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게임 변형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탐구 경험
Pre-Service Primary Teachers' Mathematical Investigation Through Transforming Mathematical Games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6 no.1, 2016년, pp.143 - 157  

이동환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게임을 변형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경험한 수학적 탐구 활동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기존의 수학적 게임을 변형하거나 새로운 게임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문제 제기, 수학적 추측과 반박, 새로운 수학적 표현 생성 등의 수학적 탐구 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학적 탐구의 경험은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학적 게임 변형 활동이 예비교사에게 수학적 탐구의 기회를 제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mathematical games as a way to provide primary pre-service teachers with doing mathematics. The game had induc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ransforming the game, the teachers have been able t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의 수업 방식을 바꾸는 효과적인 방법은? 교사의 수업 방식을 바꾸는 효과적인 방법은 교사에게 그러한 수업방식의 효과를 설명하기보다 교사에게 새로운 수업방식으로 학습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Crespo & Sinclair, 2008). 다시 말해, 교사가 자신의 학생에게 가르치고 싶은 학습 경험이 있다면, 교사가 학습자로서 그러한 경험을 먼저 할 필요가 있다.
수학적 탐구란? 최근 수학 교육에서 수학적 탐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Artigue & Blomhøj, 2013; Dorier &Garcia, 2013; Leikin & Grossman, 2013). 수학적 탐구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수학자들이 수학을 연구하는 사고방식을 가리키며,특히 학생 스스로 어떤 현상을 관찰하여 수학적 추측과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검증하는 활동을 강조한다. 그러나 한정된 시간 내에 가르쳐야 할 내용이 이미 정해져 있는 학교수학의 현실에서 학생들에게 수학적 탐구의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을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김진환, 박교식, 2008; Movshovitz-Hadar, 2011; Ponte, 2007).
교사가 자신의 학생에게 가르치고 싶은 학습 경험이 있다면, 교사가 학습자로서 그러한 경험을 먼저 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관련된 연구사례는? 이러한 관점에 근거한 교사교육 연구가 상당수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김진환, 박교식(2008)은 학생들에게 수학화를 안내해야 하는 예비중등교사가 교사교육 과정에서 수학화를 경험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화 학습 단원을 설계하였다. 이동환(2013)은 Lakatos 방법론을 적용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수학적 추측을 제기하고 이를 개선하는 경험을 제공하였다. CBMS(2012)는 예비교사에게 수학자처럼 수학을하는는 경험을 제공해야 그들이 교사가 되어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수학수업을 실천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진환, 박교식(2008). 예비중등교사의 수학화 학습을 위한 교수단원의 설계: 분할모델과 일반화된 피보나치 수열 사이의 관계 탐구. 수학교육학연구, 18(3), 373-389. 

  2. 배신영, 송상헌(2015). 초등학교 영재학급에서 유추를 활용한 위도프 게임의 해법 탐구 지도 방법. 수학교육학연구, 25(1), 95-111. 

  3. 성예원, 송상헌(2013). 모둠별 게임 변형을 통한 초등수학영재들의 수학적 정교화 과정 분석. 학교수학, 15(3), 619-632. 

  4. 이동환(2013). 초등 예비교사교육에서 Lakatos 방법론의 적용과 효과. 수학교육학연구, 23(4), 555-568. 

  5. Artigue, M., & Blomhoj, M. (2013). Conceptualizing inquiry-based education in mathematics. ZDM, 45(6), 797-810. 

  6. Bragg, L. A. (2012).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al games as a pedagogical tool for children's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vol. 10, no. 6, pp. 1445-1467. 

  7. Cobb, P and Yackel, E. (1998).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on the Culture of the Mathematics Classroom, in Seeger, F., Voigt. J. and Waschescio, U. (eds.): The Culture of the Mathematics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58-190. 

  8. Conference Board of the Mathematical Sciences (2012). The Mathematical Education of Teachers II. Providence RI and Washington DC: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and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9. Crespo, S., & Sinclair, N. (2008). What makes a problem mathematically interesting? Inviting prospective teachers to pose better problem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1(5), 395-415. 

  10. Dorier, J. L., & Garcia, F. J. (2013).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inquiry-based learning in day-to-day teaching. ZDM, 45(6), 837-849. 

  11. Freudenthal, H. (2008). 프로이덴탈의 수학교육론. (우정호 외 역), 서울: 경문사. (영어원작은 1991년 출판) 

  12. Leikin, R., & Grossman, D. (2013). Teachers modify geometry problems: from proof to investig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2(3), 515-531. 

  13. Movshovitz-Hadar, N. (2011): Bridging Between Mathematics and Education Courses, The Case of Strategy Games as Generators of Problem Solving Tasks. In Zaslavsky & Sullivan(Eds.), Constructing Knowledge for Teaching Secondary Mathematics. 117-140. 

  14. Ponte, J. P. (2007). Investigations and exploration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ZDM, 39, 419-430. 

  15. Silver, E. (1994).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4(1), 19-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