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우스에서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이 급성 알코올성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leanolic Acid and Hederagenin on Acute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3, 2016년, pp.307 - 312  

정수한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이상훈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고광석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한 으름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에 대하여 으름 추출물 내 유효물질로 알려진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을 생쥐에 투여하였을 때 알코올로 인한 급성 간독성 상태에서 간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의 투여는 알코올로 유발된 급성 간독성 상태에서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및 alcohol dehydrogenase mRNA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 조직 내 항산화 물질인 glutathione(GSH)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GSH synthetic enzyme의 mRNA 발현 역시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염증반응 지표인 tumor necrosis factor-alpha의 mRNA 발현도 억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의 결과들과 기존의 실험에서 확인한 으름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를 종합하였을 때 으름 추출물의 알코올로 유발된 산화 스트레스, 염증반응에 대한 간 보호 효과는 추출물 내 유효물질로 알려진 oleanolic acid 및 hederagenin의 작용에 의한 것이라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effects of oleanolic acid and hederagenin on acute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Oleanolic acid [10 and 20 mg/kg body weight (BW)/d] or hederagenin (10 and 20 mg/kg BW/d)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study group for 1 week. On the last day of treatment, ethanol (5 g/kg B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으름 추출물 내 유효성분 후보물질인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의 투여가 알코올 처리로 인한 간 조직 내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표적인 염증반응 지표인 TNF-α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진은 그간 선행연구를 통하여 급성 알코올 간독성을 유발한 쥐에서 으름 열매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12). 따라서 으름 추출물의 위와 같은 효과는 으름 추출물 내 다양한 성분 중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이 주효 지표성분이라 예상되어 본 연구에서는 급성 알코올성 간독성을 유발한 쥐에서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의 항산화 및 간 보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한 으름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에 대하여 으름 추출물 내 유효물질로 알려진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을 생쥐에 투여하였을 때 알코올로 인한 급성 간독성 상태에서 간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의 투여는 알코올로 유발된 급성 간독성 상태에서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및 alcohol dehydrogenase mRNA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 조직 내 항산화 물질인 glutathione(GSH)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GSH synthetic enzyme의 mRNA 발현 역시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으름의 열수 추출을 통한 추출물 내에는 많은 유기산 및 배당체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중 oleanolic acid, hederagenin, triterpene glycoside, norarjunolic acid 등이 주요 물질로 알려졌다(7, 8). 본 연구를 통하여 으름 추출물 내 유효물질로 알려진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이 급성 알코올성 간독성 마우스에서의 간 보호 효과 및 항산화 기능을 향상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존 연구에서 확인한 알코올로 인한 만성 또는 급성 간질환에서 으름 추출물의 효능은 추출물 내 oleanolic acid와 hederagenin의 작용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 항산화 및 해독기능을 하는 GSH는 알코올성 간질환 및 만성 간질환에 의해 그 농도가 감소한다고 알려졌으며, GSH는 세포 내 항상성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18-20). 본 연구에서는 으름 추출물 내 유효물질로 알려진 oleanolic acid 및 hederagenin이 알코올로 유발된 간독성에 대한 간 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간 조직 내GSH synthetic enzyme의 mRNA 발현 정도와 GSH 농도를 분석하여 Fig. 4A에 나타내었다. 알코올을 투여한 처리군의 경우 대조군보다 GSH level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알코올 투여 후 oleanolic acid 또는 hederagenin을 투여한 처리군에서 대조군보다 GSH level이 높게 분석되었다(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으름은 무엇이며 어느 나라들에 분포하고 있는가? 으름(Akebia quinata)은 으름덩굴과의 낙엽덩굴 식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고 있다. 으름의 덩굴은 해열,소염, 구충, 부종의 약재로 예부터 사용됐으며, 으름 열매는 혈액순환 촉진, 통증 완화, 이뇨작용 등의 효능과 식욕부진,요통, 월경통 등의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4-6).
체내 알코올 흡수에 따른 독성 대사산물이 생성은 신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은 대사과정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분해되며 반응성이 높은 독성 대사산물이 생성된다(1). 알코올에 의한 독성은 고지혈증, 지방간 및 간 경변과 같은 간 기능 이상을 유발하며, 만성적 간 기능 저하를 일으킨다(2). 특히 알코올의 대사과정에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간 손상, 간세포의 괴사를 유발하여 간에서의 염증반응을 통해 비정상적인 변이와 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졌다(3).
알코올의 대사과정에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무엇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는가? 알코올에 의한 독성은 고지혈증, 지방간 및 간 경변과 같은 간 기능 이상을 유발하며, 만성적 간 기능 저하를 일으킨다(2). 특히 알코올의 대사과정에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간 손상, 간세포의 괴사를 유발하여 간에서의 염증반응을 통해 비정상적인 변이와 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졌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Ramchandani VA, Bosron WF, Li TK. 2001. Research advances in ethanol metabolism. Pathol Biol 49: 676-682. 

