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공공외교가 국가이미지와 국가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Public Diplomacy with Social Media on Country Image and Country Brands -Focusing on Cultural Cont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3, 2016년, pp.426 - 438  

최용석 (중앙대학교) ,  김효미 (중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공외교가 이루어지는 소통의 채널에 관심을 두고,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공공외교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소셜 미디어의 특성이 공공외교 콘텐츠 호감도와 국가 이미지, 국가 브랜드 호감도와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실증분석을 위하여 7개 대륙 42개국 외국인 301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 특성 중 상호작용성과 신속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공공외교 문화 콘텐츠 호감도와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공외교 문화콘텐츠 호감도는 국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국가 이미지는 국가 브랜드 호감도와 국가 브랜드 로열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21세기 공공외교 정책의 효과적인 수단으로써 소셜 미디어가 가지는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며, 공공외교를 수행하는 주체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미래 공공외교 활동에 이바지할 수 있는데 시사점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social media could have influence upon diplomatic activities and become effective means of diplomatic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channel of public diplomacy. Study subjects were 301 foreigners from 42 countries in 7 continent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21세기 공공외교정책의 전략적 수단으로써 부상한 소셜 미디어가 외교활동에 있어 영향력을 가지고 효과적인 외교의 소통 수단이 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함과 동시에 어떠한 특성을 가진 소셜 미디어 문화외교 콘텐츠가 공공외교 활동에 효과적일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선행연구를 토대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공공외교 문화콘텐츠 호감도가 국가 이미지 그리고 국가 브랜드 태도와 국가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21세기 공공외교정책의 전략적 수단으로써 부상한 소셜 미디어가 외교활동에 있어 영향력을 가지고 효과적인 외교의 소통 수단이 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함과 동시에 어떠한 특성을 가진 소셜 미디어 문화외교 콘텐츠가 공공외교 활동에 효과적일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선행연구를 토대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공공외교 문화콘텐츠 호감도가 국가 이미지 그리고 국가 브랜드 태도와 국가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문화외교란 외교활동에 있어 문화를 수단적인 의미로 간주하여, 문화를 통해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고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외교활동이라 판단된다. 이에 한국의 공공외교에 이바지할 수 있는 한류 문화 콘텐츠를 대상으로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또한 임현정(2014)은 문화콘텐츠 분야의 소셜 미디어 특성으로 상호작용성, 유희성, 사회적 실재감, 멀티미디어성 등을 제시하였다[11]. 따라서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공외교 분야에서의 소셜 미디어 특성을 가장 대표적인 상호작용성, 신뢰성, 유희성, 신속성, 참여성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따라서 전 세계인들과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라는 공간은 공공외교 활동에 있어 국가에 대한 호감을 얻기 위한 좋은 수단이 된다. 공공외교 콘텐츠들의 어떠한 요인들이 타국 국민들로 하여금 자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호감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고찰하여 국가 이미지 제고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 따라서 공공외교 문화 콘텐츠 호감도는 “공공외교의 문화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매력에 대한 반응으로써 긍정적인 태도를 갖거나 호의적이고, 좋아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외교 문화 콘텐츠 호감도가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호감도 5개 항목, 국가 이미지 14개 항목으로 재구성하였다[14-16][39][40].
