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베이비부머 귀농인의 귀농관련 특성과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이 농촌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ural Migrant Characteristics and Conjugal Communic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Baby Boomer Rural Migrants원문보기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rural migrant characteristics and conjugal communic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baby boomer rural migrants. A total of 205 Korean baby boomers, who are living in rural areas in the year of 2013 that had migrated from cities back in 2003 with their families, were a...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rural migrant characteristics and conjugal communic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baby boomer rural migrants. A total of 205 Korean baby boomers, who are living in rural areas in the year of 2013 that had migrated from cities back in 2003 with their families, were analyzed. Their age ranged from 49 to 57 years.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asons these baby boomers chose a rural lifestyle were 'for life after retirement,' 'because rural life is good,' 'for health reasons,' and 'for chosen profession.' The level of conjugal communication (M=3.69) and life satisfaction (M=3.23) were higher than average (M=3.0). The variable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baby boomer rural migrants were 'increased property size,' 'better conjugal communication,' 'better health condition,' 'lower levels of money,' and 'length of time spent farming.' Furthermore,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se variables are as follows: general characteristics 20%, rural migrant characteristics 10%, and the level of conjugal communication 6%. These results show that conjugal communication is a very important variable, as well as a rural migrant characteristic when it comes to life satisfaction of these baby boomers. Therefore,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baby boomer rural migrants, support programs need to focus on both farming and conjugal relationships.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rural migrant characteristics and conjugal communic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baby boomer rural migrants. A total of 205 Korean baby boomers, who are living in rural areas in the year of 2013 that had migrated from cities back in 2003 with their families, were analyzed. Their age ranged from 49 to 57 years.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asons these baby boomers chose a rural lifestyle were 'for life after retirement,' 'because rural life is good,' 'for health reasons,' and 'for chosen profession.' The level of conjugal communication (M=3.69) and life satisfaction (M=3.23) were higher than average (M=3.0). The variable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baby boomer rural migrants were 'increased property size,' 'better conjugal communication,' 'better health condition,' 'lower levels of money,' and 'length of time spent farming.' Furthermore,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se variables are as follows: general characteristics 20%, rural migrant characteristics 10%, and the level of conjugal communication 6%. These results show that conjugal communication is a very important variable, as well as a rural migrant characteristic when it comes to life satisfaction of these baby boomers. Therefore,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baby boomer rural migrants, support programs need to focus on both farming and conjugal relationship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 생활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도시를 떠나 농촌으로 이주한 베이비부머 귀농인 자신의 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인 동시에 이들의 농촌생활에 대한 만족수준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귀농관련 특성,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 농촌 생활만족도를 살펴보고, 각각의 특성이 농촌생활만족도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베이비 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어떤 변수의 영향력이 큰 지를 살펴봄으로써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성공적인 농촌사회 적응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귀농유형은 출생지와 귀농지를 따져 구분하는 U-turn형(농촌출생→도시→고향농촌), J-turn형(농촌 출생→도시→타향농촌), I-turn형(도시출생→농촌)으로 구분해 베이비부머의 귀농생활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귀농한 베이비부머의 부부의사소통 수준이 농촌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 귀농한 베이비부머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과 귀농한 베이비부머의 성공적인 농촌사회 적응을 위한 정책과 제도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대한 귀농관련 특성과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의 설명력, 그리고 영향변인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2003년~2012년 사이 전남·북 농촌지역에 이주해 현재 농사활동을 하는 1955년~1963년에 해당하는 남녀 베이비부머 205명의 자료를 근거로 WINDOWS 용 SPSS 21.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를 향상시켜 농촌과 지방 나아가서는 국가의 발전을 도모하려는 정책 및 제도를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를 둔다. 또한 베이비부머의 자살 및 가족해체 등이 증가하는 현 사회적 상황에서 귀농한 베이비부머의 농촌생활만족도와 부부관계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의사소통 수준이 좋은 편으로 나타난 것은 농촌에서의 삶이 베이비부머 귀농인에게 보다 긍정적일 수 있다는 것, 귀농한 베이비부머에 대한 긍정적인 담론내지 이미지를 부각시켰다는 의미가 있다고 본다.
