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의 비례 추론 능력 분석
5th and 6th Grade Korean Students' Proportional Reasoning Abilities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4, 2016년, pp.819 - 838  

정영옥 (경인교육대학교) ,  정유경 (당동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와 비율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배운 5학년 학생들과 비례와 비례식 및 형식적인 전략까지 배운 6학년 학생들의 비례추론 능력을 비교 분석하고, 초등학교의 비례 추론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학년 131명과 6학년 138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과제로 구성된 비례 추론 검사를 실시하여 성취도와 전략을 분석하고, 일부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의 평균은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크지 않았고, 과제 유형별로는 5, 6학년 모두 기하 과제보다는 대수 과제, 질적 과제보다는 양적 과제, 비교 과제보다는 미지값 과제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5, 6학년 모두 형식적 전략보다는 인수 전략과 단위 비율 전략 같은 비형식적 전략을 훨씬 더 많이 사용하였고, 비례 상황과 비 비례 상황을 구분하는 데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비례 추론 지도를 위한 시사점으로 다양한 비례 추론 과제의 도입과 학생들의 유연한 전략의 중시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nalyzed proportional reasoning abilities of the 5th grade students who learned only the basis of ratio and rate and 6th grade students who also learned proportion and cross product strateg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roportional reasoning tests and the interviews, and the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와 비율의 기본적인 개념을 배운 5학년 학생들과 비례와 비례식 및 형식적 전략까지 배운 6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정답률과 전략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비례 추론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장에서는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의 전반적인 정답률과 학년별, 문항별, 과제 유형별 정답률을 살펴보고, 학년과 과제 유형에 따라 정답률이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5학년과 6학년의 정답자들이 어떠한 비례 추론 전략을 사용하였는지 상세히 알아보고, 학년에 따라 학생들이 사용한 비례 추론의 전략의 유형에 차이점이 존재하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 검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연구자들이 각 학급에 방문하여 학생들에게 검사를 실시하는 의도를 설명하고, 성실하게 임하여 줄 것을 부탁하였다. 또한 연구자들은 학생들이 검사에 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연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질문에 답변하였다. 학생들이 해결한 검사지를 모두 수거한 후, 문항에 대한 답변의 성실성을 살펴 5학년 131명, 6학년 138명의 검사지를 선별하였다.
  • , 2012; Billings, 2001, The School Mathematics Project, 2003)에서 사용한 비례 추론 과제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구성된 20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진 비례 추론 검사지를 마련하였다. 문항의 맥락은 우리나라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상황으로 재구성하여 문항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례 추론은 학교수학을 관통하는 내용일 뿐만 아니라 수학 외적인 학문이나 일상생활에 매우 핵심적인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제한된 과제 유형을 다루는 것과 형식적 전략 위주의 지도를 들고 있지만,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여전히 비와 비율의 의미를 다룬 후에 비례식을 중심으로 제한된 과제 유형을 다루면서 형식적 전략 위주의 지도를 하고 있으므로, 비와 비율의 의미를 주로 다루는 5학년과 학생들과 비례와 비례식 및 형식적 전략까지 배운 6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성취도와 전략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비례 추론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 장에서는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의 전반적인 정답률과 학년별, 문항별, 과제 유형별 정답률을 살펴보고, 학년과 과제 유형에 따라 정답률이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5학년과 6학년의 정답자들이 어떠한 비례 추론 전략을 사용하였는지 상세히 알아보고, 학년에 따라 학생들이 사용한 비례 추론의 전략의 유형에 차이점이 존재하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amon(1993)이 제시한 비례 추론 전략은? 학생들의 비례 추론 전략은 매우 다양한데, 양적 과제와 관련된 전략은 연구가 많이 되어 있으나 질적 과제에 대한 전략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양적 과제와 관련해서 Ben-Chaim 외(2012)는 시행착오 전략, 구성 전략, 합성단위 전략,단위비율 전략, 전체 부분 전략, 대각선 곱 전략, Kastberg, D'Ambrosio 그리고 Lynch-Davis(2012)는질적 추론 전략, Lamon(1993)은 세기와 모델링전략, 단위화 전략, 시행착오 전략, 단위비율 전략, 구성 전략, 합성 단위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한편, Langrall과 Swafford(2000)는 임의전략, 덧셈전략, 세기와 모델링 전략, 구성 전략, 직관적 전략, 단위화 전략, 단위비율 전략, 스칼라 인수 전략, 동치비 전략을 제시하고, 학생들의 비례 추론 전략의 수준을 비(非) 비례 추론 수준, 비형식적 추론 수준, 양적 추론 수준, 형식적 추론 수준으로 구분하여, 각 수준에 적합한 전략으로 분류하였다.
비례추론은 수학의 어떤 부분과 관련되어 있는가? 비례 추론은 수학 내적으로 학교수학의 핵심일 뿐만 아니라 수학 외적으로 많은 학문의 영역과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Ben-Chaim, Keret, & Ilany, 2012; Dole, Clarke, Wright, Hilton, & Roche, 2008; Langrall & Swafford, 2000; Lesh, Post, & Behr, 1988). 비례추론은 수와 연산 영역에서 분수, 소수, 곱셈, 나눗셈, 도형에서 닮음과 삼각법, 측정에서 단위환산, 함수에서 기울기나 미분계수, 확률에서 비율, 통계에서의 다양한 자료의 비교 상황 등 수학의 많은 부분과 관련되어 있고, 지리학에서 인구밀도나 축척, 과학에서 속도, 힘, 중력, 농도, 에너지, 경제학에서의 이익과 손실, 역학에서의 운동, 건축이나 예술에서의 다양한 비, 일상생활에서 약이나 음식의 성분 등과 같이 다양한 부분과 관련되어 있다.
비례추론 과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이유는? 이런 비례 추론 능력은 단기간에 걸쳐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발달하며, 학생들뿐만 아니라 성인들의 경우에도 비례추론 과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보인다(Adjiage & Pluvinage, 2007; Harel, Behr, Lesh, & Post, 1994; Karplus, Pulos, & Stage, 1983; Langrall & Swafford, 2000; Tournaire & Pulos, 1985). 이런 어려움을 겪는 원인으로는 근본적으로 비례 개념 자체가 많은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학생들이 경험하는 과제 유형이 매우 제한적이고 학생들 자신의 비형식적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형식적 전략을 강조하는지도 방식 때문이기도 하다(정은실, 2013; 정영옥, 2015; Ben-Chaim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고은성?이경화(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비례 추론 능력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7(4), 359-380. 