  • 지금까지의 기존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공공외교 분야에서의 소셜 미디어의 특성이 공공외교 콘텐츠 호감도와 국가 이미지, 그리고 국가 브랜드 호감도와 국가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설문지의 문항 구성은 소셜 미디어의 속성(상호작용성, 신뢰성, 유희성, 신속성, 참여성)에 대한 15문항, 공공외교 문화 콘텐츠 호감도에 대한 5문항, 국가 이미지에 대한 14문항, 국가 브랜드 호감도에 대한 4문항 국가 브랜드 로열티에 대한 3문항,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9문항, 이용 특성에 관한 6문항으로 총 5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는 만큼 대한민국의 공공외교 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이 예시를 제시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주성분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하여 타당성 확보를 위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측정 대상을 반복하여 측정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고, 항목들 간에 일관성이 있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공공외교가 이루어지는 소통의 채널에 관심을 두고, 21세기 공공외교정책의 전략적 수단으로서 부상한 소셜 미디어가 외교활동에 있어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에 소셜 미디어 특성과 공공외교 문화 콘텐츠의 호감도, 국가 이미지, 국가 브랜드 태도, 국가 브랜드 로열티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공공외교의 효과적인 소통 수단과 매체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구체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H1-1] 소셜 미디어의 특성 중 상호작용성은 호감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소셜 미디어의 특성 중 신뢰성은 호감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소셜 미디어의 특성 중 유희성은 호감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소셜 미디어의 특성 중 신속성은 호감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5] 소셜 미디어의 특성 중 참여성은 호감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공공외교 콘텐츠 호감도는 국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국가 이미지는 국가 브랜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국가 이미지는 국가 브랜드 로열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외교에 대한 정의들을 종합해볼 때, 공공외교란 무엇인가? 또한, 공공외교는 “정부의 중장기적인 목적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자국에 대한 이해와 영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타국의 대중들과 기관에 자국의 정보를 제공하고 이해시키는 것”을 의미한다[4]. 즉 이러한 정의를 종합해 볼 때 공공외교란 소프트파워를 기재로 타국 국민들과 직접적인 소통 그리고 설득을 통해 자국의 문화, 가치, 정책, 예술, 사상 등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그들을 이해시키고, 잘못된 인식과 오해를 없애며, 중장기적으로 국가 브랜드 이미지를 증진시키는 전반적인 외교활동이라 판단된다.
국가 이미지 특성 요인이 구체적인 개념들로 제시된 대표적인 연구로 무엇이 있는가? 이처럼 초기에는 국가 이미지 특성 요인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광범위한 개념을 중심으로 제시되었다면, 이후 연구들은 보다 구체적인 개념들로 제시되었다. 대표적인 연구로 Martin & Eroglu(1993)은 경제성장, 민주화 수준, 대량생산능력, 시민정부, 산업화 정보, 노동비용, 문맹률, 시장 자유화 수준, 복지, 경제 안정성, 농산물의 자급도, 제품의 질, 삶의 수준, 기술적 연구 수준 등으로 제시하였으며[19], 이규완(2001)은 국민성, 정치, 경제, 사회적 성, 문화, 자연환경, 상품, 국가관계, 정서차원/인지차원/능력차원으로 평가 등으로 제시하였다[20].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국가 이미지의 특성 요인을 국가와 국민에 대한 이미지의 복합체로 보았으며, 한국 이미지로 신뢰성, 생활수준, 민주주의, 사회적 책임, 깨끗함, 자유, 우호적 국가 관계 등으로 설정하였고, 한국인의 이미지로 긍정적 사고방식, 따뜻한 마음, 세련됨, 친절함, 똑똑함, 낭만적, 진취적 등으로 설정하였다.
FKⅡ조사 연구팀(2006)은 소셜 미디어의 특성요인으로 무엇을 제시하였는가? 소셜 미디어란 인터넷 가상공간에서 참여를 통해 개인의 생각과 의견, 정보, 지식, 경험 등을 동영상, 오디오, 사진,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로 제작 또는 전송하여 공유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를 형성, 유지, 확장시킬 수 있는 개방화된 온라인 플랫폼을 의미한다[5-8]. 이러한 소셜 미디어의 특성요인으로 FKⅡ조사 연구팀(2006)은 참여(Participation), 공개 (Openness), 대화(Conversation), 커뮤니티(Community), 연결(Connectedness) 등으로 제시하였으며[9], 안용훈 (2012)은 상호작용성, 접근 편의성, 정보제공성, 신뢰성, 최신성 등으로 제시하였다[10]. 또한 임현정(2014)은 문화콘텐츠 분야의 소셜 미디어 특성으로 상호작용성, 유희성, 사회적 실재감, 멀티미디어성 등을 제시하였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http://www.mofa.go.kr 