제안 방법
(1993)이 가족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제작한 ‘FAD(the Family Assessment Device)’ 중 Kim (2001)이 번역해 사용한 척도에서 가족을 배우자로 변경하여 질문하였다.
조사에는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사용하였는데, 예비조사는 2012년 10월 1일~2012년 10월 7일까지 전남북 농촌 지역에 귀농한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예비조사 중 발견된 문제점과 오해 소지가 있는 문항들을 수정한 후 동년 10월 15일부터 12월 15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방법은 연구원이 전남북 지역의 귀농인 협의회 모임이나 농업기술센터의 협조를 받아 귀농학교의 행사나 농업기술센터의 교육시간에 방문하여 연구 취지와 목적을 설명한 후 이에 응하는 대상자에 한해 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전남북 농업기술센터에서 귀농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에게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한 후 그 지역 귀농인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는 형태로도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방법은 연구원이 전남북 지역의 귀농인 협의회 모임이나 농업기술센터의 협조를 받아 귀농학교의 행사나 농업기술센터의 교육시간에 방문하여 연구 취지와 목적을 설명한 후 이에 응하는 대상자에 한해 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전남북 농업기술센터에서 귀농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에게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한 후 그 지역 귀농인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는 형태로도 조사가 이루어졌다. 배포된 설문지는 총 700부였고, 그 중 660부가 회수되었는데 설문문항에 충실히 답변하지 않아 분석에 사용할 수 없는 경우, 가족은 도시에 거주하고 있고 본인만 귀농한 경우, 귀농은 했으나 아직 영농활동에 종사하지 않는 경우, 조사 당시 나이가 베이비부머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한 후 최종 남성 144부, 여성 61부로 총205부를 분석에 사용했다.
해당변인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건강수준, 자산규모, 도시에서의 직업, 가족유형이다. 이후 사회 인구학적 특성변수는 회귀식에 통제변수로 포함되었는데 성별은 더미변수로, 그리고 교육수준은 초등학교 졸업에서 대학이상에 이르는 1점에서 5점으로, 건강수준은 5점 리커트 척도의 응답으로, 자산규모는 구체적인 숫자로 회귀식에 투입하였다.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귀농관련 특성은 귀농유형, 귀농자금, 영농수입, 귀농 준비기간, 농번기 농사일 시간, 영농유형, 경작규모, 작목 선택 동기, 귀농동기로 구성했다. 각각의 질문에 직접 기재토록 하거나, 제시된 내용 중 응답자 상황에 맞는 것을 선택하도록 했으며 영농규모는 평으로 기재하게 한 후 연구자가 m2로 변경하여 정리한 후 표로 제시했다.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귀농관련 특성은 귀농유형, 귀농자금, 영농수입, 귀농 준비기간, 농번기 농사일 시간, 영농유형, 경작규모, 작목 선택 동기, 귀농동기로 구성했다. 각각의 질문에 직접 기재토록 하거나, 제시된 내용 중 응답자 상황에 맞는 것을 선택하도록 했으며 영농규모는 평으로 기재하게 한 후 연구자가 m2로 변경하여 정리한 후 표로 제시했다. 귀농 관련 특성 변인이 농촌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모델에 투입되는데, 세 개의 귀농유형은 두 개의 더미변수로 만들어 투입하였고(UJ, UI), 귀농자금, 영농수입, 귀농준비기간, 농사일 시간은 가능한 한 구체적인 숫자로 응답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질문에 직접 기재토록 하거나, 제시된 내용 중 응답자 상황에 맞는 것을 선택하도록 했으며 영농규모는 평으로 기재하게 한 후 연구자가 m2로 변경하여 정리한 후 표로 제시했다. 귀농 관련 특성 변인이 농촌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모델에 투입되는데, 세 개의 귀농유형은 두 개의 더미변수로 만들어 투입하였고(UJ, UI), 귀농자금, 영농수입, 귀농준비기간, 농사일 시간은 가능한 한 구체적인 숫자로 응답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경작유형은 밭농사, 논농사, 하우스, 과수원, 축산, 기타 등으로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두 가지 이상의 유형을 겸하고 있기에 복수응답 형태로 조사했다. 밭농사는 44.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 만족도에 대한 귀농관련 특성과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의 설명력을 살펴보기에 앞서 회귀분석모델이 가정에 위배되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변인간 상관관계를 분석했다(Attachment 1). 그 결과 독립변수간 상관계수 상관계수가 0.