  2. 교육과학기술부(2011a). 수학 6-1. 서울: 두산동아(주). 

  3. 교육과학기술부(2011b). 수학과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교육 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2012). 수학 5-2. 서울: 두산동아(주). 

  5. 교육부(2014). 수학 6-1 지도서. 서울: 두산동아(주). 

  6. 교육부(2016). 과학 5-1. 서울: 천재교육(주). 

  7. 김경선?박영희(2007). 초등학생의 비례 추론 지도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9(4), 447-466. 

  8. 김경희?백희수(2010). 비와 비율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TIMSS 평가 목표와 공개문항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2(4), 473-491. 

  9. 안숙현?방정숙(2008). 5, 6, 7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실태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18(1), 103-121. 

  10. 이종욱(2006). 4학년 아동의 비와 비례 개념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2), 157-177. 

  11. 임재훈?이형숙(2015). 비례추론을 돕는 시각적 모델에 대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를 대상으로. 수학 교육학연구, 25(2), 189-206. 

  12. 정영옥(2015). 초등학교에서 비례추론 지도에 관한 논의. 수학교육학연구, 25(1), 21-58. 

  13. 정유경?정영옥(2015). 초등학생들의 비례 추론 전략 분석-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457-484. 

  14. 정은실(2013).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의 비례 추론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4), 505-516. 

  15. 홍지연?김민경(2013). 초등수학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비례적 추론. 학교수학, 15(4), 723-742. 

  16. Adjiage, R. & Pluvinage, F. (2007). An experiment in teaching ratio and propor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5, 149-175. 

  17.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ACARA) (2013a). F-10 Curriculum. http://www.australiancurriculum.edu.au/ 

  18.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ACARA) (2013b). F-10 Curriculum. http://www.australiancurriculum.edu.au/ 

  19. Behr, M. J., Harel, G., Post, T., & Lesh, R. (1992). Rational Number, Ratio, and Proportion. In D. A. Grouw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 Project of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p. 296-331).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0. Ben-Chaim, D., Fey, J. T., Fitzgerald, W. M., Benedetto, C., & Miller, J. (1998). Proportional reasoning among 7th grade students with different curricular experienc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6(3) 247-273. 