  2. Rouach H, Clement M, Orfanelli MT, Janvier B, Nordmann J, Nordmann R. 1983. Hepatic lipid peroxidation and mitochondrial susceptibility to peroxidative attacks during ethanol inhalation and withdrawal. Biochim Biophys Acta 753: 439-444. 

  3. Ohshima H, Tazawa H, Sylla BS, Sawa T. 2005. Prevention of human cancer by modulation of chronic inflammatory processes. Mutat Res 591: 110-122. 

  4. Choi J, Jung HJ, Lee KT, Park HJ. 2005.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saponin and sapogenins obtained from the stem of Akebia quinata. J Med Food 8: 78-85. 

  5. Jung HJ, Lee CO, Lee KT, Choi J, Park HJ. 2004.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of oleanane disaccharides isolated from Akebia quinata versus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s and NO inhibition. Biol Pharm Bull 27: 744-747. 

  6. Ikuta A. 1995. Saponins and triterpenes from callus tissues of Akebia trifoliate and comparison with the constituents of other lardizabalaceous callus tissues. J Nat Prod 58: 1378-1383. 

  7. Higuchi R, Kawasaki T. 1976. Pericarp saponins of Akebia quinata DECNE. I. Glycosides of hederagenin and oleanolic acid. Chem Pharm Bull 24: 1021-1032. 

  8. Ikuta A, Itokawa H. 1988. A triterpene from Akebia quinata callus tissue. Phytochemistry 27: 3809-3810. 

  9. Liu J. 1995. Pharmacology of oleanolic acid and ursolic acid. J Ethnopharmacol 49: 57-68. 

  10. Hung CY, Yen GC. 2001.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of Hsian-tsao (Mesona procumbens Hemsl.). LWT-Food Sci Technol 34: 306-311. 

  11. Kinjo J, Okawa M, Udayama M, Sohno Y, Hirakawa T, Shii Y, Nohara T. 1999. Hepatoprotective and hepatotoxic actions of oleanolic acid-type triterpenoidal glucuronides on rat primary hepatocyte cultures. Chem Pharm Bull 47: 290-292. 

  12. Lee SH, Song YS, Lee SY, Kim SY, Ko KS. 2014. Protective effects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on acute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622-629. 

  13. Chai J, Du X, Chen S, Feng X, Cheng Y, Zhang L, Gao Y, Li S, He X, Wang R, Zhou X, Yang Y, Luo W, Chen W. 2015. Oral administration of oleanolic acid, isolated from Swertia mussotii Franch, attenuates liver injury, inflammation, and cholestasis in bile duct-ligated rats. Int J Clin Exp Med 8: 1691-1702. 

  14. Lu SH, Guan JH, Huang YL, Pan YW, Yang W, Lan H, Huang S, Hu J, Zhao GP. 2015. Experimental study of antiatherosclerosis effects with hederagenin in rats. J Evidence- Based Complementary Altern Med 504: 456354. 

  15. Letteron P, Fromenty B, Terris B, Degott C, Pessayre D. 1996. Acute and chronic hepatic steatosis lead to in vivo lipid peroxidation in mice. J Hepatol 24: 200-208. 

  16. Balanehru S, Nagarajan B. 1991. Protective effect of oleanolic acid and ursolic acid against lipid peroxidation. Biochem Int 24: 981-990. 

  17. Hoog JO, Ostberg LJ. 2011. Mammalian alcohol dehydrogenases- A comparative investigation at gene and protein levels. Chem Biol Interact 191: 2-7. 

  18. Mansouri A, Demeilliers C, Amsellem S, Pessayre D, Fromenty B. 2001.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oxidatively damages and depletes mitochondrial DNA in mouse liver, brain, heart, and skeletal muscles: protective effects of antioxidants. J Pharmacol Exp Ther 298: 737-743. 

  19. Ko K, Yang H, Noureddin M, Iglesia-Ara A, Xia M, Wagner C, Luka Z, Mato JM, Lu SC. 2008. Changes in S-adenosylmethionine and GSH homeostasis during endotoxemia in mice. Lab Invest 88: 1121-1129. 

  20. Liu H, Wang H, Shenvi S, Hagen TM, Liu RM. 2004. Glutathione metabolism during aging and in Alzheimer disease. Ann N Y Acad Sci 1019: 346-349. 

  21. Adachi Y, Moore LE, Bradford BU, Gao W, Thurman RG. 1995. Antibiotics prevent liver injury in rats following longterm exposure to ethanol. Gastroenterology 108: 218-224. 

  22. Ji C, Deng Q, Kaplowitz N. 2004. Role of TNF- $\alpha$ in ethanol- induced hyperhomocysteinemia and murine alcoholic liver injury. Hepatology 40: 442-451. 

  23. Zhao XJ, Dong Q, Bindas J, Piganelli JD, Magill A, Reiser J, Kolls JK. 2008. TRIF and IRF-3 binding to the TNF promoter results in macrophage TNF dysregulation and steatosis induced by chronic ethanol. J Immunol 181: 3049- 30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