이 모형의 독립변인 중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변인은 성, 연령, 교육수준, 건강수준, 자산규모이고 귀농관련특성 변인은 귀농유형1 UJ. 귀농유형2 UI, 귀농자금, 영농수입, 귀농준비 기간, 영농기간, 농번기 농사일 시간, 농한기 농사일 시간이며, 마지막으로 부부의사소통 수준이 독립변인으로 투입되었다.
이후 데이터가 회귀분석에 적합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극단치, 잔차의 정상성, 동변량성, 선형성, 잔차 항의 독립성,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였다. 농촌생활만족도에 대한 독립볍인들의 극단치 제거를 위해 산포도, 정상확률 Plot, Cook의 거리를 이용하였다.
01이었는데, 이는 값이 2에 접근하므로(Yang 1998) 잔차항 간의 독립성 가정이 충족되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다중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변인의 상승변량(variance inflation factor: VIF)을 살펴보았다. VIF값이 1.
먼저 1단계로 모델 Ⅰ에서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변인이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2단계 모델 Ⅱ에서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변인을 통제하고도 귀농관련 특성 변인이 농촌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 3단계 모델 Ⅲ에서는 모델 Ⅱ에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 변인을 추가 투입하여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변인, 귀농관련 특성 변인을 통제하고도 부부간의사소통 수준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 설명력은 얼마나 되는지를 분석했다.
먼저 1단계로 모델 Ⅰ에서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변인이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고, 2단계 모델 Ⅱ에서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변인을 통제하고도 귀농관련 특성 변인이 농촌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 3단계 모델 Ⅲ에서는 모델 Ⅱ에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 변인을 추가 투입하여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변인, 귀농관련 특성 변인을 통제하고도 부부간의사소통 수준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 설명력은 얼마나 되는지를 분석했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이 독립변수간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력의 차이를 볼 수 있다면,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은 이에 더하여 각 변수군의 추가 설명력과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데 이러한 특성이 본 연구의 목적과도 부합된다고 판단되어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마지막 3단계 모델 Ⅲ에서는 모델 Ⅱ에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 변인을 추가 투입하여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변인, 귀농관련 특성 변인을 통제하고도 부부간의사소통 수준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 설명력은 얼마나 되는지를 분석했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이 독립변수간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력의 차이를 볼 수 있다면,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은 이에 더하여 각 변수군의 추가 설명력과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데 이러한 특성이 본 연구의 목적과도 부합된다고 판단되어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전남·북 지역을 조사했다.
본 연구는 전남·북 지역을 조사했다. 조사는 2003년에서 2012년 사이 농촌지역으로 이주해 현재 농사 활동을 하는 베이비부머 세대(1955년~1963년의 출생자)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는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사용하였는데, 예비조사는 2012년 10월 1일~2012년 10월 7일까지 전남북 농촌 지역에 귀농한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예비조사 중 발견된 문제점과 오해 소지가 있는 문항들을 수정한 후 동년 10월 15일부터 12월 15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는 2003년에서 2012년 사이 농촌지역으로 이주해 현재 농사 활동을 하는 베이비부머 세대(1955년~1963년의 출생자)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는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사용하였는데, 예비조사는 2012년 10월 1일~2012년 10월 7일까지 전남북 농촌 지역에 귀농한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예비조사 중 발견된 문제점과 오해 소지가 있는 문항들을 수정한 후 동년 10월 15일부터 12월 15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방법은 연구원이 전남북 지역의 귀농인 협의회 모임이나 농업기술센터의 협조를 받아 귀농학교의 행사나 농업기술센터의 교육시간에 방문하여 연구 취지와 목적을 설명한 후 이에 응하는 대상자에 한해 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전남북 농업기술센터에서 귀농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에게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한 후 그 지역 귀농인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는 형태로도 조사가 이루어졌다. 배포된 설문지는 총 700부였고, 그 중 660부가 회수되었는데 설문문항에 충실히 답변하지 않아 분석에 사용할 수 없는 경우, 가족은 도시에 거주하고 있고 본인만 귀농한 경우, 귀농은 했으나 아직 영농활동에 종사하지 않는 경우, 조사 당시 나이가 베이비부머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한 후 최종 남성 144부, 여성 61부로 총205부를 분석에 사용했다.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Table 1을 보면 조사 참여자는 총 205명이었고, 이 중 남성은 70.2%(144명), 여성은 29.8%(61명)였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49세는 10.
