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에 대한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Nurses' Acceptance of Patient Death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9 no.1, 2016년, pp.34 - 44  

이미정 (대경대학교 간호학과) ,  이정섭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 개념의 속성을 규명하여 임종간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의 개념분석 과정을 따랐다.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 개념의 사용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였다.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 개념의 속성을 찾고 조작적 정의를 내리기 위해 국내 논문 중 1999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간호사의 환자죽음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16편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의 선행요인은 간호사의 환자죽음 경험, 혼돈과 갈등, 부정적 감정, 수동적 대처, 환자죽음 회피로 확인되었다.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 속성은 애도를 통해 도달, 삶을 반추하며 삶과 죽음의 통찰력 획득, 의연하게 바라보기, 인간 존엄 실천하기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정의는 '환자죽음을 경험한 간호사가 애도를 통해 도달하는 단계로써 자신의 삶을 반추해서 삶과 죽음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환자죽음을 의연하게 바라보며 인간 존엄을 간호 현장에서 실천하는 것'이다.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의 결과는 전인적인 임종간호, 적극적인 삶 추구로 확인되었다. 결론: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 개념의 속성과 조작적 정의는 실무 적용 가능한 임종간호 중재 방안 마련과 이론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a theoretical basis of end-of-life care by examining attributes of the concept of the nurses' acceptance of patient deaths. Methods: Walker and Avant's approach to concept analysis was used. A literature study was performed to check the usage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개념분석을 통해서 개념의 기본 속성을 근본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고 의사소통을 증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13)의 연구 방법을 통해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 개념의 속성을 규명하여 임종간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죽음이란 무엇인가? 죽음은 출생과 같이 누구나 한 번은 겪게 되는 삶의 한 과정이다. 타인의 죽음도 질병과 사고, 천재지변, 전쟁 등을 통하여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보편적인 현상이다.
간호사는 임종간호를 통해 무엇을 겪는가? 간호사는 임종간호를 통해서 죽어가는 과정에 있는 환자가 한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고, 신체적으로 평안하고 죽음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죽음 후의 존재에 대한 희망을 품도록 돕는다(5). 그러나 간호사는 임종을 앞둔 환자를 돌보면서 복합적이고 강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무력감과 소진감, 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한다(6).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의 선행요인은 무엇인가?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 개념의 속성을 찾고 조작적 정의를 내리기 위해 국내 논문 중 1999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간호사의 환자죽음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16편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의 선행요인은 간호사의 환자죽음 경험, 혼돈과 갈등, 부정적 감정, 수동적 대처, 환자죽음 회피로 확인되었다. 간호사의 환자죽음 수용 속성은 애도를 통해 도달, 삶을 반추하며 삶과 죽음의 통찰력 획득, 의연하게 바라보기, 인간 존엄 실천하기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o GH, Cho IS. Attitudes towards death and euthanasia among nurses and general population. J Korea Contents Assoc 2015;15: 229-40. 

  2. Kubler-Ross E. On death and dying. New York:Macmillan; 1969. 

  3. Yi GH. Death acceptance and religion in the case of Koreans. Survey Res 2009;10:131-56. 

  4. Statistics Korea [Internet]. Daejeon: 2013 birth and death statistics; 2014 [cited 2015 Sep 2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 bmoderead&aSeq311884&pageNo1&rowNum10&amSeq&sTargettitle&sTxt. 

  5. Kim JH, Chun CJ, Kim BH. A study on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s and nurses. J Korean Acad Adult Nurs 1992;4:5-16. 

  6. Kang SY, Lee BS.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01;7:237-51. 

  7. Yi MS.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in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2003;33:553-61. 

  8. Jeong MK.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erminal care by nurses in the hospice.palliative care unit. Qual Res 2012;13: 50-65. 

  9. Ahn SY, Kim HK, Kong ES, Kim NC, Kim CG, Song MS, et al. Nurses' experience of end of life care for older adults. J Korean Gerontol Nurs 2014;16:118-29. 

  10. Yi MJ, Lee JS. Nurses' experiences of the death of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2015;45:513-22. 

  11. Rooda LA, Clements R, Jordan ML.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and caring for dying patients. Oncol Nurs Forum 1999; 26:1683-7. 

  12. Zimmermann C. Acceptance of dying: a discourse analysis of palliative care literature. Soc Sci Med 2012;75:217-24. 

  13. Walker LO, Avant KC.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5th ed. Boston:Prentice Hall;2011. 

  14. McLeod-Sordjan R. Death preparedness: a concept analysis. J Adv Nurs 2014;70:1008-19. 

  15. Kang HS. Adult development and aging psychology. 2th ed. Seoul:Pakyoungsa;2012. 

  16. Lee GJ, Hwang KH, Ra JR, Hong JA, Park CS. Concept analysis of good death. J Res Inst Hosp Palliat Care 2006;10: 23-39. 

  17.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ternet]. Standard Korean dictionary. [cited 2015 Sep 25]. Available from: http://stdweb2.korean.go.kr. 

  18. Wong PTP, Reker GT, Gesser G. Death attitude profile-revised: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attitudes toward death. In: Neimeyer RA, ed. Death anxiety handbook: research, instrumentation, and application. Washington, DC:Taylar & Francis;1994. p. 121-48. 

  19. Klug L, Sinha A. Death acceptance: a two-component formulation and scale. J Death Dying 1988;18:229-35. 

  20. Kim KJ. On the problem of 'Exclusion of Death' in the society today(II). Theological Forum 2002;30:113-39. 

  21. Cicirelli VG. Fear of death in mid-old age.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2006;61:75-81. 

  22. Jang HS, Choi YI.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fear and death acceptance. Kor J Develop Psychol 2008;21:59-76. 

  23. Lee MR. Concept development of grief-focusing on the process of spousal bereavement. J Korean Acad Nurs 2007;37:1119-30. 

  24. Lee YJ, Jo KH, Lee HJ. The trend and issues of research on bereavement. Korea J Counsel 2007;8:839-57. 

  25. Lee J, Choi M, Kim SS, Kim H, Kim D. Korean nurses' perceived facilitators and barriers in provision of end-of-life care. Int J Nurs Pract 2013;19:334-43. 

  26. Hwan JY, Kim MO, Cheon S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ourning scale for adults. J Rehabilitation Psychol 2014;21:537-60. 

  27. Stroebe M, Stroebe W. Does "grief work" work? J Consult Clin Psychol 1991;59:479-82. 

  28. Choi WJ, Choi HG, Park SH, Jeong HS, Moon MH, Guak YY, et al. The experiences of nurse caring for dying patient. J Korean Clin Nur Res 1999;4:37-59. 

  29. Jo KH, Han HJ. Nurses' painful experiences through terminal patient. J Korean Acad Nurs 2001;31:1055-66. 

  30. Noh JH, Eom JY, Yang KS, Park HS. New nurses' experience on care of dying patients. Qual Res 2009;10:51-62. 

  31. Cho MO. Experiences of ICU nurses on temporality and spatiality in caring for dying patients. Qual Res 2010;11:80-93. 

  32. Kang HJ, Bang KS.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experience in caring for infants who are dying. Child Health Nurs Res 2013;19:252-61. 

  33. Kim BH, Kang HJ. Experience of home-based hospice care of terminal-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4;17: 223-31. 

  34. Oh JT. Our society lacks greatly in understanding death.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1;14:13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