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참고서비스의 장애요인에 대한 이용자 및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Users and Librarians of Obstructive Factors in Online Reference Servic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0 no.1, 2016년, pp.133 - 159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혜진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  신영지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포함하여 국내외 온라인참고서비스 사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고, 온라인참고서비스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장애요인을 종합적으로 도출하여 대학도서관 사서 및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집단간 인식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원부분의 장애요인으로 이용자는 콘텐츠의 질적 양적 부족을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는 반면에 이용자가 가장 낮은 비율로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인적자원 부족(주제전문사서/훈련된 직원의 부족)을 사서는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부분의 장애요인에 대해 온라인참고서비스 제공시 장애요인으로 사서가 가장 높게 인지하고 있는 요인은 저작권 문제로 서비스제공의 제한, 정보검색의 어려움 및 이용방법의 복잡함, 메뉴의 통일성 결여 및 참고서비스에 대한 주메뉴 누락 순으로 나타났고, 이용자는 저작권 문제로 서비스제공의 제한, 명칭의 혼재로 접근의 어려움, 메뉴의 통일성 결여 및 참고서비스에 대한 주메뉴 누락 순으로 나타나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ed studies and domestic/international online reference cases, extract obstructive factors present in online reference services, and reveal whether or not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university librarian and the users. The results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howdhury(2002)는 디지털도서관 시대의 참고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는 이 연구에서 디지털도서관에서 정보서비스 제공 현황을 분석하고, 웹상에서 가능한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학술도서관, 공동협력시스템에 의한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 온라인참고정보서비스에 대해서는 1990년대부터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온라인참고서비스의 문제점 및 장애요인을 중점으로 하는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참고서비스 장애요인을 도출하고, 사서와 이용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제기된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에 대한 각종 요구사항에 있어 사서와 이용자간에 인식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총 14개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사서가 생각하는 이용자의 요구사항과 실제 이용자가 요구하는 요구사항 간에 차이가 있는 항목은 8개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이용자가 느끼는 온라인참고서비스 장애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러나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로 온라인참고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직접관찰 또는 간접관찰을 통해 그들이 느끼는 장애요인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혀낼 필요가 있다고 본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참고서비스 제공시 또는 이용시 느끼는 장애요인에 있어 사서와 이용자간 인식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크게 자원에 대한 장애요인, 서비스에 대한 장애요인, 정책 및 기타 장애요인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참고서비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라인참고서비스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외 가상참고정보서비스,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관련 연구 논문을 포괄적으로 조사분석함으로써 온라인참고서비스의 특징 및 장애요인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연구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사례연구 및 설문조사방법을 수행하였으며, 논의 부분에서 심층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포함하여 해외의 온라인참고서비스 사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참고서비스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장애요인을 총체적으로 도출하여 대학도서관 사서 및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서들이 생각하는 온라인참고서비스 장애요인과 이용자가 생각하는 장애요인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사서와 이용자간의 인식격차를 줄이고 보다 이용자 지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그러나 현재까지 온라인참고서비스 장애요인만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포함하여 국내외 온라인참고서비스 사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고, 온라인참고서비스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장애요인을 종합적으로 도출하여 대학도서관 사서 및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집단간 인식차이가 있는지는 밝혀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포함하여 해외의 온라인참고서비스 사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참고서비스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장애요인을 총체적으로 도출하여 대학도서관 사서 및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서들이 생각하는 온라인참고서비스 장애요인과 이용자가 생각하는 장애요인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후 이용자들의 참고요구를 협력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협력형 참고서비스 모형이 논의되기 시작하면서, 차미경과 김수정(2006)은 지역주민에게 수준 높은 참고봉사를 제공하기 위해 공공도서관의 가상참고정보봉사 협력모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사례조사와 더불어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국의 514개 공공도서관 가운데 375개관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고서비스는 무엇인가? 참고서비스는 도서관의 가장 전통적인 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도서관이 보유한 자원을 활용하여 이용자 만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서비스 중의 하나로 평가된다. 이에 국내외적으로 참고서비스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논의되어 왔고,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참고서비스의 형태가 면대면 및 전화서비스 중심에서 이메일, 전자게시판, 채팅서비스 등이 추가되기 시작했다.
온라인참고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이와 같이 참고서비스 특히 온라인참고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전략이나 장애요인 등에 대한 분석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송재술과 신정아(2013)는 성공적인 협력형 정보서비스 모델 구현을 위한 기능요건으로 소장 전자정보 통합검색, 웹DB, 지역 기록물 원문DB, 온라인 참고봉사, 모바일 플랫폼 지원을 제시하고 시스템 관리 체계는 참여기관의 독립적 특성을 고려하여 집중형과 분산형 모델의 장점을 결합한 절충형 모델을 제안하였다.
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이용자와 사서간 인식차이를 보인 항목은? 이용자가 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사서는 이용자가 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이라 생각하는지에 대한 두 집단간 인식차이를 비교하였다. 총 8개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으며, 이 중 집단간 인식차이를 보인 항목은 총 4개 항목으로 최신(신간)자료 부족, 타기관 자료 연계/링크서비스 부족, 자료 검색의 어려움, 도서관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사서가 이용자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고아름. 2010. 국내 대학도서관의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0년 8월, 111-116.(Ko, Ah-Reum. 2010. "A Study on Developing the Guidelines for the Collaborative DigitalReference Service in Academic Libraries." In Proceedings of the 17th Conference of Korean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August, 2010, 111-116.) 