데이터처리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산출했다. 또한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귀농관련 특성,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 농촌생활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했으며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대한 독립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 만족도에 대한 귀농관련 특성과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의 설명력을 살펴보기에 앞서 회귀분석모델이 가정에 위배되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변인간 상관관계를 분석했다(Attachment 1). 그 결과 독립변수간 상관계수 상관계수가 0.70보다 낮게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위험이 있는 변인은 없는 것(Jeong et al. 2001)으로 판단하여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이 모형의 독립변인 중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변인은 성, 연령, 교육수준, 건강수준, 자산규모이고 귀농관련특성 변인은 귀농유형1 UJ.
이를 위해 2003년~2012년 사이 전남·북 농촌지역에 이주해 현재 농사활동을 하는 1955년~1963년에 해당하는 남녀 베이비부머 205명의 자료를 근거로 WINDOWS 용 SPSS 21.0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 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고, 연구의 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이론/모형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 만족도는 Park(2006)이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이주 준비 및 적응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했던 척도에서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과 상관이 높을 것 같은 가족관계 만족도를 제외한 이웃관계 만족도, 주거 만족도, 건강 만족도, 경제 만족도, 영농 만족도를 종합해 농촌생활 만족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살펴보았다. 이웃관계 만족도는 ‘처음 이사 왔을 때 이웃주민과 금방 친해졌다’, ‘마을 주민에게서 거리감을 느낀 적이 없다’, ‘마을 주민으로부터 불공평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느낀 적이 없다’, ‘여러 모임(작목반, 귀농·귀촌 협의회 등)에 참석하면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 ‘될 수 있으면 도시로 다시가고 싶다’로 5문항으로 이웃관계 만족도는 점수가 높을수록 좋고, 낮을수록 나쁨을 의미한다.
이후 데이터가 회귀분석에 적합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극단치, 잔차의 정상성, 동변량성, 선형성, 잔차 항의 독립성,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였다. 농촌생활만족도에 대한 독립볍인들의 극단치 제거를 위해 산포도, 정상확률 Plot, Cook의 거리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산포도, 정상확률 Plot에서 극단치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Cook의 거리 최대치는 0.
성능/효과
가족유형은 부부동거의 경우가 52.2%(107명)로 가장 많았고, 부부+자녀동거 30.8%(63명), 부부+노부모+자녀동거 8.8%(18명)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부모+자녀동거 형태의 귀농도 적지 않았지만 베이비 부머 귀농인의 가족형태는 주로 빈둥지 시기의 부부만 귀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이전 직업 분포에서는 자영업이 42.
5문항 모두 중간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문항 중 ‘배우자를 신뢰한다’가 3.91점(0.8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우자는 애정표현에 있어서 적극적이다’가 3.44점(0.91)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은 전반적으로 좋은 편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Table 4) 중 건강 만족도는 3.56점(0.65), 경제만족도는 중간 점수인 3점보다 낮은 2.93점(0.72)이었으나 농촌생활만족도는 중간점수인 3점보다 약간 높은 3.23점(0.48)으로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농촌생활만족도에 대한 독립볍인들의 극단치 제거를 위해 산포도, 정상확률 Plot, Cook의 거리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산포도, 정상확률 Plot에서 극단치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Cook의 거리 최대치는 0.09로, 1보다 크지 않아(Yang 1998) 극단치 가능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잔차의 정상성, 선형성, 동변량성은 산포도로 확인했다.
Table 5는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이다. 먼저 사회 인구학적 특성변인이 농촌생활만족도에 갖는 설명력은 20%였다. 구체적으로 자산규모가 클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수록, 남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연령최대 57세) 농촌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먼저 사회 인구학적 특성변인이 농촌생활만족도에 갖는 설명력은 20%였다. 구체적으로 자산규모가 클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수록, 남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연령최대 57세) 농촌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모델 Ⅰ에 귀농관련 특성 변인을 추가 투입한 모델 Ⅱ의 설명력은 10%가 증가해 30%로 나타났으며 추가 설명력과 전체 설명력 모두 유의미했다.
