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분석: 2009개정 과학과 4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Analysis of the Characters' Role Presenting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Targeting the 2009 Revised Science 4th-Grade Textbook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1, 2016년, pp.167 - 175  

성승민 (철산초등학교) ,  채희인 (합정초등학교) ,  임희준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과학 교과서에 새롭게 추가된 캐릭터의 역할 범주화, 역할 및 발문 분석을 통해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캐릭터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추후 교과서 제작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9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과학 교과서 중 4학년 교과서이다. 분석방법은 분석 대상 선정 및 분석틀 개발, 캐릭터 역할 분석, 발문 분석이다. 연구 결과, 캐릭터의 역할 유형은 자료제공, 동기유발, 탐구 활동 안내, 탐구결과 순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교과서 속 캐릭터를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생명 영역이 자유탐구, 에너지, 물질, 지구 영역보다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문 유형 분석 결과는 확산적, 예상적, 적용적, 재인적 발문 순으로 나타났고 회상적, 평가적 발문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그림과 텍스트의 결합 형태로 제시되는 캐릭터의 역할을 범주화하고 그 역할을 규명하여 실제 교과서 속에 활용된 캐릭터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는 앞으로 초등 과학 교과서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유기적인 캐릭터 활용에 시사점을 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eaning of characters used in science textbooks by analyzing the roles of the characters on the 2009 revised science textbooks and the extracted sentences and see if there are indications referable to compiling future science textbooks by finding out where the cha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과학 교과서에 새롭게 도입된 캐릭터를 분석하고 유목화하여 그 역할을 범주화하고, 이렇게 마련된 분석틀을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여 캐릭터의 역할 분포를 살펴보았다. 또한, 캐릭터에 포함된 발문의 기능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초등 과학 교과서에 새롭게 도입된 캐릭터의 역할과 발문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그 시사점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9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4학년 교과서에 새롭게 추가된 캐릭터의 역할 범주화, 캐릭터의 역할 분석 및 발문 분석을 통해 캐릭터 삽화의 활용에 대한 기초 정보와 시사점을 탐색하여 추후 교과서 속 캐릭터 활용 방향을 고민해보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과학 교과서 속 캐릭터 삽화의 향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과학 교과서 속 캐릭터 삽화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과학 교과서 속 탐구활동, 실험방법, 텍스트, 일반적 삽화 등의 영역은 기존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본 연구에서 다룬 캐릭터 삽화는 아직 연구가 미비한 주제이다.
  • 본 연구는 기존의 교과서 속 삽화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2009개정 교과서에 새롭게 도입된 캐릭터를 분석하는 것이 목표이다.
  • 자료제공은 개념 및 정의 제공, 부연 설명 등의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탐구결과는 결과 예상, 결과 제시 등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캐릭터 삽화 분석에 적절한 분석틀을 범주화하여 구체적인 과정 및 방법 속의 예시도 함께 제시하였다. 추후 캐릭터 삽화 역할 분석에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캐릭터 삽화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 또한, 캐릭터에 포함된 발문의 기능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초등 과학 교과서에 새롭게 도입된 캐릭터의 역할과 발문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그 시사점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개정 과학 교과서에 새롭게 도입된 캐릭터를 분석하고 유목화하여 그 역할을 범주화하고, 이렇게 마련된 분석틀을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여 캐릭터의 역할 분포를 살펴보았다. 또한, 캐릭터에 포함된 발문의 기능도 함께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자료란? 이처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교과서를 수업 속에서 활용할 때, 교과서에 제시된 언어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있는 시각자료도 학생들의 이해에 도움이 된다(Pozzer‐Ardenghi & Roth, 2005). 시각자료란 글로 표현된 것 이외의 모든 것으로 사진, 그림, 그래프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Latour, 1987; Han & Roth, 2006).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을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의 하나로 삽화와 같은 시각자료를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고할 수 있다(Armbruster, 1993; Choi & Lee, 1998).
과학 교과서에 삽화와 같은 시각자료가 적절히 제시된다면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가? 삽화를 잘못 제시하면 잘못된 해석을 할 수도 있지만(Ametller & Pintó, 2002), 다른 교과와 비교해서 과학 교과서는 삽화가 개념 형성과 학습 이해에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에 삽화는 텍스트를 통한 의미 전달만큼이나 유의한 효과가 있다(Jeong, 1993). 과학 교과서의 경우 과학적 지식 및 탐구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삽화가 제시되는 경우가 많으며, 적절하게 제시된 삽화는 학생들의 과학적 지식의 이해 및 교육적 효과를 높여준다(Chung et al., 2007).
교과서의 의의는? , 2003). 즉, 교과서는 학교 교육을 학생들이 경험할 수있도록 해주는 대표적 수단이고(Lee, 2012), 교수⋅학습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의 성격과 내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자료이다(Choi & Lee, 1998; Jung,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bruscato, J. (1988). Teaching children science.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c. 