  2. 고아름, 정은경. 2011. 대학도서관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2(2): 23-41.(Ko, Ah-Reum and Chung Eun-Kyung.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Reference Service Guidelines for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42(2): 23-41.) 

  3. 김달식. 2005.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참고봉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2): 241-262.(Kim, Dar-Sig. 2005. "The Study on Digital Reference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ies in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2): 241-262.) 

  4. 김보람. 2007. 공공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공/구립 도서관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Kim, Bo Ram. 2007. Studies of Digital Reference Service of Public Library: Based on Public/Private Libraries in Seoul Region. M.A. thesis, Major in Education of Librarianship, GraduateSchool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5. 김석영. 2002.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의 최근 개발동향. 정보관리학회지, 19(4): 213-232.(Kim, Sukyoung. 2002. "Recent Developments and Trends on Digital Reference Service."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9(4): 213-232.) 

  6. 김휘출. 2003. 통합형디지털참고봉사를 위한 기반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169-186.(Kim, Hwi-Chool. 2003. "A Study on Preparation for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in Korea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37(2): 169-186.) 

  7. 문정순. 1997. 전자우편과 전자게시판을 활용한 대학도서관 전자참고 서비스. 도서관학논집, 26: 541-573.(Moon, Jung-Soon. 1997. "The Electronic Refernce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ApplyingE-mail and Electronic Bulletin Board."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ociety, 26: 541-573.) 

  8. 문정순. 1999. 웹 기반 참고정보원 사이트의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4): 229-253.(Moon, Jung Soon. 1999. "A Study on Building a Web-based Reference Resources Site." Journal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0(4): 229-253.) 

  9. 박희진, 박성재. 2013. 내용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전자게시판) 활성화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175-193.(Park, Hee-Jin and Park, Sung-Jae. 2013. "A Study on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 usingElectronic Bulletin Boards in Academic Libraries through Content Analysis." Journal of the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4): 175-193.) 

  10. 송재술, 신정아. 2013. 경기도 공공도서관 협력형 전자정보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3): 207-226.(Song, Jae-Sul and Shin, Jeong-A. 2013. "A Study on Collaborative Digital Information Service for Gyeonggi-Do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47(3): 207-226.) 

  11. 신이정. 2005.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정보봉사에 관한 현황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Shin, Yi Jung. 2005.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gital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by University Libraries." M.A. thesis, Major in Education of Librarianship, Graduate School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12. 윤인순. 2002. 대학도서관 전자게시판을 이용한 온라인 전자참고서비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사서교육전공.(Yoon, In Soon. 2003. A Study of Online Electronic Reference Service in University Librariesin Terms of Electronic Bulletin Board Usage. Ph.D. diss., Major in Librarianship Education,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Korea.) 

  13. 이향숙. 2006. 국내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참고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사서교육전공.(Lee, Hyang-Sook. 2006. A Study on the Model of Digital Reference Services of PublicLibraries. M.A. thesis, Major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Chung-ang University, Korea.) 

  14. 장혜란. 2003. 대학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 제공 및 이용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0(4): 49-66.(Chang, Hye Rhan. 2003. "Analysis of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Korea Academic Libraris."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0(4): 49-66.) 

  15. 차미경, 김수정. 2006. 공공도서관 가상참고봉사 협력모형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367-383.(Cha, Mikyeong and Kim, Soo-Jeong. 2006. "A Study on the Cooperation Model for VirtualReference Service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40(4): 367-383.) 

  16. Bushallow-Wilbur, L., DeVinney, G. and Whitcomb, F. 1996. "Electronic Mail Reference Service: A study." RQ, 35(3): 359-371. 

  17. Chowdhury, G. G. 2002. "Digital Libraries and Reference Services: Present and Future." Journal of documentation, 58(3): 258-283. 

  18. Ferguson, C. D. and Bunge, C. A. 1997. "The Shape of Services to Come: Values-Based Reference Service for the Largely Digital Library." College & Research Libraries, 58(3): 252-265. 

  19. Gray, S. M. 2000. "Virtual Reference Services: Directions and Agendas."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39(4): 365-375. 

  20. Lee, S., Kim, H. and Choe, H. 2013. "An Evaluation of Applying Knowledge Base to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3(1): 81-95. 

  21. LISWiki. Chat Reference Libraries. [online] [cited 2015. 11. 1.] 

  22. Mizrachi, D. 2013. "Individuality and Diversity among Undergraduates' Academic Information Behaviors: An Explorator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3(2): 29-42. 

  23. Noh, Y. et al. 2011. "An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f K University's Library Service."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1(1): 61-79. 

  24. Sloan, B. 1998. "Electronic Reference Services: Some Suggested Guidelines."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77-81. 

  25. Weise, F. O. and Borgendale, M. 1986. "EARS: Electronic Access to Reference Service." Bulletin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74(4): 300-3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