구체적으로 자산규모가 클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수록, 남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연령최대 57세) 농촌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모델 Ⅰ에 귀농관련 특성 변인을 추가 투입한 모델 Ⅱ의 설명력은 10%가 증가해 30%로 나타났으며 추가 설명력과 전체 설명력 모두 유의미했다. 투입된 변인들 중 귀농자금과 영농 활동 기간이 영향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베이비 부머 귀농인의 경우 귀농자금이 적을수록, 영농활동 기간이 오래일수록 농촌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델 Ⅰ에 귀농관련 특성 변인을 추가 투입한 모델 Ⅱ의 설명력은 10%가 증가해 30%로 나타났으며 추가 설명력과 전체 설명력 모두 유의미했다. 투입된 변인들 중 귀농자금과 영농 활동 기간이 영향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베이비 부머 귀농인의 경우 귀농자금이 적을수록, 영농활동 기간이 오래일수록 농촌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델 Ⅱ에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을 추가 투입한 모델 Ⅲ의 설명력은 6%가 더해져 36%였다. 투입된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은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 Ⅰ과 모델 Ⅱ에서 줄 곧 영향 변인으로 탐색되던 성과 연령은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 변인의 투입으로 상쇄되어 모델 Ⅲ에서는 그 영향력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있어서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은 성과 연령이 농촌생활만족도에 갖는 영향력을 상쇄시킬 정도로 그 의미와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 모델을 중심으로 영향변인을 살펴보면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자산규모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귀농자금, 영농활동기간 순이었다. 이는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는 자산규모가 클수록,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이 좋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귀농자금이 적을수록, 영농활동 기간이 많을수록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 모델을 중심으로 영향변인을 살펴보면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자산규모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귀농자금, 영농활동기간 순이었다. 이는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는 자산규모가 클수록,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이 좋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귀농자금이 적을수록, 영농활동 기간이 많을수록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농촌생활만족도에 대한 변인 중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자산규모의 경우, 귀농 후 일상생활의 편리함과 안정감을 제공하는 주거시설, 경작을 위한 영농기반 시설 그리고 귀농 후 뚜렷한 소득원이 없을 귀농초기 1~2년 동안의 생활비 등과 긴밀하게 연관되고 있어 농촌생활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본다.
첫째, 조사대상자 205명 중 남성 70.2%, 여성 29.8%였고, 연령은 49세~57세 사이에 골고루 분산된 편이었다. 교육수준은 중졸이하 13.
둘째, 귀농관련 특성 변인 중 귀농유형은 선행연구와 동일하게(Kim et al. 2004; Kim et al. 2011; Kim 2013) 고향농촌으로 이주한 U턴 형이 41.5%로, 타향농촌으로 이주한 J턴 형이나 도시출생자가 농촌으로 이주한 I턴 형보다 더 높았다. 귀농자금은 1억원이상이 37.
영농 활동기간은 평균 3.67년인데, 본 조사에서는 귀농년도와 영농기간이 거의 일치해서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경우 영농규모가 크든, 작든 귀농과 함께 농사활동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사일 시간은 농번기의 경우 평균 7.
이는 노동력 부족현상이 심각한 농촌현실에서 비용 지출을 최소화하려는 목적으로 가족 노동력이 적극 투입되고 있는 현실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는데, 과도한 노동은 건강을 훼손해 가족체계를 위협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농한기 하루 농사일 시간은 평균 3.59시간이었으며, 조사대상자 중 76.6%가 농한기에도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계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재배주기가 짧은 작물을 경작하기 위한 시설하우스를 이용한 농업에 참여하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이는 계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재배주기가 짧은 작물을 경작하기 위한 시설하우스를 이용한 농업에 참여하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경작유형은 밭농사, 논농사, 과수원, 시설하우스, 축산 순이었는데 조사대상자 중 44.1%가 밭농사를 경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밭농사의 경우 경작방법이 비교적 쉽고, 실생활에서 섭취할 수 있는 식료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측면과 재배주기가 짧기 때문에 자금 유동성이 타 경작유형에 비해 활발할 수 있어 이러한 측면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이해된다.