  2. Ainsworth, S. (1999). The functions of multiple representations. Computers & Education, 33(2), 131-152. 

  3. Ametller, J. & Pinto, R. (2002). Students' reading of innovative images of energy at secondary school leve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3), 285-312. 

  4. Armbruster, B. B. (1993). Reading to learn. The Reading Teacher, 46(4), 346-357. 

  5. Ball, D. L. & Feiman-Nemser, S. (1998). Using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A dilemma for beginning teacher and teacher educators. Curriculum Inquiry, 18, 401-423. 

  6. Bang, H. K. & Park, J. K. (2012). Analysis of Inscriptions Used in Life Science Domain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iology Education, 40(3), 279-289. 

  7. Blosser, P. E. (1987). Handbook of effective questioning techniques (Song, Y., Trans). Seoul: Baeyoungsa. (Original work published 1973). 

  8. BSCS Scinece T.R.A.C.S. (2002). Investigating Human Systems 5. Colorado: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9. Cha, J. H., Kim, S. Y. & Noh, T. H. (2004). An Analysis of Illustrations from Secondary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Aspect of Gender-Role Stereotyp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6), 1181-1188. 

  10. Chang, D. H. (2010). Method of instruction and the class for character in elementary art. Th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Art Education Association, 27, 159-183. 

  11. Cho, H. H. & Choi, K. H. (2005). The theory and practice of science education. Seoul: Kyoyookbook. 

  12. Choi, B. S. (1993). The structure and system of the new science textbook.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Winter Seminar book. 24-33. 

  13. Choi, M. S. & Kim, Y. G. (2012). The Comparative Analysis of Questions in the Matter Uni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etween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vised Curriculum Year 2007.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3), 347-357. 

  14. Choi, Y. M. & Lee, H. C. (2012). The Analysis on Patterns of Question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unde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 120-129. 

  15. Choi, Y. R. & Lee, H. C. (1998), The illustration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7(2), 45-53. 

  16. Chung, J. I., Han, J. Y., Kim, Y. J., Paik, S. H. & Song, Y. W. (2007).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accompanying inscriptions use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5), 525-534. 

  17. Colbert, J. T., Olson, J. K. & Clough, M. P. (2007). Using the web to encourage student-generated questions in large-format introductory biology classes. CBE-Life Sciences Education, 6(1), 42-48. 

  18. Han, J. & Roth, W. M. (2006). Chemical inscriptions in Korean textbooks: Semiotics of macro- and microworld. Science Education, 90(2), 173-201. 

  19. Harms, N. C. & Yager, R. E. (1981).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Vol 3. Washington, DC: NSTA. 

  20. Hoang, Y. J. & Geong, M. Y. (2009). The Needs of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A New Visual Culture Environment. Journal of Art Education, 25, 187-212. 

  21. Jang. K. B. & Shin, D. H. (2013). An Analysis of Eye Movement and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Science Textbook Illustration.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4(4), 147-166. 

  22. Jeong, W. H. (1993). Directions for organization of new science textbooks.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Winter Seminar book. 52-72. 

  23. Jung, J. S. (2007). A critical review on the policy of textbook in Korea. Youth Culture publishes Forum, 16, 202-231. 

  24. Kang, H. S., Yoon, J. H. & Lee, D. H. (2008). Analysis on the Uses of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3-6th Grad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7(2), 158-169. 

