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대부하운동 후 20대 남성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폐기능과 심박수 회복 반응
The Pulmonary Function and Heart Rate Recovery Response of Smoker and Nonsmoker in Males Aged 20s after Graded Maximal Exercis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3 no.1, 2016년, pp.1 - 8  

김은정 (마산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pulmonary function and heart rate recovery of smoker and nonsmoker in males aged 20s after graded maximal exercise. Method :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smoker group (n=12) and nonsmoker group (n=12) in males aged 20s. Each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최대부하운동 후 흡연여부에 따른 심폐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고, 회복기 동안의 심폐기능 반응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부하검사로 알아낼 수 있는 것은? 심폐계 질환은 생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질환이므로 발병률의 증가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며,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심폐계 질환의 진단에 있어 가장 일반적이고 실용적으로 이용되는 검사는 운동부하검사(graded exercise test: GXT)이며, 안정 상태에서는 얻을 수 없는 심폐계 반응을 최대나 최대하 운동을 통해 관상동맥 질환이나 협심증과 같은 증상을 유발시키는 스트레스 수준을 알아낼 수 있다.
흡연은 무엇의 주요인인가? 노령 인구의 현저한 증가와 높은 흡연율로 인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이나 심혈관 질환의 유병율과사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흡연은 심폐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주요인이며, 세계보건기구에서 2020년이 되면 질병을 일으키는 요인 중 최대 단일요인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유재형 등, 2010). Murray와 Lopez(1996)가 흡연경향을 기반으로 사망률을 예측한 자료에 따르면 1990년 전세계적으로 6위를 점하고 있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이 2020년에는 3위에 올라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최대부하운동을 통해 심폐기능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은 중요한 이유는? 운동부하검사를 통해 폐기능 뿐만 아니라 운동 후의 심박수 변화를 알아보는 것도 중요하다. 운동 후 회복기 동안 심박수 회복은 자율신경계 활성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Cole 등(2000)은 건강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12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회복 심박 수의 지연이 전체 사망률의 예측인자임을 보고하였고, Morshedi-Meibodi 등(2002)은 심혈관계 질환이 없는 2,967명을 대상으로 평균 1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회복 심박수가 빠를수록 심장동맥 및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이 더 낮아진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최대부하운동을 통해 심폐기능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대식. 건강한 성인의 폐기능 검사 지표에 대한 연령, 체중, 신장과 흡연의 관련성.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003;21(2):429-440. 

  2. 김정주, 안재준, 이재문. 흡연이 대학교 테니스 선수들의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체육학논문집. 2000;28:287-298. 

  3. 보건복지부. 2010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서울: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1. 

  4. 양숙자. 흡연.금연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8;22(2):255-265. 

  5. 유재현, 유광욱. 흡연과 금연이 운동능력과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2006;8(4):185-194. 

  6. 유재형, 지용석, 김은경. 운동 전 흡연 유,무에 따른 $%SO_{2}$ , 무산소성 역치 및 심폐운동능력의 비교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0;40(2):659-666. 

  7. 윤남식, 이경옥, 김지연. 트레드밀 운동시 속도와 경사도에 따른 운동 역학적 변인의 특성 비교.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2001;5(1):49-68. 

  8. 최수희, 이광제, 이광호 등.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후 관상동맥 질환의 예측인자로서 회복기 첫 2분간 심박수 변화의 의의. 순환기 학회지 2007;37(9):432-436. 

  9. 최정근, 백도명, 이정오. 한국인의 정상 폐활량 예측치.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지 2005;58(3):230-242. 

  10.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9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13. 

  11. Aronow WS, Cassidy J, Vangrow JS et al. Effect of cigarette smoking and breathing carbon monoxide on cardiovascular hemodynamics in anginal patients. Circulation 1974;50(2):340-347. 

  12. Bruce RA, Kusumi F, Hosmer D. Maximal oxygen intake and nomographic assessment of functional aerobic impairment in cardiovascular disease. Am Heart J 1973;85(4):546-562. 

  13. Cole CR, Blackstone EH, Pashkow FJ et al. Heart-rate recovery immediately after exercise as a predictor of mortality. N Engl J Med 1999;341(18):1351-1357. 

  14. Cole CR, Joanne MF, Eugene HB et al. Heart rate recovery after submaximal exercise testing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a cardiovascular healthy cohort. Ann Intern Med 2000;132(7):552-555. 

  15. Conway TL, Cronan TA. Smoking,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Prev Med 1992;21(6):723-734. 

  16. Deniz F, Katircibasi MT, Pamukcu B et al. Association of metabolic syndrome with impaired heart rate recovery and low exercise capacity in young male adults. Clin Endocrinol 2007;66(2):218-223. 

  17. Elder JP, Wildey M, Moor CD et al. The long-term prevention of tobacco use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lassroom and telephone interventions. Am J Public Health 1993;83(9):1239-1244. 

  18. Ezzati M, Henley SJ, Thun MJ et al. Role of smoking in global and regional cardiovascular mortality. Circulation 2005;112(4):489-497. 

  19. Flecher C, Peto R, Tinker C et al. The natural history of chronic bronchitis and emphysema.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76. 

  20. George P, Dimitris G, George G et al. Effects of chronic smoking on exercise tolerance and on heart rate-systolic blood pressure product in young healthy adults. Eur J Cardiovasc Prev Rehabil 2007;14(5):646-652. 

  21. Huang PH, Leu HB, Chen JW et al. Usefulness of attenuated heart rate recovery immediately after exercise to predict endothelial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suspected coronary artery disease. Am J Cardiol 2004;93(1):10-13. 

  22. Kim DJ, Noh JH, Lee BW et al. A white blood cell count in the normal concentration range is independently related to cardiorespiratory fitness in apparently healthy Korean men. Metabolism 2005;54(11):1448-1452. 

  23. Lauer MS, Okin PM, Larson MG et al. Impaired heart rate response to graded exercise: prognostic implications of chronotropic incompetence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1996;93(8):1520-1526. 

  24. Mokdad AH, Marks JS, Stroup DF et al. Actual causes of death in the United States, 2000. JAMA 2004;291(10):1238-1245. 

  25. Morshedi-Meibodi A, Larson MG, Levy D et al. Heart rate recovery after treadmill exercise testing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events (the Framingham Heart Study). Am J Cardiol 2002;90(8):848-852. 

  26. Murray CJL, Lopez AD. Evidence-based health policy; lesson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Science 1996;274(1):740-743. 

  27. Myers J, Prakash M, Froelicher V et al. Exercise capacity and mortality among men referred for exercise testing. N Engl J Med 2002;346(11):793-80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