셋째,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은 3.69점(0.47)으로 중간점수인 3점보다 높아 좋은 편으로 나타났다. 사실 조사대상자 중 52.
넷째,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는 중간점수인 3점보다 약간 높은 3.23점(0.48)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편으로 나타났다. 농촌생활만족도의 하위요소인 이웃관계만족도, 주거만족도, 건강만족도, 농사일만족도 등은 중간점수인 3점보다 높았으나 경제만족도는 2.
다섯째, 베이비 부머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대한 영향변인으로는 자산규모,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귀농자금, 영농활동 기간 순으로 나타났다. 귀농인의 경제력은 모든 귀농인에게 중요한 사항이 된다.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 볼 때, 베이비부머의 귀농·귀촌은 어린 시절에 대한 추억 또는 고향에 대한 향수 등과 같은 낭만적 차원에서의 결정이 전부일까라는 의구심을 갖게 되었고 외환위기로 경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귀농·귀촌을 선택했던 귀농 1세대의 특성과는 좀 더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후속연구
9%순이었다(Ministry of Agriculture, Food, Rural Affairs 2013). 이에 귀농한 베이비부머의 경작유형과 경작규모를 살펴봄으로 귀농인 전체와 비교해 볼 수 있고, 그 집단만의 특성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하지만 조사대상자가 전남·북 지역에 거주하는 자로 한정되어 있고 베이비 부머 귀농인 부부 함께 조사해 이들의 부부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지 못했다는 점, 베이비붐세대 귀농인이라는 대상의 특수성으로 사례수가 많지 않고 남성의 수가 더 많다는 점, 그리고 귀농이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을 향상시켰는지 아니면 의사소통 수준이 좋은 부부가 귀농을 선택했는지에 대해서는 그 인과관계를 밝힐 수 없다는 한계점을 지니는데 이는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는 빈둥지 시기에 결혼초기와 비슷하게 결혼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인데 이러한 경향이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부부관계에도 적용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한국사회의 베이비부머 세대 4쌍 중 1쌍은 결혼생활이 해체 위험 단계에 있고 5쌍 중 1쌍 꼴로 결혼생활이 불만족스러운 상태에서 겨우 부부형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노년기의 삶을 위해 경제적 준비뿐만 아니라 가족관계 측면, 즉 부부관계를 위한 관심과 노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볼 때(Moonhwailbo 2015), 베이비부머 귀농인의 부부간 의사소통 수준이 본래부터 좋았는지, 가족발달단계에 따른 빈둥지 시기의 결과물인지 아니면 귀농생활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다양한 문제를 서로 협력하면서 해결하다보니 자연스럽게 부부 의사소통 수준이 좋아지게 되었는지는 차후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통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때 부부의 긍정적인 의사소통은 부부 서로에 대한 정서적 지지와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도움을 얻게 될 수 있고, 결국 건강한 부부관계로 발전할 수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한 개인 및 사회적 노력은 결국 귀농을 통한 기대를 충족시켜 지속성장이 가능한 농촌사회로 발돋움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 농촌생활만족도에 주관적 건강상태와 영농기간이 영향변인으로 탐색된 것은 당연할 수 있지만 귀농자금이 적을수록 농촌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것은 예비 귀농인이라면 이에 대해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구 사회와 일본의 베이비부머가 은퇴 후, 농촌으로 이주한 이유는 무엇인가?
베이비부머의 탈도시화 현상은 한국사회보다 산업화가 일찍 시작되 었던 서구사회와 일본의 선례를 따르고 있다. 서구 사회와 일본의 베이비부머는 1970~80년대 은퇴를 시작했었는데, 그들은 쾌적한 환경, 노후 소일거리 확보, 도시에 비해 저렴한 생활비 등의 이점 때문에 농촌으로 이주했었다(Divoudi et al. 2004; Ni Laoire 2007; Sung et al.
한국의 베이비부머는 어떤 특징이 있나?