  2. http://fletcher.tufts.edu 

  3. Hans, N. Tuch,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 U.S Public Diplomacy Overseas," St. Martin's Press, 1990. 

  4. Lord Carter of Coles, "Public Diplomacy Review" 2005. 

  5. http://wikipedia.org 

  6. D. Stuart, "http://www.onlineemag.net, Social Media Metrics, 2000. 

  7. L. Safko and D. Brake, "The social media bible: tractics, tools, and strategies for business success," NY: Wiley, 2009. 

  8. A. Newson, D. Houghton, and J. Patten, "Blogging and other social media: Exploiting the technology and protecting the enterprise," Surrey: Gower, 2009. 

  9. FKII 조사연구팀, 소셜 미디어(SocialMedia)란 무엇인가?, 한국통신산업진흥원, 2006. 

  10. 안용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특성이 소비자 태도와 몰입, 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1. 임현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콘텐츠 호감도가 티켓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무용콘텐츠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2. Fishbein, Middlestadt, "Noncognitive effective on attitude formation and change: factor artifact,"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995. 

  13. 박희정, 거점 제공자에 대한 호감도가 거점효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4. C. P. Hall, "National Image: A conceptual assessment," Paper present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Boston, 1986. 

  15. 신호창, "해외 홍보 및 광고전략 수립을 위한 미국 언론에 나타난 국가 이미지에 관한 고찰," 광고연구, 제44권, pp.95-97, 1999. 

  16. 서용건, 서용구, "한류가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와 관광객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28권, 제3호, pp.47-64, 2004. 

  17. H. G. Schwarz, "American faces Asia: The problem of image projection," The Journal of Politics, Vol.26, No.3, 1964. 

  18. Kelman, Herbert C., ed., International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rt, Winston, 1965. 

  19. I. M. Martin and S. Eroglu, "Measur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Country imag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28, No.10, 1993. 

  20. 이규완, "미국, 일본, 스위스, 독일, 프랑스의 국가이미지와 상품이지의 변화에 관한 연구 : 1984년과 2001 년의 비교," 한국광고학회, 제12권, 제4호, pp.155-182, 2001. 

  21. 이승미, 한국의 공공외교(Public Diplomacy)연구: 공공외교 주체와 전략적 수단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2. http://www.facebook.com/aboutkorea 

  23. Chaudhuri, Arjun, "Does Brand Loyalty Mediate Brand Equity Outcomes?,"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Spring, 1999. 

  24. 이두희, 광고론: 통합적 광고, 박영사, 2002. 

  25. 이연화, "축제 체험마케팅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명학회, 제2권, 제2호, pp.51-75, 2012. 

  26. D. A. Aaker,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value of a brand name," New York: The Free Press Clark, 1991. 

  27. J. N. Sheth and C. W. Park, "A theory of multidimensional brand loyalty,"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 No.1, 1974. 

  28. 김동률, "공공외교, 세계의 마음을 훔치는 무기," 한국경제, 2013.4.11. 

  29. 김철완,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SNS 특성 요인,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0. 홍다운,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특성이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사 및 추천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1. 오미현, SNS 특성에 의한 패션제품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 및 온라인구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2. 이동훈, 이민훈, 박성민, 이준환, 확산되는 소셜미디어와 기업의 신소통 전략, 삼성경제연구소, 제764호, 2010. 

  33. 이석원, SNS 정보의 특성요인이 영화관람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4. 이강호, "기업의 트위터 활용유형에 따른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기업경영연구, 제18권, 제1호, pp.279-297, 2011. 

  35. 김유향, "소셜미디어와 인터넷공간에서의 정치적 소통,"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제19권, 제2호, pp.199-222, 2011. 

  36. L I. Zijuan, 소셜미디어 특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Facebook과 Twitter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7. 허진희, 서진완, "소셜 미디어 활용에 따른 정부신뢰와 효능감의 변화:대학생층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현대사회와 행정, 제24권, 제1호, pp.267-293, 2014. 

  38. 이진, 외국사례를 통해 본 한국의 문화외교정책 수행체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9. 백목윤, 김병조, 최석호, "문화컨텐츠에 대한 태도가 국가이미지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내 일본 영화 및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여가문화학회, 제7권, 제1호, pp.53-79, 2009. 

  40. 안종석, "다차원적 속성의 국가이미지가 제품평가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비자 중심으로," 국제경영연구, 제16권, 제2호, pp.63-90, 2005. 

  41. 구자룡, 소비자-브랜드 관계 유형별 브랜드 인지, 지각된 품질 및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42. 권혁정, 문화콘텐츠호감도, 국가이미지, 관광이미지, 브랜드태도와 로열티에 관한 영향관계연구: 일본관광객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43. 사효란, 한국문화인식을 통한 국가이미지 및 관광지 이미지가 국가브랜드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방한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44. 김주연, 안경모, "중국에서의 한류콘텐츠 선호가 한국상품구매 한국방문 및 한글학습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권, 제5호, pp.447-458, 2012. 

  45. 권혁인, 정순규, 최용석, "관객유형에 따른 공연 관람 구매의사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139-149, 2014. 

  46.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법, 21세기사,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