  25. Kim, D. H. (2007). A Study on the Adequacy of the 'Inquiry Activities' in Highschool 'Law and Society' Textbook.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1(1), 341-364. 

  26. Kim, H. G., Shin, M. K., Lee, G. H. & Kwon. G. P. (2014). The Types, Roles and Socio-semiotic Features of Visual Material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3), 641-656. 

  27. Latour, B. (1987) Science in action: How to follow scientists and engineers through society. Open University Press, Milton Keynes, UK, 271. 

  28. Lee, C. H. & Kwon. C. S. (2013). Comparison of Illustration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Singapo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6(1), 13-19. 

  29. Lee, J. A. (2011). The Linguistic Analysis of Visual Image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2007 Curriculum Revision: Focused on the Changes of the Weather.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482-489. 

  30. Lee, Y. D., Park, M. T., Kwak, B. S., Kwon, C. S., Kim, H. W., Lee, H. Y., Kim, H. M. & Nam. M. Y. (1982). Research on improvement of textbook organizati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paper, 13-30, 99-129, 157-161. 

  31. Lee, Y. H. (2012). A Review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nalysis Research Conducted over the Past Three Decades in the United States and Analysi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Introductory Chapter of U.S.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3), 398-412. 

  32. Lim, C. S., Yoon, H. G., Jang, M. D., Lim, H. J., Shin, D. H., Kim, M. J., Park, H, W., Lee, I. S., Kwon, C. S., Lee, D. H. & Kim, N. I, (2007). Developing an Innovative Framework of Grade 3-4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5), 580-595. 

  33. Lloyd, C. V. (1990). The elaboration of concepts in three biology textbooks: Facilitating student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 1019-1032. 

  34. Noh, M. W., Jung, H. S. & Yoon, J. C. (2004). A Study on the concept of textbook and it's internal system for effective teaching-learning in schools. Seoul: Korea Textbook Research Foundation. 

  35. Noh, T. H., Cha, J. H. & Wang, H. N. (2004). An Analysis for Gender-Role Stereotyping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3(1), 85-91. 

  36. Park, J. H. & Kwon, H. S. (2007). Analysis of questions in the 'Matter' uni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under the 7th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5), 551-557. 

  37. Pozzer-Ardenghi, L. & Roth, W. M. (2005). Making sense of photographs. Science Education, 89(2), 219-241. 

  38. Sahin, A. E. (2007). Teacher's classroom question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7(1), 369-370. 

  39. Shin, D. H. & Choi, H. D. (2013). Differences in Eye Movement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during Understanding Textbook Illustrations. Biology Education, 41(2), 198-210. 

  40. Shin, M. K. & Song, T. H. (2013). Comparisons of Students's Associations with and Learning Objectives Statements on Illustrations of Science Textbooks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Focusing on the Earth and Space Units of the 5th Grade in 2007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545-556. 

  41. Tyson, H. (1997). Overcoming structural barriers to good textbooks.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 Goals Panel. 

  42. Valverde, G. A., Bianchi, L. J., Wolfe, R. G., Schmidt, W. H. & Houang, R. T. (2002). According to the book: Using TIMSS to investigation the translation of policy into practice through the world of textbooks. Dordrecht: Kluwer. 

  43. Wang, H. A. (1998). Science textbook studies reanalysis: Teachers "Friendly" content analysis method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71st, San Diego, CA, April 19-22, 1998). 

  44. Weiss, I. R., Pasley, J. D., Smith, P. S., Banilower, E. R. & Heck, D. J. (2003). Looking inside the classroom: A study of K-12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Chapel Hill, NC: Horizon Research, Inc. 

  45. Woo, J. O., Chung, W. H., Kwon, J. S., Choi, B. S., Chung, J. W. & Hur, M. (1992). The analysis of development system and evaluation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2(2), 109-128. 

  46. Woodward, A. & Elliott, D. L. (1990). Textbooks: Consensus and controversy. In textbooks and schooling in the United States: Eight-nin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 1.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7. Yeo, S., Park, C. & Lim, H. (2007). A comparison study on illustration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U.S.A.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4), 459-4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