  21. Ben-Chaim, D., Keret, Y., & Ilany, B. S. (2012). Ratio and Proportion. Research and Teaching in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Pre-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lasses). Rotterdam, AW: Sense Publishers. 

  22. Billings, E. M. H. (2001). Problems that encourage proportion sense.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7(1), 10-14. 

  23.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CCSSI) (2010). Common Core Standards for Mathematics. http://www.corestandards.org/wp-content/uploads/ Math_Standards.pdf. 

  24. Cramer, K., Post, T., & Currier, S. (1993). Learning and teaching ratio and proportion: Research implications. In D. T. Owens(Ed.), Research Ideas for the Classroom: Middle Grades Mathematics (pp. 159-178).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5. Curriculum Planning Development Division(CPDD) (2012). O-& N(A)-Level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Syllabus.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6. Department for Education(DfE) (2013). Mathematics Programmes of Study: Key Stage 3,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https://www.gov.uk/ government/publications/nationalcurriculum-inengland- mathematics-programmes-of-study. 

  27. Department for Education(DfE) (2014). Mathematics Programmes of Study: Key Stage 4,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https://www.gov.uk/ government/publications/nationalcurriculum-inengland- mathematics-programmes-of-study. 

  28. Dole, S., Clarke, D., Wright, T., Hilton, G., & Roche, A. (2008). Eliciting growth in teachers' proportional reasoning: Measuring the impact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In M. Goos, R. Brown, & K. Makar(Eds.) Proceedings of the 31st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163-168. 

  29. Freu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30. Harel, G., Behr, M., Lesh, R., & Post, T. (1994). Invariance of ratio: The case of children's anticipatory scheme for constancy of tast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5(4), 324-345. 

  31. Karplus, R., Pulos, S., & Stage, E. (1983). Early adolescents' proportional reasoning on 'rate' problem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4(3), 219-233. 

  32. Kastberg, S. E., D'Ambrosio, B., & Lynch-Davis, K. (2012). Understanding proportional reasoning for teaching. Australian Mathematics Teacher, 68(3), 32-40. 

  33. Lamon, S. J. (1993). Ratio and proportion: Children's cognitive and metacognitive processes. In T. P. Carpente, E. Fennema, & T. A. Romberg (Eds.), Rational Numbers An Integration of Research(pp. 131-156). New Jersey, Hillsdale: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34. Lamon, S. J. (2005). Teaching Fractions and Ratios for Understanding. New Jersey: Lawrence Erbaum Associates, Inc., Publishers. 

  35. Langrall, C. W., & Swafford, J. (2000). Three balloons for two dollars: Developing proportional reasoning.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6(4), 254-261. 

  36. Lanius, C. A., & Williams, S. E. (2003). Proportionality: A unifying theme for the middle grades.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8(8), 392-396. 

  37. Lesh, R., Post, T., & Behr, M. (1988). Proportional Reasoning. In J. Hiebert & M. Behr (Eds.) Number Concepts and Operations in the Middle Grades(pp. 93-118).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38. Post, T., Behr, M., & Lesh, R. (1988). Proportionality and the development of pre-algebra understandings. In A. Coxford & A. Shulte (Eds.) The Idea of Algebra K-12 (1998 Yearbook, pp. 78-90).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9. Reys, R. E., Lindquist, M. M., Lamdin, D. V., & Smith, N. L. (2012).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박성선.김민경.방정숙.권점례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9년 출판). 

  40. Shield, M., & Dole, S. (2013). Assessing the potential of mathematics textbooks to promote deep lear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2(2), 183-199. 

  41. The School Mathematics Project(2003). SMP Interact Practice for Book 8T.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Tourniaire, F., & Pulos, S. (1985). Proportional reason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6(2), 181-204. 

  43. Van de Walle, J. A. (2008). 수학을 어떻게 가르 칠 것인가. (남승인 외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4년 출판). 

  44. Van Dooren, W., De Bock, D., Hessels, A., Janssens, D., & Verschaffel, L. (2005). Not everything is proportional: Effects of age and problem type on properties of Overgeneralization. Cognition and Instruction, 23(1), 57-86. 

  45. Van Dooren, W., De Bock, D., Janssens, D., & Verschaffel, L. (2008). The Linear imperative: An inventory and conceptual analysis of students' overuse of linearit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9(3), 311-342. 

  46. Vergnaud, G. (1988). Multiplicative structures. In J. Hiebert, & M. Behr (Eds.), Number Concepts and Operations in the Middle Grades, Vol. 2 (pp. 141-161).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