한국사회의 베이비부머는 젊은 시절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룬 역군으로 우리사회 민주화에 크게 기여한 세대로 노인세대 또는 자녀세대와는 상이한 가치관과 삶의 방식을 지녔다(Jeong 2012). 그들은 퇴직을 앞두고 수입이 점점 감소하고 있는데 반해 심각한 청년실업으로 결혼까지 늦어지는 자녀와 동거하며 그들을 부양하는 경우가 65%, 생활수준 향상 및 의료기술 발달로 평균수명이 증가한 노부모를 경제적으로 지원하는 경우도 68%나 된다.
베이비부머의 탈도시화 현상은 어떤 선례를 따르고 있나?
귀농·귀촌관련 학자들은 은퇴 후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한 사례를 조사 분석해 훗날 베이비부머의 농촌이주에 대한 준비와 대책을 제시하기도 했다(Park 2006). 베이비부머의 탈도시화 현상은 한국사회보다 산업화가 일찍 시작되 었던 서구사회와 일본의 선례를 따르고 있다. 서구 사회와 일본의 베이비부머는 1970~80년대 은퇴를 시작했었는데, 그들은 쾌적한 환경, 노후 소일거리 확보, 도시에 비해 저렴한 생활비 등의 이점 때문에 농촌으로 이주했었다(Divoudi et al.
참고문헌 (62)
Asia Today(2013) 'The baby boomer who commit suicide are rising about six daily'. Available from http://blog.daum.net/bstaebst/8912 [cited 2013 Februray 27]
Chungbuk Research Institute(2011) Review: the return rural in chungbuk
Chung HS(2001) A theoretical review for developing a korean type marital satisfaction scale. J Korean Home Econo Assoc 39(11), 89-106
Davanzo J(1980) Microeconomic approaches to studying migration decisions. California: The Rand Corporation
Deacon RE, Firebaugh FM(1988) Family resource management: principles and applications (2nd ed), Boston: Allyn and Bacon
Divoudi S, Wishardt M, Gilligan J(2004) Visitors, tourists and outsiders in a cornish town. The Yorkshire and Humber, Regional Review Counter- urbaniz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Ryedale, 65-82
Edwards JN, Klemmack DL(1973)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 reexamination. J Geron 28, 497-502
Eptein N, Bishop D, Byan C, Miller I, Keitnor G(1993) The mcmater model: view of healthy family functioning. In F. Walsh(Ed.), Normal family Processes(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Gangjin Country Office(2012) Ordinance on supporting for rural migrants
Graves NB(1974) Adaptive strategies in urban migration. Annual Re Anthropol 3, 117-151
Han GH, Choi HJ, Eun GS, Lee JH, Joo SH, Kim JH(2011) Korean baby boomers in transi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n Aging
Hankookilbo(2013) 'Baby boomer generation, crash the quality of life'. Available from http://news.naver. 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38&aid0002385106 [cited 2013 May 3]
Jeong HM(2012)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rural experiences and farming settlement of new-famers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Jeong KH(2012) An outlook of baby boomers' old age life. Health Welfare Policy Forum 187, 40-49
Jyung CY(2001) Current status and directions of agricultural training for the unemployed willing to return to the farm. agricultural education, rural HRD. J Korean Agricult Educ 32(1), 1-26
Kang DK(2006) Adoption process with return types of return farmers. agricultural education, rural HRD. J Korean Agricult Educ 38(2), 23-53
Kang DK(2010) Present status and policy implication of people return to farm and rural areas. J Agricul Ext Community Develop 17(4), 743-771
Kim BS(2013) An ecological systematic analysis on the rural society adjustment of urban migrants to rural.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Kim BS, Lee JH(2013a) The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rural migrant: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J Community Welf 47, 361-382
Kim BS, Lee JH(2013b) An ecological systematic analysis on the rural society adjustment of urban migrants to rural. Korean Rural Sociol Soc 23(2), 7-48
Kim BS, Lee JH(2015) Determinants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le and female rural migrants: migrant characteristics and family values. Korean J Community Living Soc 26(3), 471-488
Kim CH, Byen PS(2011) Retirement of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strategy for revitalization of rural areas in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im CK, Lee HJ, Kim KH, Park MS(2011) The study on successful adjustment of the rural migrant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rural societ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im HJ(1999) A Study on the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and financial satisfaction of husbands and wives in Pusan and Kyungnam region. Inje University in Korea 15(1), 245-262
Kim JH(1999) U-turn farmers' source and use of agricultural technology informatio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Kim JS(2009) What can local governments do to help people returning to rural areas?. J Agricul Ext Community Develop 16(3), 533-556
Kim JS(2011) The policy directions and the task for return to the farm and rural. J Agricul Ext Community Develop 18, 5-27
