 위치의 속성 값을 추출하는 중첩(overlay) 등을 이용하여 빅데이터와 공간정보를 연계하여 공간분석을 수행할수 있어야 한다.
IDC는 빅데이터 기술을 무엇이라고 정의하였는가? 또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 관리, 분석, 활용하는 기술과 사람을 포함한 조직까지 아우르는 하나의 체계를 빅데이터로 정의하는 연구자, 연구기관도 있다. IDC는 다양한 종류의 대규모 데이터를 초고속 수집, 발견·발굴, 분석하여 가치 있는 정보를 경제적으로 추출하는 차세대 기술 및 아키텍처를 빅데이터 기술이라고 정의하였다(Gantz and Reinse, 2011). 그리고 Nomura Research Institute는 빅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인재·조직, 데이터 처리 ·축척 ·분석기술, 데이터 자원 등 을 데이터와 데이터처리기술 및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는 인재를 빅데이터 3요소로 정의하였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J. W., Yi, M. S and Shin, D. B., 2013, Study for spatial big data concept and system building,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 21, No. 5, pp. 43-51. 

  2. Beyer, M. A. and Laney, D., 2012, The importance of big data: a definition, Technical report, Gartner, USA, pp. 3-4. 

  3. Dijcks, J. P., 2014, Oracle: big data for the enterprise, Technical report, Oracle, USA, pp. 3-4. 

  4. Gantz, J. and Reinse, D., 2011, Extracting value from Chaos, Technical report, IDC, USA, pp. 1-12. 

  5. James, M. and Michael, C., 2011, Big data :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Technical report, McKinseyGlobal Institute, USA, p.1. 

  6. Kim, D. H. et al., 2014, The use of spatial big data for planning policy support, Research report, KRIHS, Republic of Korea, pp. 13-26. 

  7. Kim, D. J. and Yoon, S. Y., 2013, Big data utilization for monitoring territorial policy responses and predicting policy demand, Research report, KRIHS, Republic of Korea, pp. 21-69. 

  8. Kim, D. J., Hwang, M. H., Yoon, S. Y. and Seo, T. S., 2014, A study on building and utilization of spatial knowledge platform for scientific territorial planning(1), Research report, KRIHS, Republic of Korea, pp. 1-49. 

  9. Kim, H. S., 2014, Policy direction to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spatial big data system, Planning and Policy, Vol. 389, No. 4, pp. 6-11. 

  10. Kim, M. J., Kim, D. J. and Lee, Y. J., 2013, Spatial big data utiliztion for national land policy, Research report, KRIHS, Republic of Korea, pp. 21-69. 

  11. Lee, Y. J., Kim, M. J. and Em, E. S., 2014, Implementation of welfare and safety national land and application of spatial big data, Planning and Policy, Vol. 389, No. 4, pp. 12-21. 

  12. National Council on Informatization Strategies, 2011, Implementation of smart government using big data, Research report, National Council on Informatization Strategies, Republic of Korea, pp. 1-27. 

  13. Park, S. M et al., 2013, The new competitiveness of firms big data curation, Technical report, SERI, Republic of Korea, pp. 1-17. 

  14. Teradata, 2013, Teradata unified data architecture, Technical report, Teradata, USA, pp. 1-6. 

  15. Yi, M. S., Lee, C. H. and Kim, J. Y., 2014, Big data analysis on demands for environmental polices, Research report, KEI, Republic of Korea, pp. 5-9. 

  16. Yu, S. C., Choi, W. W., Shin, D. B. and Ahn, J. W., 2014, A Study on concept and services framework of geo-spatial big data,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 22, No. 6, pp. 1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