Kim MH, Moon JH, Shin EK(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conjugal relations of baby boomers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 Focus on the comparison with the pre-elderly. J Korean Family Relat 17(3), 211-239
Kim MO(2001) A study on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and adaptation of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Kim SS, Cheng JW, Lim HB, Koh WM, Lee S(2004)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for supporting u-turn farmers' rural settlement. J Agricul Ext Community Develop 11(1), 53-65
Ko SH, Kim DH(2011) Analysis of trainee's characteristics & satisfaction on education for return to the farm and rural in Jeju. J Agricul Ext Community Develop 18(4), 983-1010
Korea Herald(2015) 'No answer after being retired baby boomers'. Available from http://khnews.kheraldm. com/view.php?ud20150303000743&md20150312125912_BL [cited 2015 September 28]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2012) Review: benefit analysis of the rural migrants phenomenon
Lee DW(1998) Rural adaptation and related variables of rural migra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Lee JH, Han GH, Park GJ, Lee HK(2003) The effects of the social support network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J Korean Soc Rural Plan 9(3), 1-7
Lee JH, Han GH(2003) The effects of work and leisure activiti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Korean Rural Soc 13(1), 209-238
Lim CH(2012) The family strengths and adjustment to rural life of family returning to rural community before retirement in old age. J Family Relat 16(4), 201-232
Lim HY(1999) Urban-rural return migrants' adaptation and welfare: a study on migrants in chonnam province. Master's Thesis, Kwangju Universit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Rural Affairs(2012) The research on the rural migrants in Kore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Rural Affairs(2013) The research on the rural migrants in Kore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Rural Affairs(2014) The research on the rural migrants in Kore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Rural Affairs(2015) The research on the rural migrants in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2) OECD Korean city policy report
Munhwailbo(2015) Babyboomers marriage crisis. Available from http://www.munhwa.com/news/view.html? no2015093001030621080001 [cited 2015 September 30]
McMillan DW, Chavis DM(1986) Sense of community: a theory and definition. Am J Community Psychol 14, 6-23
Ni LC(2007) The green grass of home? Return migration to rural ireland. J Rural Stud 23(3), 332-344
Oh SH(2013) A discussion on the moving in?settling down circumstances of the families returning to the countryside for farming or else and how to support them. Master's Thesis, Gongju University
Park EK(2008) The study of the satisfaction on the rural migrants. Master's Thesis, UOS
Park GJ(2006) The study of migration preparation and adaptation to rural area of returning farmer after retirement.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Park GJ, Kim YH, Park JY, Yoon SD(2007) The study of migration preparation and adaptation to rural area of returning farmer after retirement. J Korean Home Econo Assoc 45(1), 9-21
Park GJ, Yoon SD, Kang KH(2006) Factors effecting on the rural life satisfaction of returners to the farm after retirement. J Korean Soc Rural Plan 12(4), 63-76
Rah IJ, Lim CY, Park SH(2008) Preparing for the retiring baby boom generation(RBBG) in Korea: from the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erspectives. J Korean Geron Soc 42(4), 151-173
Statistics Korea(2012) Data for the baby boomers in Korea
Sunchang Country Office(2012) Ordinance on supporting for rural migrants
Sung JH(2013) Returned family: not returned women. Korean Rural Sociol Soc 23(2), 91-138
Sung JI, Kim SA(2012) The status and policy on the return-farm & return-rural of citizens. Korea Rural Econo Institute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2013)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Yang BH(1998) Understanding multivariate data analysis. Seoul: Hakjisa
Yoo JK(1998) The reality and counter policies of the return-farm & return-rural. Korean Center City Environ Res 34, 23-41
Yoon SD, Kang KH, Park GJ, Lee JH(2005) Determinants of migration intention to rural area after retirement among urban residents in Korea. J Korea Geron Soc 25(3), 139-153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